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교양기초교육 영역 분류체계의 타당성 조사

대학은 각자가 추구하고 실현하고자 하는 교육목적 및 목표에 따라 교육과정 및 내용을 다 르게 편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모든 대학은 교양기초교육과 전공교육으로 구분하여 교과목 을 편성 운영하고 있다. 한편, 전공교육은 대학별로 다양한 학과와 추구하는 목적에 따라 내 용면에서 일정한 분류기준을 수립하여 적용하기 어렵다. 반면에 교양기초교육의 경우 교양기 초의 핵심 내용과 편성하고 있는 교과 범위를 기반으로 각 대학이 편성 운영하고 있는 교양 기초교육의 내용을 공통적으로 분석하고 분류하는 분석도구를 수립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인 ‘교양기초교육 영역 및 분류체계’에서 논의한 분 석 틀을 기반으로 교양기초교육 내용 분석 도구를 검증하여 제시해 보았다. 우선, 본 연구는 교양기초교육의 내용을 분석하는 도구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내용타당도는 본 연 구가 이론적으로 제시한 교양기초교육 영역 및 영역 내 하위 교과영역을 기반으로 <표 3-1>

및 <표 3-2>와 같이 내용 적합도 서베이 조사지를 구성해서 검증하였다.

<표 3-1> 교양기초교육 구성영역 분류체계의 내용 적합도

<표 3-2〉대학교양기초교육 구성영역 별 하위 교과영역 구분 적합도

소분류 교양기초교과 영역 적합성 정도 의견 및 제언

Ⅰ. 기초 교육영역

1. 사고교육 관련 교과목

(논리학/ 수리적 사고/ 통계적 사고/ 비판적 자고 등) 1 2 3

2. 정보기술교육 (컴퓨터 교육 등) 1 2 3

3. 어문교육(1): 한국어 의사소통교육

(읽기/글쓰기/ 말하기 등) 1 2 3

4. 어문교육(2): 국제어 의사소통교육(A)

영어(읽기/ 글쓰기/ 말하기 등) 1 2 3

5. 어문교육(3): 국제어 의사소통교육(B)

기타 외국어 (읽기/ 글쓰기/ 말하기 등) 1 2 3 6. 어문교육(4): 동서 고전어교육

(한문, 희랍어, 라틴어 등) 1 2 3

7. 과학교육

(수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등) 1 2 3

Ⅱ. 심화교양 교육영역

8.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관련 1 2 3

9. 기술의 본성 및 성과 탐구 1 2 3

10. 인간의 본성과 조건 탐구 1 2 3

11.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1 2 3

12. 사회적 현실의 탐구 1 2 3

13. 역사적 현실의 탐구 1 2 3

14. 인륜성의 탐구와 도덕적 추론 1 2 3

15. 종교적 가치의 탐구 1 2 3

16. 미적 가치의 탐구 1 2 3

17. 기타 융복합적 주제의 탐구 1 2 3

Ⅲ. 비학술적 체험교육 영역

18. 신체적 체험교육 1 2 3

19. 정서적 체험교육 1 2 3

20. 사회적 체험교육 1 2 3

Ⅳ. 도구적 실용지식 교육영역

21. 경제생활 분야 (경영학 등) 1 2 3

22. 시민생활 분야

(사회복지학, 신문방송학 등) 1 2 3

23. 공공생활 분야 (행정학 등) 1 2 3

24. 법률생활 분야 (법학 등) 1 2 3

25. 기술생활 분야 (공학 등) 1 2 3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내용 및 구성을 조사할 도구에 대한 타당도 검증 서베이는 2012년 12

월 7일 한국교양교육학회 추계전국학술대회에 참석한 교양기초교육 담당 교수 및 행정관계자

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학회 참석자들에게 직접 서베이 용지를 배포하고 자발적 응답을 요 청하여 회수한 결과 83명으로부터 응답을 확보하였다. 서베이에 참석한 83명의 인구학적 특성

은 <표 3-3>와 같다. 응답자는 약 72%(59명)가 교양기초교육 관련 분야 교수이었고, 남성이

56.6%이었으며, 교양교육에 종사한 기간별로 보면 5년 이하 종사자가 약 43%로 상대적으로

많았다.

<표 3-3> 응답자 인구학적 현황

응답자 특성 명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 퍼센트

직업별

교수 59 71.1 73.8 73.8

교직원 17 20.5 21.3 95

대학원생 2 2.4 2.5 97.5

기타 2 2.4 2.5 100

합계 80 96.4 100  

성별

남성 47 56.6 58.8 58.8

여성 33 39.8 41.3 100

합계 80 96.4 100  

교양교육 분야 종사기간

1~5년 36 43.4 44.4 44.4

6~10년 12 14.5 14.8 59.3

11~15년 15 18.1 18.5 77.8

16~20년 9 10.8 11.1 88.9

21년 이상 9 10.8 11.1 100

합계 81 97.6 100  

*직업별 및 성별 응답에 3명이 결측, 교양교육 분야 종사 기간에 2명 결측

서베이 응답에 대한 서술통계 결과는 <표 3-4>와 같다. 우선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대분류 영역 구분에 대한 적정성 조사의 경우, 기초교육영역, 심화교양교육영역, 비학술적체험교육영 역에 대해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그 적합성 조사에서는 응답자들 각 영역에 대해 평균적으로

약 2이상으로 적합성 점수를 매겼다. 반면에 도구적실용지식교육영역의 경우 적합성 평균이

1.87로 다소 낮게 나왔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연구에 참여한 응답자 다수는 도구적실용지식

교육 영역을 교양기초교육으로 온전히 포함하기 어려운 영역으로 보고 있다는 점을 추측할 수 있다.

육과 어문교육(4)인 동서 고전어교육이 내용 적합도가 평균 2점 이하로 다소 낮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정보기술교육관련 교과와 동서 고전어 교육 관련 교과는 보편적인 교양 교과로 보기에는 적합성이 낮다고 볼 수 있다. 심화교양교육 영역과 비학술적체험교육영역을 구성하는 세부 영역별 교과 분류는 크게 적합성 측면에서 문제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러나 도구적실용지식교육 영역의 경우 그 영역 자체가 지닌 교양기초교육으로서 낮은 적합성 때문에 각 하위영역의 적합도도 모두 2점 이하의 적합도를 보여 주고 있다. 이들 영역의 경우 전반적으로 교양기초교육 영역이라고 보기 보다는 사회과학의 전공영역으로 인식하고 있는 경향을 미루어 짐작 해 볼 수 있었다.

<표 3-4〉교양기초교육 내용 및 분류 적합도 측정 결과

분류 N 평균 표준 편차

대학 교양 기초 교육

기초교육영역 76 2.54 .68

심화교양교육영역 76 2.45 .70

비학술적체험교육영역 75 1.99 .71

도구적실용지식교육영역 75 1.87 .74

기초 교육 영역

사고교육 관련 교과목 78 2.62 .61

정보기술교육 75 1.87 .78

어문교육(1): 한국어 의사소통교육 79 2.70 .54

어문교육(2): 국제어 의사소통교육(A)영어 76 2.47 .62

어문교육(3): 국제어 의사소통교육(B)기타외국어 75 2.11 .71

어문교육(4): 동서 고전어교육 77 1.86 .72

과학교육 75 2.12 .64

심화 교양 교육 영역

자연 및 과학에 관한 탐구 관련 76 2.32 .72

기술의 본성 및 성과 탐구 74 2.07 .73

인간의 본성과 조건 탐구 76 2.55 .66

문화현상과 현대문명의 탐구 75 2.55 .58

사회적 현실의 탐구 75 2.44 .64

역사적 현실의 탐구 74 2.49 .60

인륜성의 탐구와 도덕적 추론 76 2.49 .66

종교적 가치의 탐구 74 1.97 .74

미적 가치의 탐구 76 2.25 .71

기타 융복합적 주제의 탐구 72 2.26 .69

비학술적 체험교육

영역

신체적 체험교육 75 2.04 .67

정서적 체험교육 77 2.19 .73

사회적 체험교육 76 2.22 .70

도구적 실용지식 교육영역

경제생활 분야 74 1.85 .72

시민생활 분야 76 1.82 .72

공공생활 분야 75 1.76 .65

법률생활 분야 75 1.83 .72

기술생활 분야 75 1.75 .72

. 교양기초교육 영역 및 분류체계 기반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