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과학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의 실제

1. 과학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를 위한 기초

가. 개관

근래에 들어 과학과 교육과정은 딜레마와 같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인공지 능․무인자동차․사물인터넷 등의 고도화된 지능정보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지능정보사회 에 대응하는 역량을 계발하는 것과 함께 새로운 과학기술 지식 내용을 교육과정 내용에 담아내도록 요구받고 있다. 이와 동시에 학업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교육과정이 개정되는 주기마다 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경감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반면에, 국제성취도 평가 에서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흥미는 서서히 낮아지고 있어 이의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들 상황을 종합하면 우리나라의 과학교육은 미래 사회에 대비한 역량 함양이라는 시대적 목표와 함께 내용적 측면에서 새로운 과학 기술 지식을 담아내야 한다. 동시에 교육과정 내용을 정선하여 학습 부담을 경감하고 학생들이 미래 핵심 교과로서 과학에 대한 흥미와 진로 포부를 고양할 수 있도록 대비할 필요가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역량 기반 교육과정으로의 변화를 시도한 우리나라 교육과 정은 향후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해외 주요 국가의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기초 연구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몇 가지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연구 가치가 있는 국가의 과학과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최근에 개정되어 내용이 참고할 만하거나 근래에 국제성취도 평가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보이는 국가를 우선적으로 선정하고 추가적으로 참고할 만한 국가를 대륙별 안배를 고려하여 <표

Ⅲ-1-1>과 같이 선정하였다. 싱가포르는 국제성취도 평가에서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으 며, 21세기 역량에 기반하여 주제 통합적인 특징을 가지는 과학과 교육과정을 구성한 점을 들어 선정되었다. 에스토니아는 유럽에서 핀란드를 제치고 국제학업성취도에서 최상위 성 적을 나타내 교육 각계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제4차 산업혁명의 주도 국가로 교육에의 디지털 소양 접목 분야의 선도적인 국가인 점을 들어 선정되었다. 캐나다는 2016년도부터 새 교육과정이 현장에 적용되고 있고, 전통적으로 영국과 미국의 영향을 받고 있어 영미권 의 과학과 교육과정의 흐름을 볼 수 있으며 대표적인 역량 기반의 교육과정을 운영한다는 점에서 선정되었다. 호주도 최근에 역량을 기반으로 하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개정하였 는데 탐구를 중시하고 학년별 성취 표준을 제시하는 영미권의 교육과정의 특징과 내용적인

국가 위치 대상 국가 교육과정 선정 이유

싱가포르 동아시아 국제성취도 평가 최상위권

주제 통합적 과학과 교육과정 구성

에스토니아 북유럽 국제성취도 평가 최상위권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개정

캐나다 북아메리카 영미권 과학과 교육과정 동향 반영

호주 오스트레일리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개정

영미권과 동아시아 교육과정 특징 공존

<표 Ⅲ-1-1> 과학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 대상 국가

해외 국가의 과학과 교육과정 연구를 위하여 [그림 Ⅲ-1-1]과 같은 순서로 분석을 진행 하였다. 먼저, 국가별로 학제의 특징과 교육과정 개정 배경 및 동향을 조사하였다. 국가별로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하여 과학과 교과목의 구성, 문서 체제, 과학과의 목표, 교과 역량 등의 국가별 특징을 알아보았다. 또한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과학과 영역의 구성, 성취 기준의 진술, 과학과 내용의 범위와 수준을 분석하였고 교수․학습 및 평가의 유의점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해외 과학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탐구 항목을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탐구의 기능과 내용이 국가별로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기술되었는지 비교하여 정리 하였다. 마지막으로 국가별 교육과정 비교·분석의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그림 Ⅲ-1-1] 싱가포르, 에스토니아, 캐나다, 호주의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절차

나. 연구 대상 국가의 교육과정 개정 동향

(1) 싱가포르

□ 학교 제도

싱가포르는 유연하고 다양한 학제를 운영하고 있는데, 초등학교 교육은 6년간의 의무 교육으로 수업료가 무상이며 졸업 시점에 국가시험으로 초등학교 졸업 시험(Primary School Leaving Examination, PSLE)을 치르게 된다. 이 결과에 따라 학생들은 각자의 학 습 능력 및 관심사에 맞도록 속성(express) 과정 또는 정규(normal) 과정에 배치된다. 또한 정규 과정은 학업(academic) 과정과 우리의 직업 교육에 해당하는 기술(technical) 과정으 로 구분된다. 중등 교육과정은 4~5년간의 교육 기간 동안 이루어지는데, 속성 과정 학생들 은 정규(학업) 과정 학생들과 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에는 차이가 없으나 정규(학업) 과정 학생들이 주당 5차시(1차시 35~40분 기준)로 편성되어 있는 것에 비해, 속성 과정 학생들 은 주당 6차시가 편성된다. 이로써 GCE 'O' 레벨 시험에 이르는 과정을 4년 과정에 이수할 수 있게 된다. 정규 과정 학생들은 4년의 과정을 이수한 후에 GCE ‘N’ 레벨의 시험을 치를 수 있으며, 이후 5년의 과정을 마치면 GCE 'O' 레벨 시험을 칠 수 있는데, 학생들은 자신의 수행 결과와 교사의 평가를 바탕으로 과정 간 이동을 할 수도 있다.

□ 교육과정 개정 배경 및 개정 동향

싱가포르는 학생들이 각자의 재능을 발견·발휘함으로써 잠재력을 실현하고, 전 생애에 걸쳐 학습에 대한 열정을 키울 수 있도록 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한편 유연하고 다양한 학제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21세기 역량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과학적 소양을 강조한 과학과 교육과정을 2013년부터 순차적으로 개발․실행하고 있다.

(2) 에스토니아

□ 학교 제도

에스토니아는 전 초등 교육(pre-primary education), 기초 교육(Basic education), 후기 중등 교육(Upper secondary education)으로 학제가 구성되며, 기초 교육과정이 다시 초등 교육(1~6학년, 6년)과 전기 중등 교육(7~9학년)으로 나뉜다. 기초 교육과정은 의무교육으 로 1~9학년까지 하나의 연속된 학제로 구성되어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정이 동일 학교 내에서 단일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후기 중등 교육은 다시 고등 교육 진학을 목표로 하는 일반 후기 중등 교육(General upper secondary education)과 직업 후기 중등 교육 (Vocational upper secondary education)으로 나뉜다. 종합학교(Gymnasium)에 입학할 경 우 기초 교육부터 후기 중등 교육과정까지 교육받을 수 있어 교육의 연속성이 높다. 에스토 니아 학교의 종류는 <표 Ⅲ-1-2>과 같다.

학년 나이 학교 종류

취학 전 7세까지 pre-primary education

1-6 7~16세 Basic education

1-12 7~19세 Gymnasium

10-12 17~19세 General upper secondary education 1-4 17~20세 Vocational upper secondary education

<표 Ⅲ-1-2> 에스토니아 학교의 종류

출처: OECD (2016), “Estonia: Overview of the education system”, OECD Education GPS,

http://gpseducation.oecd.org/Content/MapOfEducationSystem/EST/EST_2011_EN.pdf (검색일: 2018. 9. 1.)를 표로 정리함.

□ 교육과정 개정 배경 및 개정 동향

1991년 소련 연방에서 독립 후 현재까지 3번의 교육과정 개정이 있었으며, 현재의 교육 과정은 2010년에 발표되고 2011년부터 적용된 국가교육과정이다. 국제학업성취도(PISA) 에서 핀란드를 제치고 유럽에서 가장 높은 학업 성취를 보이고 있는 나라로, 뉴질랜드, 호주, 캐나다 등과 함께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시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나라이다. 최근 국제사회에 높은 학업성취와 4차 혁명 시대를 맞아 디지털 역량이 우수한 나라로 세계의 관심을 받고 있다.

(3) 캐나다

□ 학교 제도

캐나다 British Columbia 주에서는 유치원부터 12학년까지 의무교육이다. 이 주에는 60 개의 학군(school district)이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 초등학교(elementary school)는 1학년 부터 7학년까지, 중등학교(secondary school)는 8학년부터 12학년까지이고, Coquitlam과 일부 학군의 경우 초등학교는 1학년부터 5학년까지, 중학교(middle school)는 6학년부터 8학년까지, 고등학교(secondary school)는 9학년부터 12학년까지이다.

□ 교육과정 개정 배경 및 개정 동향

캐나다 British Columbia 주에서는 2016/17학년에 새로운 K-9 교육과정이 실행되고 있 다. 새로운 10학년 교육과정은 2018/19학년에 실행되고 있고, 새로운 11-12학년 교육과정 은 2019/20학년에 실행될 예정이다.

캐나다 British Columbia 주의 새로운 과학과 교육과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과학과 교육과정은 탐구와 개념적 학습에 중점을 두고, 학생들에게 질문을 하고 다양 한 관점을 고려하고, 자신의 신념과 의견을 인식하고, 협력해서 활동하고, 궁극적으로 개인적으로 그리고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선택으로 이끄는 정보에 입각한 결론을 내 릴 기회를 제공한다.

∙ 교육과정에 제시된 과학 이야기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주변 환경 관찰에서부터 과학적으로 교육받은 시민으로서 전지구적 차원의 실천과 의사결정에까지 참여하게 된다.

∙ 원주민의 지식과 관점 그리고 다른 전통적인 생태적 지식이 과학과 교육과정 전반에 포함되어 있다.

(4) 호주

□ 학교 제도

호주의 의무교육은 기초 학년(foundation year)부터 10학년까지이다. 초등학교는 기초 학년부터 6학년까지 7년이다. 중학교는 7학년부터 10학년까지 4년, 고등학교는 대학에 입 학할 학생들이 주로 다니는 대학 준비 과정으로 11학년, 12학년의 2년이다. 대학에 진학하 지 않는 학생은 11학년부터는 한국의 전문대학에 해당하는 기술전문대학(TAFE)에 다닐 수 있다. 호주의 학기는 1월말 또는 2월 초에 시작하여 12월 초까지 계속되며, 보통은 1년이 4학기(1월, 4월, 7월, 10월)로 나뉘어져 있다.

호주의 초․중․고등학교의 교육은 각 주정부가 관장하며 주별로 교육과정이 약간의 차이가 있다. 호주 연방 정부는 주정부의 교육 행정을 조정하고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호주 학교는 크게 공립과 사립으로 분류되는데, 공립학교는 주와 특별구 정부에 의해 직접적으로 관리, 운영되고 주정부에서 대부분의 자금을 받고 있고 추가적으로 보조 자금은 연방 정부로부터 지원받는다. 사립학교는 학교 운영비용을 개인 기부금 혹은 학교 수업료 등으로 충당하며, 가톨릭 종교 단체에 소속되어 있는 학교들이 많다.

□ 교육과정 개정 배경 및 개정 동향

호주의 초․중등 교육은 각 주의 교육부가 교육과정 운영 등을 실질적으로 담당하며, 고등 교육은 호주 연방정부 교육부가 직접 관장하고 있었으나, 최근 호주 연방 정부의 초․

중등 국가교육과정이 호주교육과정평가원(ACARA)을 통해 개발되었다. 연방 정부의 국가 교육과정은 각 주의 교육부와 협의 하에 학교에 적용되고 있다.

호주의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은 총론 수준의 문서로서 각 학교급의 교육목적 및 목표뿐 만 아니라 범교육과정 영역, 핵심역량, 교수학습, 평가, 교육과정 운영, 교육과정의 질 관리, 교육과정의 세계화, 교과별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안내 등 다양한 내용을 포함한다.

이러한 호주 연방 정부의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에 관한 대강의 기준을 제시하는 문서로 각 주의 교육청은 이 문서를 바탕으로 지침을 작성하고 각 학교는 이 지침을 바탕으로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하여 운영한다.

최근에 새롭게 국가 교육과정이 제정되었다는 측면에서 호주의 교육과정을 살펴볼 필요 가 있다. 호주는 국가 성취도 평가를 운영하고 있는데, 멜버른 선언16) 이후 3학년과 5학년,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