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공기업 성과연봉제 개선방안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

◆ 본 설문은 공기업에서 운영되고 있는 성과연봉제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성과연봉제 운영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연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하는 설문조사입니다.

◆ 본 설문은 개개인의 속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각 공기업 인 사전문가들이 판단하고 있는 성과연봉제 인식의 경향치를 파악하는 것 에 주안점을 두고 있습니다.

◆ 각 공기업 인사전문가 분들께서 느끼고 생각하고 있는 사항이 충분히 반 영되어 성과연봉제 인식의 경향치가 파악될 수 있도록 성실한 답변을 부탁드리며,

아울러 본 조사내용과 결과에 대해서는 철저한 비밀 보장과 더불어, 연 구 이외의 목적으로는 사용하지 않을 것임을 약속드립니다.

2018. 04

울산항만공사 인사노무팀장 최철준

[ 응답자 기본 사항 ]

■ 공기업 유형 : ① 공기업Ⅰ군 ( ) ② 공기업Ⅱ군 ( ) (기관명: )

■ 성별 : ① 남 ( ) ② 여 ( )

■ 인사, 보수 또는 성과관리 관련 업무 경력(합산)

① 4년 이하 ( ) ② 4년 초과 ~ 8년 이하( )

③ 8년 초과 ~ 12년 이하( ) ④ 12년 초과

□ 성과연봉제 운영 현황 및 문제점에 관한 질문입니다.

1. 귀하의 기관에서 2018년 현재 실시하고 있는 성과연봉제 적용대상은? ( ) ① 간부직 (2급이상) ② 최하위직급 제외 전직원 ③ 전직원

1.1 2017년 6월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기존(2016. 1.28)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확대 권고안 폐지에 따른 기관의 성과연봉제 운영 대응 내용은? ( )

① 현행 제도 유지 ② 기존 간부직만 적용 ③ 전체 적용 완화

④ 기타 ( )

1.2 성과연봉제 비대상(폐지로 인한 완화의 경우 포함) 직급 또는 직군에 대하여 호봉제 를 운영 중이거나 향후 호봉제를 부활할 계획이 있습니까? ( )

① 예 ② 아니오

2. 성과연봉제 운영을 위해 시행하고 있는 내부 성과평가제도에 대한 질문입니다.

2.1 조직(부서) 업적 평가제도 운영 방식은? ( )

① BSC 제도 운영 ② 기타 제도 운영 ( ) ③ 조직 평가 미시행

2.2 개인 업적 평가제도 운영 방식은? ( )

① MBO 제도 운영 ② 기타 제도 운영 ( ) ③ 개인 평가 미시행

2.3 개인 역량(또는 근무태도) 평가제도 운영 여부 ( ) ① 예 ② 아니오

3. 성과연봉제 적용 대상자의 개인별 내평 성과급 차등 지급을 위한 평가항목 구성은?

a. 정부 경영평가 결과(기여도 평가 결과 포함) ⓛ 포함 ( ) ② 불포함 ( ) b. 조직(부서) 성과 내부 평가 결과 ⓛ 포함 ( ) ② 불포함 ( ) c. 개인 성과 평가 결과 ⓛ 포함 ( ) ② 불포함 ( ) d. 개인 역량 평가 결과 ⓛ 포함 ( ) ② 불포함 ( )

4. 성과연봉제 적용 대상자의 개인별 기본연봉 차등 인상을 위한 평가항목 구성은?

b. 조직(부서) 성과 내부 평가 결과 ⓛ 포함 ( ) ② 불포함 ( ) c. 개인 성과 평가 결과 ⓛ 포함 ( ) ② 불포함 ( ) d. 개인 역량 평가 결과 ⓛ 포함 ( ) ② 불포함 ( )

5. 정부 경영평가성과급 개인별 차등 지급을 위한 평가항목 구성은?

a. 정부 경영평가 결과(기여도 평가 결과 포함) ⓛ 포함 ( ), ② 불포함 ( ) b. 조직(부서) 성과 내부 평가 결과 ⓛ 포함 ( ), ② 불포함 ( ) c. 개인 성과 평가 결과 ⓛ 포함 ( ), ② 불포함 ( ) d. 개인 역량 평가 결과 ⓛ 포함 ( ), ② 불포함 ( )

6. 비교 평가의 용이성 등 귀 기관의 조직 특성에 비추어 볼 때, 간부직 공기업 권고기 준인 총연봉 대비 성과연봉 비중 30% 이상은 적정하다고 생각하십니까? ( ) ① 매우 적다. ② 적다. ③ 적정하다. ④ 많다. ⑤ 매우 많다.

7. 비교 평가의 용이성 등 귀 기관의 조직 특성에 비추어 볼 때 간부직 공기업 권고기 준인 총연봉 대비 성과연봉 차등폭 30% 이상은 적정하다고 생각하십니까? ( ) ① 매우 작다. ② 작다. ③ 적정하다. ④ 크다. ⑤ 매우 크다.

8. 비교 평가의 용이성 등 귀 기관의 조직 특성에 비추어 볼 때, 간부직 공기업 권고기 준인 기본연봉 2% 이상 차등은 적정하다고 생각하십니까? ( )

① 매우 작다. ② 작다. ③ 적정하다. ④ 크다. ⑤ 매우 크다.

9. 귀 기관은 기관의 업무 특성상 개인별 업무실적 및 성과에 대한 비교 평가의 용이 성은 어떤 수준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

① 매우 어렵다. ② 어렵다. ③ 보통이다. ④ 쉽다. ⑤ 매우 쉽다.

10. 귀 기관은 기관의 업무 특성상 부서(팀)별 업무실적 및 성과에 대한 비교 평가의 용이성은 어떤 수준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

① 매우 어렵다. ② 어렵다. ③ 보통이다. ④ 쉽다. ⑤ 매우 쉽다.

11. 성과연봉 비중 및 차등 폭에 대한 성과연봉제 적용대상 직원들의 수용도나 만족도 는 어떻다고 생각하십니까? ( )

12. 기본연봉 인상 차등 폭에 대한 성과연봉제 적용대상 직원들의 수용도나 만족도는 어떻다고 생각하십니까? ( )

① 매우 낮다. ② 낮다. ③ 보통이다. ④ 높다. ⑤ 매우 높다.

13. 성과연봉제가 조직원들을 열심히 일하게 하는 동기부여 수단으로 작용하는 수준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

① 매우 낮다. ② 낮다. ③ 보통이다. ④ 높다. ⑤ 매우 높다.

□ 성과연봉제 제도 설계 개선 방향에 관한 질문입니다.

1. 귀 기관의 특성상 업무 성과 향상 또는 성과에 따른 보상연계 체계를 위하여 성과 연봉 차등 지급 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 )

① 전혀 불필요하다. ② 불필요하다. ③ 보통이다. ④ 필요하다. ⑤ 매우 필요하다.

1.1 기관 특성을 반영한 도입 필요 범위(대상 직급)는? ( )

① 간부직 (2급이상) ② 최하위직급 제외 전직원 ③ 전직원

1.2 성과연봉 비중과 성과연봉 차등 폭 설계시 간부직과 간부직이 아닌 직급 간의 차이 필요성은? ( )

① 전혀 불필요하다. ② 불필요하다. ③ 보통이다. ④ 필요하다. ⑤ 매우 필요하다.

1.3 총연봉 대비 적정 성과연봉 비중은? ( )

① 10% 미만 ② 10% 이상 ~ 20% 미만 ③ 20% 이상 ~ 30% 미만 ④ 30% 이상

1.4 총연봉 대비 적정 전체연봉 차등폭은? ( )

① 10% 미만 ② 10% 이상 ~ 20% 미만 ③ 20% 이상 ~ 30% 미만 ④ 30% 이상

2. 개인의 업무성과 보상차원에서의 누적식 기본연봉 인상 차등제도는 필요하다고 생 각하십니까? (기본연봉 차등 인상 제도는 성과연봉제와 별개로도 운영 가능한 제도임) ( )

① 전혀 불필요하다. ② 불필요하다. ③ 보통이다. ④ 필요하다. ⑤ 매우 필요하다.

2.1 기관 특성을 반영한 도입 필요 범위(대상 직급) ( )

① 간부직 (2급이상) ② 최하위직급 제외 전 직원 ③ 전 직원

2.2 기본연봉 인상 차등 폭 설계시 간부직과 간부직이 아닌 직급 간의 차이 필요성 여부는? ( )

① 전혀 불필요하다. ② 불필요하다. ③ 보통이다. ④ 필요하다. ⑤ 매우 필요하다.

3. 직무성과가 아닌 직무 자체의 난이도, 중요도, 책임성 등의 평가에 따라 임금 책정 이 달라지는 직무급 제도는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직무급 차등 제도는 성과연봉제와 별개로도 운영 가능한 제도임) ( )

4. 정부 경영평가성과급은 기관의 평가등급 결과에 따라 지급률이 결정되는 평가 인센 티브 제도이지만 기획재정부 예산 집행지침에서는 개인별 차등 지급을 권고하고 있 습니다. 이에 대한 의견은? ( )

① 현행 지침처럼 개인별 차등 제도가 적정하다.

② 기관에 대한 집단성과급이니 전직원에게 차등 없이 균등하게 지급되어야 한다.

③ 기여도 평가 등을 통한 부서별 차등이 적정하다.

④ 지급기준 설정은 기관의 자율에 맡겨야 한다.

설문에 응답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