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과학기술적 기대효과

Ⅺ 경제성 분석

Ⅺ. 경제성 분석

4.3 과학기술적 기대효과

○ 태풍예측모델 개발을 통해 국내 과학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태풍재난 대응을 위한 국제협력연구 강화의 초석을 마련

- 한반도 주변 해역은 태풍과 같은 기후변화로 인한 비예측적인 환경충격에 취약하기 에 향후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의 스트레스 요인들의 종합적 분석을 위한 방향 설정 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

- 연구결과를 전 지구적인 탄소순환과 해양생산성 제고를 위한 직접적 증거로 활용하 고, 국내 연구진에게 IPCC 보고서 등 국제 저널에 적극 인용될 수 있는 과학기술적 기초정보를 제공

- 태풍에 의한 해양 기후변화 연구라는 글로벌 이슈에서 해외선진국과의 합동연구를 촉 진하고 연구의 이니셔티브를 확보할 수 있는 동력을 확보

Ⅺ. 경제성 분석

※ (해외기관과의 협력 전략 예시) NOAA(태풍 예측기술개선 연구, 해양-대기 상호작용 조사), Rutgers대학(글라이더 조사, 대륙붕 태풍반응), URI(태풍에 따른 기후변화 영향 예측기술연 구), 가고시마대-대만국립대(류큐제도 단면/계류조사 등)

○ 해양관측 무인플랫폼 및 장비기술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태풍 통과중에 직접 관측 및 시료채취로 북서태평양 해양 자료를 획득함으로써, 지금까지 연구가 어렵거나 불가능 부분에 대한 새로운 선도적인 결과를 산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무인 해양관측시대에 맞춰 멀티 무인플랫폼 통합운용기술 및 관련 해양 장비개발 기 술력 향상에 기여

- 북서태평양 난수괴(태풍은 해양에서 에너지를 얻음)를 통과하며 급격히 강화되는 RI 태풍에 대한, 최초의 해양 및 대기 자료 확보 및 DB 구축 가능

- 최근 모델링 연구를 통해 제안된 글로벌 이슈인, 태풍에 의한 수온약층 온난화라는 현상에 대하여, 태풍전후 직접적인 북서태평양 조사선 조사를 통한 최초의 입체적인 검증을 통한 과학적 규명 기대

○ 태풍전후 북서태평양 난수괴 해역 준실시간 해양구조 자료와 모델링기술을 융합하여 급격히 강화되는 태풍 예측모델링 기술력 강화

- 태풍경로의 정확도 향상에 대한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으 나, 태풍강도의 정확성에 대한 연구(특히 RI 태풍의 강도 예측)의 경우 크게 향상되 지 못하고 있어, 북서태평양 직접 정확한 해양자료를 확보하여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 의 태풍-해양결합 예측 모델의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북서태평양 RI 태풍 발생 해역의 준실시간 수온구조 자료는 자료동화 등을 통해 태 풍-해양결합모델의 정확한 해양 초기조건 산출을 통해 정확한 RI 태풍 예측하기 위 한 핵심자료로 활용 기대

※ (예시) 다양한 기상ㆍ해양인자 조사를 통한 RI과정에 대한 이해 및 예측모델 검증자료 확보

○ 기후 및 해양환경에 미치는 태풍의 영향에 대한 과학적 이해 및 정량화

- 태풍으로 인한 해양-대기 이산화탄소 플럭스, 해양생산력, 생물학적 탄소제거기작 (biological pump)변화를 파악함으로써 태풍의 미래 대기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 능 력 평가 가능

- 태풍이 수괴 및 해양-대기 간 열교환 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정밀 평가하여 미래 기 후변화 예측 시나리오에 태풍의 역할 추가로 예측 정확도 향상 기대

○ 북서태평양 해양과 태풍의 상호작용 연구를 통해 약 148여건의 논문과 4건의 특허등록 등의 지식재산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약 45건의 논문은 IF 상위 20%이내의 학술지에 발표할 예정이고, 연구기간 중 한두 분야에서 관련분야 최상위 저널에 발표할만한 수준의 연구성과 창출 노력

※ 피인용지수를 의미하는 IF(Impact Factor)는 전 세계 8,000개가 넘는 저널의 영향력을 평가하 는 기준으로, 해당 저널에 실린 논문이 다른 연구자들에게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쳤는지 보여주 는 바로미터로 작용

- 기후변화와 태풍변동성 연구에서 1건, 해양 로봇 Wave Glider 탑재용 장비 개발/개선 연구에서 3건 등 총 4건의 특허등록이 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