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행기업
수행기업 가운데 국내에서 초기부터 현재까지 여러 차례 프로젝트를 수행해온 3개 기업과 국내와 해외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한 3개 기업을 추출하여 각각 그룹화 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각각의 그룹에 산업 온실가스 분야 프로젝트 수행 기업과 신재생에 너지 발전 분야 프로젝트 수행 기업이 포함되어 비교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국내에서 초기부터 현재까지 여러 차례 프로젝트를 수행한 기업 사례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표 6-3>과 같다. 우선 P15는 화학 산업 분야 기업으로 산업 온실가스
분야 청정개발체제 프로젝트 수행기업이다. 2007년과 2012년, 2회에 걸쳐 N2O 감축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P15 기업이 운영하고 있는 사업 시설에서의 배출 온실가스를 대상으로 청정개발체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자 하는 해외 기업 가운데 독일 U사를 선택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하였으며 2차 프로젝트 역시 신규 설비 증설에 따라 동일한 독일 U사와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P15는 긍정적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 활동 으로 초기와 최근에 반복적으로 청정개발체제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산업 네트워크에 진입하고 연계를 형성하였다. 1차 프로젝트에서 U사가 전액을 투자하고, PDD의 개 발과 탄소배출권 유통을 담당하였던 것에 비하여 2차 프로젝트에서는 P15사가 전체 비용을 투자하고 보다 높은 지분 비율을 가지게 되었다. P15의 경우 부정적 외부 환 경 변화와 무관하게 신규 산업 설비의 증설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구조적으로 추가적 인 청정개발체제 프로젝트의 수행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P9는 공기업 발전사 기업으로 신재생에너지 분야 청정개발체제 프로젝트 수행기업 이다. 2007년에 소수력 발전 분야에서, 2012년에는 풍력과 태양광 발전 분야에서 총 3회에 걸쳐 청정개발체제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긍정적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적 응 활동으로 초기부터 최근까지 반복적으로 청정개발체제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산업 네트워크에 진입하고 연계를 형성하였다. 초기 프로젝트에서 유럽 설비를 도입하였던 것과 달리 최근의 프로젝트에서는 국내 기업의 설비를 도입하였다. 이는 공기업으로 서 국내 풍력 설비 실증 사업 등 국내의 신재생에너지 산업 촉진에 일정한 역할을 수 행하고 있다는 것이 배경이 되었다. 부정적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 활동으로 현 재는 추가적인 청정개발체제 프로젝트 수행 기획을 중단하며 연계 형성을 중단하였 다. 그리고 현재는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대상 기업으로 편입되어 자격이 없으 나,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소수력 발전과 태양광 발전을 포함한 총 10건의 KVER 사업을 수행하였다.
P8은 P9와 마찬가지로 공기업 발전사 기업으로 신재생에너지 분야 청정개발체제 프로젝트 수행기업이다. 2006년과 2008년 태양광과 수력 발전 분야에서, 2012년 풍 력과 태양광 발전에서 총 4회에 걸쳐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긍정적 외부 환경 변화 에 대한 적응 활동으로 초기부터 최근까지 반복적으로 청정개발체제 프로젝트를 수행 하여 산업 네트워크에 진입하고 연계를 형성하였다. 초기 프로젝트에서 유럽 설비를 도입하였던 것과 달리 최근에는 국내 기업의 설비를 도입하였으며, 프로젝트 수행 동
프로 젝트 수행 개요
기업 P5 P3 P1
주업종 화학 산업 공기업 발전사 공기업 전력 기업
CDM 분야 국내 - 산업 온실가스 해외 – 산업 온실가스
국내 - 신재생에너지 발전
해외 - 신재생에너지 발전 신재생에너지 발전 형태 국내 및 해외 모두
Multilateral CDM
국내 Unilateral CDM 해외 Multilateral CDM
국내 Unilateral CDM 해외 Multilateral CDM 국내 수행
프로젝트 ⚪ 2005년 HFC-23 소각⚪ 2006년~2012년, 수력
발전, 조력 발전 등 12건⚪ 2010년 SF6 대체
해외 수행 프로젝트
⚪ 2006년 HFC-23 소각
⚪ 기술 및 운영 노하우 제공, 지분 확보, 국내 컨설팅 기업 F사 동반 진출
⚪ 2012년 수력발전
⚪ 국내 플랜트 기업과 컨소시엄, 국책금융기관 프로젝트 파이낸싱, 국내 인프라펀드 /국제 금융기구 투자, BOOT 방식 운영
⚪ 2006년 ~ 현재, 풍력 발전 20건
⚪ 중국 전력 기업과 합작회사 설립, 해외 합작 법인 직접 차입으로 수행
적응 활동
긍정적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
⚪ 제도 도입 초기 프로젝트 수행(세계 최초 CDM 방법론 등록)
⚪ 해외 프로젝트 수행
⚪ 제도 도입 초기 국내 프로젝트 수행/반복 수행
⚪ 해외 프로젝트 수행
⚪ 제도 도입 초기 해외 프로젝트 수행/반복 수행
⚪ 국내 프로젝트 수행 (해외 프로젝트와 연관성 없음)
부정적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
⚪ 청정개발체제 프로젝트 기획 중단
⚪ 청정개발체제 프로젝트 기획 중단
⚪ 현재까지 기획된 해외 프로젝트 수행은 지속 자료 : 심층면담조사
<표 6-4> 수행 기업의 적응 활동 (국내 및 해외 프로젝트 수행 기업)
기가 경제적 이익에서 기업 홍보와 함께 정부 정책에 대한 부합이라는 측면으로 변화 하였다. 부정적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 활동으로 현재는 추가적인 청정개발체제 프로젝트 수행 기획을 중단하여 산업 네트워크상의 연계 형성을 중단하였다.
국내와 해외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한 기업 사례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표 6-4>
와 같다. P5는 화학 산업 분야 기업으로 산업 온실가스 분야 청정개발체제 프로젝트 수행기업이다. 2005년 기존 사업 활동 가운데 온실가스 배출을 인지하고 있던 거래 회사에서 온 제의를 바탕으로 HFC-23 소각 분해 프로젝트를 수행하였으며, 2006년 에 중국 기업의 동일한 HFC-23 프로젝트에 설비 도입 및 운영 기술을 제공하는 형 식으로 참여하였다. 이 해외 프로젝트에 동반 진출하면서 국내 대표적인 청정개발체
제 프로젝트 컨설팅 및 사업 개발 기업이라고 할 수 있는 F사가 처음으로 중국에 진 출하게 되었다. 긍정적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 활동으로 세계 최초의 CDM 방 법론을 등록하여 국내에서 프로젝트를 등록하며 산업 네트워크에 진입하고 연계를 형 성하였고, 이어 해외 프로젝트도 수행하며 연계를 확장하였다. 반면 부정적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 활동으로 현재는 추가적인 청정개발체제 프로젝트 수행 기획을 중 단하여 산업 네트워크상의 연계 형성을 중단하였다. P5 기업의 경우 국책 연구 과제 를 통하여 HFC-23 온실가스의 분해 기술에 대한 자체 기술을 추가적으로 확보하였 으나 실제 추가적인 청정개발체제 프로젝트로 이어지지 않았다.
P3은 공기업 발전사 기업으로, 2006년부터 2012년까지 총 12건의 청정개발체제 프 로젝트를 국내에서 수행하였으며,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현지 법인을 설립하는 형식으 로 2012년 1건의 해외 수력발전 청정개발체제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P3사 역시 긍 정적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 활동으로 국내와 해외에서 청정개발체제 프로젝트 를 수행하여 산업 네트워크에 진입하여 연계를 형성하고 확장하였다. 그리고 부정적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 활동으로 현재는 추가적인 청정개발체제 프로젝트 수행 기획을 중단하여 산업 네트워크상의 연계 형성을 중단하였다.
P1은 공기업 전력 기업으로 동종 업종 기업으로서의 일상적인 연계가 촉매가 되어 해외에서 먼저 대상 국가 전력 기업과의 합작 법인을 설립하였고, 이를 통하여 2006 년부터 현재까지 20건의 풍력발전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왔다. 해외 사업을 위한 법인 의 설립 과정에서 국내 금융기관과의 프로젝트 파이낸싱 등의 금융 활동에 기반하지 않고 자체 재정으로 법인을 설립하고 사업을 수행하여 온 사례도 P1기업이 유일하다.
국내에서는 국내 프로젝트와 해외 프로젝트 사이에는 전혀 연관 관계가 없는 산업 온 실가스 분야에 속하는 1건의 송배전 분야의 프로젝트를 2010년 수행하였다. 이와 같 은 해외와 국내 프로젝트의 수행은 긍정적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 활동으로 산 업 네트워크에 진입하여 연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P1은 부정적 외부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기획되어 있는 해외 청정개발체제 프로젝트는 지속적으로 수행할 계획을 가지고 있어 연계를 지속적으로 형성하고 유지한다는 것에서 타 수행 기업과 차이를 보인다.
프로 젝트 수행 개요
기업 C1 C2 C3
창업 유형
⚪ 2002년 창업
⚪ 환경 컨설팅 기업의 청정개발체제 산업 진입
⚪ 2005년 창업
⚪ CDM 사업 관련 대기업 사내벤처, 분사 창업
⚪ 2007년 창업
⚪ 이전 C2 인력 중심 창업 수행
유형
⚪ 국내 컨설팅
⚪ 해외 수행기업/컨설팅
⚪ 국내 컨설팅
⚪ 해외 컨설팅
⚪ 국내 컨설팅
⚪ 해외 컨설팅 국내
프로젝트
⚪ 42건 컨설팅 수행
⚪ 컨설팅 대가 지분 확보
→ 용역 형태로 변화
⚪ 13건 컨설팅 수행
⚪ 용역 형태 수행
⚪ 7건 컨설팅 수행
⚪ 용역 형태 수행
해외 프로젝트
⚪ 1건 수행기업(대기업 이직 인력 계기)
⚪ 1건 해외 컨설팅(국제 컨퍼런스 계기)
⚪ 3건 해외 컨설팅(분사 창업 모기업 해외 사업)
⚪ 1건 해외 컨설팅(기존 활동의 인적 네트워크 활용)
적응 활동
긍정적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
⚪ 한국 청정개발체제 산업 진입 및 해외 진출
⚪ 한국 청정개발체제 산업 진입 및 해외 진출
⚪ 정책 연구 및 관련 용역, 비중 확대 (현재 사업 비중 50%)
⚪ 한국 청정개발체제 산업 진입 및 해외 진출
부정적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
⚪ 청정개발체제 부문 비중 축소 (현재 사업 비중 50%)
⚪ 국내 온실가스 감축 정책 기반 사업 비중 확대 (현재 사업 비중 50%)
⚪ 국내 온실가스 감축 정책 기반 사업 및 환경컨설팅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등) 비중 확대(현재 사업 비중 50%)
⚪ 국내 온실가스 감축 정책 기반 사업 및 환경컨설팅 (에코디자인 등) 비중 확대
자료 : 심층면담조사
<표 6-5> 컨설팅 기업의 적응 활동
(2) 컨설팅 기업
심층면담조사를 수행한 컨설팅 기업 가운데, 수행한 청정개발체제 프로젝트 수가 많은 3개 컨설팅 기업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들 컨설팅 기업의 기업 활동에 대한 구 체적인 내용은 다음 <표 6-5>와 같다.
우선 C1은 2002년에 창업하여 LCA, 에코디자인 등의 사업 분야에서 활동하다가 청정개발체제 산업의 형성과 함꼐 시장에 진입한 기업이다. 국내에서 수행된 123건의 청정개발프로젝트 가운데 가장 많은 42건의 컨설팅을 수행한 컨설팅 기업이다. 청정 개발체제 프로젝트 초기에는 일부 사업에서 컨설팅 대가로 프로젝트 지분을 인수하여 탄소배출권 판매 수익을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었으나, 최근에 들어서는 대부분 용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