(1) 풍덕 제1배수펌프장 유수지 수위분석
대상지 주변 유역의 우수 배수는 풍덕 제1배수펌프장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 다. 1990년에 준공 시 10년 빈도 내외의 시설규모로 준공되어, 집중호우 펌프 장 규모가 충분치 못해 저지대지역의 침수가 잦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재 펌프장 주변의 지반고는 약 E.L 6.5m로, 유수지의 H.W.L 5.5m 이상으로 펌프 장이 운영 될 시, 주변지역의 침수가 우려된다. 따라서 유수지의 H.W.L은 현 재 펌프장의 현황에 따라 E.L. 5.5m가 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 를 기준으로 시설규모를 동천변저류지와 분담함을 가정하고 S.W.M.M분석을 실행하였다. 검토대상빈도는 빗물펌프장의 빈도 상향추세를 감안해 30년 빈도 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 동천변저류지의 내수조절용량은 저류지 면적 이 245,000m²인 경우에 141,000m³가 필요한 것으로 산출되었고 이는 펌프 토출량 규모로 약 1,800m³/분(신설 펌프 약 2대 규모)를 저감할 수 있는 양으 로 검토되었다.28)
<그림 3-11> 풍덕제1펌프장 유수지 수위분석
28) 순천시, 『하천재해예방(동천변저류지 및 제방보강)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 2011, pp. 5-87-94
(2) 순천동천 홍수위 분석
대상지 동쪽으로 흐르는 순천동천의 구역은 순천동천의 중류부로, 유수의 흐름이 만곡부를 이루는 지점이다. 대상지는 본래 저류지로, 『하천재해예방 (동천변저류지 및 제방보강)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에서는 80년~100년 빈도의 홍수를 기준으로 외수침수를 예방하는 것으로 계획하고 있다. 저류지 조성을 위한 순천동천의 홍수유출량은 강우량자료를 바탕으로 홍수유출량을 산정하는 공식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이를 위한 단위유량도법으로 Clark의 유역추적법 (Area routing method)를 사용하였으며, 산정모형식은 다음과 같다.
O
2= CI
2 (I
1+ I
2)+ C
2O
1계획홍수량 산정을 위해 중요한 설계인자인 홍수도달시간 산정을 위해서는 주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KaravenⅡ공식을 적용하였고, 저류상수 결정 은 Sabol 공식을 적용하였다. 산정된 대상지점의 재현기간별 홍수유출량은 다 음과 같으며, 100년 빈도 홍수유출량은 과거 기본계획에 비해 약 75㎥/s이 증 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대상지역은 100년 빈도 홍수를 기준으로 계 획홍수위를 설정하였고, 이는 EL.7.82m로 나타났다.29)
29) 순천시, 앞에 든 책, 2011, pp. 5-43-54
구분 유역면적 재현기간 홍수유출량 계획홍수위
SD2 139.31km²
50년 80년 100년
1,167㎥/s 1,266㎥/s
1,313㎥/s EL.7.82m
<표 3-8> 재현기간별 홍수유출량
자료: 하천재해예방(동천변저류지 및 제방보강)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 참고 작성
효과적인 홍수조절을 위해 대상지점에 대해 측량성과와 물넘이부의 형상을 기준으로 물넘이고에 따른 홍수저감량을 검토하였고, 이를 광정웨어(Weir)공식 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 물넘이고 EL.7.25m시 80년빈도 홍수와 100년빈도 홍 수 모두에서 가장 효과적인 첨두홍수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30) 또한 100년 홍수를 기준으로 한 경우 저류지 면적이 245,000m²인 경우, 외수 용 저류용량은 총 444,000m³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3-12> 빈도별 물넘이고에 따른 홍수저감량
자료: 하천재해예방(동천변저류지 및 제방보강)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
30) 순천시, 앞에 든 책, 2011, pp. 5-75-81
<그림 3-13> 외수조절용량에 따른 홍수조절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