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다. 성과지표

성과지표명 목표치 측정

단위 측정방법

2023 2024 2025 2026 해양기후 중기 진단/전망

지표 개발 3 3 3 3 건

소프트웨어 기술보고서

논문 특허 등 중기예측 역학모형 개발 및

활용 연구 2 2 2 2 식

전지구 해양기후 중기예측

역학모형 - - 1 - 식

동아시아 해양기후 중기예측

역학 모형 - - - 1 식

해양기후 중기예측시스템 - - - 1 식

중기예측 운용평가보고서 1 1 1 1 건

논문(SCI/국내) 3 5 7 9 건

[표 Ⅶ-2] 해양기후 중기(수개월) 예측시스템 개발 및 활용 연구 연차별 정량적 성과지표

라. 연차별 투자계획

세부과제

연도별 투자 예산(백만원) 합계

(백만원) 2023 2024 2025 2026

해양기후 중기 진단 및

전망 기반 연구 700 600 600 600 2,500

중기예측 역학모형 개발 및

활용 연구 1,800 1,800 1,700 1,300 6,600 중기 전망 정보 생산 및

서비스 체계 구축 연구 500 600 700 600 2,400

합계(백만원) 3,000 3,000 3,000 2,500 11,500 [표 Ⅶ-3] 해양기후 중기(수개월) 예측시스템 개발 및 활용 연구 연차별 소요 예산

Ⅶ. RFP

마. 세부과제 추진 계획

과제명 해양기후 중기(수개월) 예측시스템 개발 및 활용 연구

총 연구기간 (1차년도)

2023.01~2026.12 이내 (2023.01~2026.1

2 이내)

총 정부출연금 (1차년도)

115억원

(30억원) 협약형태 단년도

주관연구기관 제한없음 기술료 징수 징수 대상 과제성격 개발

보안 등급 일반 혁신도약형 해당없음 과제형태 단일형

해양수산

과학기술분류 MEV(EH06) – MEV05(EH0605) - MEV0503

필요성 및 동향

ㅇ 기후변화 가속화로 이상해양기후(고수온, 저염분, 빈산소화 등) 현상이 심화되어 중기규모 감시‧추적과 전망을 위한 기술 개발 요구

ㅇ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의 3대 위기 현상(온난화, 산성화, 저산소화)의 중기 (수개월) 변동 파악‧대응을 위한 해양환경변수의 독자적인 과학적‧정량적 예측시스템 부재

ㅇ 이상 해양기후 현상은 장기 전망도 중요하지만 중기(수개월) 전망의 정확도에 따라 대응 가능성이 달라지며 피해 예방 효과가 큼ᅠ

ㅇ 환절기(춘‧추계) 기간 감소, 하계‧동계의 길이 변화 및 극한 변동성 증가가 해양 일차생산량 변동 및 계절생태(phenology) 교란으로 이어져 해양환경 ‧생태계 변화에 대한 정기적인 진단과 중기 전망 정보 필요

연구목표

□ (최종목표)

ㅇ 전지구 및 동아시아 해양기후 중기(수개월) 진단 및 전망을 위한 예측 시스템 개발과 이를 상시 활용한 서비스 체계 구축

- 해양기후 중기 전망을 위한 역학-통계 모형 융합 예측기술 개발 - 전지구 및 동아시아 중기 해양기후 예측 역학 모형 개발 - 중기 전망정보 생산 및 서비스 체계 구축

□ (성과지표)

성과지표명 목표치 측정

단위 측정방법

2023 2024 2025 2026 해양기후 중기 진단/전망

지표 개발 3 3 3 3

소프트웨어 기술보고서

논문 특허 등 중기예측 역학모형 개발 및

활용 연구 2 2 2 2

전지구 해양기후 중기예측

역학모형 - - 1 -

동아시아 해양기후 중기예측

역학 모형 - - - 1

해양기후 중기예측시스템 - - - 1

중기예측 운용평가보고서 1 1 1 1

논문(SCI/국내) 3 5 7 9

※ 제시된 최종목표 및 성과지표는 가이드라인으로 연구자가 최종목표 및 성과지표의 추가 및 구체화 가능

□ (최종성과물)

ㅇ 해양기후 중기예측 통계 모형

ㅇ 전지구 해양기후 중기예측 역학 모형 ㅇ 동아시아 해양기후 중기예측 역학 모형 ㅇ 해양기후 중기예측시스템

ㅇ 해양기후 중기예측, 전망 운용평가 보고서 ㅇ 논문(SCI/국내)

주요 연구내용

□ 해양기후 중기(수개월) 진단 및 전망 기반 연구

 해양기후 진단/전망 지표 개발

 통계적 진단/예측 기술 개발

 중기 진단 및 예측성 평가 기술 개발

 중기예측 역학모형 상호비교 프로그램 개발

 자료 및 역학-통계 모형 융합 예측 기술 개발

 중기예측시스템 활용 연구

□ 해양기후 중기(수개월)예측 역학모형 개발 및 활용 연구

 지구시스템모형 기반 해양기후 중기예측시스템 개발

 지역기후시스템모형 기반 동아시아 해양 중기예측시스템 개발

 전지구-동아시아 해양시스템모형 연계 기술 개발

 초기화 및 민감도 테스트 연구

 예측성 평가 및 개선 연구

 요소 모형 개발/개선 연구

□ 해양기후 중기(수개월) 전망 정보 생산 및 서비스 체계 구축 연구

 다중 역학모형 결과 수집 및 분석 시스템 개발

 최적 앙상블 예측 체계 구축

 해양기후 중기예측 시범 서비스 체계 구축 및 운용 평가

기타

해양기후 중기예측시스템을 블록형으로 설계하여 각 분야의 연구결과가 유기적 으로 연계되어 개발되어야 하며, 해양기후예측센터와 같은 현업기관에서 시범 운영하고 매년 연차별 운용평가 보고서 제출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