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7-1-3] 북대서양에서 8월에 관측한 바람세기의 시간변화(a), 혼합층 깊이 (MLD), 표층등밀도 깊이(PB), 유광층 깊이(ZEU)의 시간변화(b), 표층 질산염 농도의 시가변화(c), 표층 엽록소 농도의 시간변화(d)
1.3. 연구 목표 및 내용
1.3.1. 연구 목표
○ 태풍이 이산화탄소 플럭스와 영양염 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량적 평가.
1.3.2. 연구 내용
○ 태풍에 의한 해양-대기 이산화탄소 플럭스 변화에 대한 정량적 평가.
- 태풍 전과 후에 연구선을 이용하여 연구해역에서 해양과 대기 이산화탄소 분압을 측정 하여 해양-대기 이산화탄소 플럭스 계산.
- Wave glider에 해수채집기를 장착하여 태풍 통과시 표층해수를 채수하고, 표층해수의 용존무기탄소와 alkalinity를 측정하여 이산화탄소 분압을 산출.
- Wave glider에 pCO2 sensor를 장착하여 태풍 통과시 표층해수 이산화탄소 분압을 측 정하여 태풍기간 동안 해양-대기 이산화탄소 플럭스 계산하고, 이 값으로부터 태풍기간 동안 해양-대기 이산화탄소 플럭스 계산.
- 태풍 전, 태풍기간, 태풍 후에 관측한 해양-대기 이산화탄소 플럭스를 비교하여 태풍에 의한 해양-대기 이산화탄소 플럭스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
○ 태풍에 의한 표층 영양염 공급에 대한 정량적 평가.
- 태풍 전과 후에 연구선을 이용하여 연구해역에서 표층해수를 채집하고, 표층해수의 영양 염 농도를 분석.
- Wave glider에 해수채집기를 장착하여 태풍 통과시 표층해수를 채수하고, 표층해수의 영양염 농도를 분석.
- Wave glider에 질산염 sensor를 장착하여 태풍 통과시 표층 질산염 농도를 연속적으로 관측.
- 태풍 전, 태풍기간, 태풍 후에 관측한 표층 영양염 농도를 비교하여 태풍에 의한 표층 영 양염 공급을 정량적으로 평가.
Ⅶ. [세부과제Ⅲ] 탄소순환 및 부유생태계에 대한 태풍 역할 진단:
1. 화학 분야
구 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내용
1 단계
1차 년도
○ 태풍전후 해양-대기 이산화탄소 플럭스 및 표층영양염 농도 산출
- 태풍 전과 후에 연구선을 이용하여 연구해역 에서 해양과 대기 이산화탄소 분압을 측정 하여 해양-대기 이산화탄소 플럭스 계산 - 태풍 전과 후에 연구선을 이용하여 연구해역
에서 표층해수를 채집하고, 표층해수의 영양 염 농도를 분석
2차 년도
○ 태풍전후 해양-대기 이산화탄소 플럭스 및 표층영양염 농도 산출
○ 태풍 통과시 해양-대기 이산화탄소 플럭스 및 표층영양염 농도 산출
- 태풍 전과 후에 연구선을 이용하여 연구해 역에서 해양과 대기 이산화탄소 분압을 측 정하여 해양-대기 이산화탄소 플럭스 계산 - 태풍 전과 후에 연구선을 이용하여 연구해역
에서 표층해수를 채집하고, 표층해수의 영양 염 농도를 분석
- Wave glider에 해수채집기를 장착하여 태풍 통과시 표층해수를 채수하고, 표층해수의 용 존무기탄소와 alkalinity를 측정하여 이산화 탄소 분압을 산출
- Wave glider에 해수채집기를 장착하여 태풍 통과시 표층해수를 채수하고, 표층해수의 영 양염 농도를 분석
3차 년도
○ 태풍전후 해양-대기 이산화탄소 플럭스 및 표층영양염 농도 산출
○ 태풍 통과시 해양-대기 이산화탄소 플럭스 및 표층영양염 농도 산출
- 태풍 전과 후에 연구선을 이용하여 연구해 역에서 해양과 대기 이산화탄소 분압을 측 정하여 해양-대기 이산화탄소 플럭스 계산 - 태풍 전과 후에 연구선을 이용하여 연구해역
에서 표층해수를 채집하고, 표층해수의 영양 염 농도를 분석
- Wave glider에 해수채집기를 장착하여 태풍 통과시 표층해수를 채수하고, 표층해수의 용 존무기탄소와 alkalinity를 측정하여 이산화
1.3.3. 단계별 목표 및 내용
○ 1단계 연차별 목표 및 내용
구 분 연구개발목표 연구개발내용 탄소 분압을 산출
- Wave glider에 해수채집기를 장착하여 태풍 통과시 표층해수를 채수하고, 표층해수의 영 양염 농도를 분석
4차 년도
○ 태풍에 의한
해양-대기 이산화탄소 플럭스 변화 및 표층영양염 공급에 대한 정량적 평가
- Wave glider에 pCO2 sensor를 장착하여 태풍 통과시 표층해수 이산화탄소 분압을 측정하여 태풍기간 동안 해양-대기 이산화 탄소 플럭스 계산하고, 이 값으로부터 태풍 기간 동안 해양-대기 이산화탄소 플럭스 계산
- Wave glider에 질산염 sensor를 장착하여 태 풍 통과시 표층 질산염 농도를 연속적으로 측정
- 태풍 전, 태풍기간, 태풍 후에 관측한 해양-대 기 이산화탄소 플럭스를 비교하여 태풍에 의한 해양-대기 이산화탄소 플럭스 변화 및 표층영양염 공급을 정량적으로 평가
5차 년도
○ 태풍에 의한
해양-대기 이산화탄소 플럭스 변화 및 표층영양염 공급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전지구적 스케일로 확대
- 북서태평양에서 태풍 전, 태풍기간, 태풍 후에 관측한 해양-대기 이산화탄소 플럭스를 비 교하여 태풍에 의한 해양-대기 이산화탄소 플럭스 변화 및 표층영양염 공급을 정량적 으로 평가
- 전세계 대양에서 태풍 전, 태풍기간, 태풍 후 에 관측한 해양-대기 이산화탄소 플럭스를 비교하여 태풍에 의한 해양-대기 이산화탄 소 플럭스 변화 및 표층영양염 공급을 정량 적으로 평가
Ⅶ. [세부과제Ⅲ] 탄소순환 및 부유생태계에 대한 태풍 역할 진단:
1. 화학 분야
1.4. 추진전략
○ 연구선 관측과 Wave glider를 이용한 관측을 함께 수행.
○ 연구선 관측은 태풍 전과 후의 상황을 관측하고 wave glider는 태풍 기간동안의 상황을 관측함.
○ Wave glider에 pCO2 sensor를 장착하여 태풍 통과시 표층해수 이산화탄소 분압을 연 속적으로 측정하여 자료의 신뢰도를 높임.
○ Wave glider에 질산염 sensor를 장착하여 태풍 통과시 표층 질산염 농도를 연속적으 로 측정하여 자료의 신뢰도를 높임.
1.5. 기대성과
○ 태풍이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 평가 가능.
○ 태풍이 해양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 가능.
○ 해양-대기-기후 모델에 입력 자료로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