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GSS 자료는 연구용으로 뿐만 아니라 교육용으로도 활용가치가 대단히 높다 . 미국의 GSS를 예
로 들자면, 매년 약 25만 명의 학생들이 GSS 자료를 활용하는 강좌를 수강하고 있으며, 미국에서 출판된 226 종의 대학 교재에 GSS 자료가 인용되고 , 수많은 대학 교수들이 사회조사방법론 ․ 사회 통계학 및 관련 교과목에서 GSS 자료를 활용해서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 Davis et al., 2000 ) .
우리나라 대학에서 KGSS 자료가 교육에 이용될 가능성은 미국의 GSS 에 못지않을 것이라고 예 상해볼 수 있다 . 왜냐하면 KGSS 의 현지조사 협력교수의 대부분은 사회조사방법론과 통계학을 가 르치는 교수들이어서 그 자료를 교육실습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협력교수들 가운데 상당수는 매년 대학 간에 순환되고 있기 때문에 결국 전국의 상당수 대학들에서 KGSS 자료를 실습자료로 이용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실제로 2013년 12월 현재 KOSSDA에 연구용과 교육용으로 자료 를 신청한 전체 건수 1,973건 가운데 963건이 원자료를 이용한 통계분석 실습용이다. KGSS 자료 는 사회과학 계열의 석 ․ 박사 과정 대학원생들의 학위 논문용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
교육실습용 혹은 학위논문작성용 자료를 제공하는 것 이외에도 KGSS 는 현지조사 과정에 매년
약 300 여 명의 대학원 및 학부 학생들을 조사팀장과 면접조사원으로 직접 참여시키고 이들에게
각종 교육과 현장실습을 제공하고 있다. 이 학생들은 모두 사회과학 계열의 학 ․ 석 ․ 박사 과정 학
생들로서, 매년 서너 차례에 걸친 워크숍 및 오리엔테이션을 통하여 현지조사와 관련된 여러 사안
들 ( 설문구성 , 표본추출 , 조사 관리 ․ 감독 , 사전조사 등 ) 에 대한 집중적인 교육실습을 받고 실제
현지조사에 참여할 기회를 갖는다. 그리고 이들에게는 ≪ KGSS 조사팀장 인증서 ≫ 와 ≪ KGSS 조
사원 인증서 ≫ 를 수여해서 국내에서 가장 어렵고 수준 높은 사회조사에 참여해 성실하게 조사를
수행하였다는 자부심을 갖게 하고 그 경력을 십분 인정해 주고 있다 . 이러한 훈련과 자격을 갖춘
조사팀장과 조사원들 가운데 상당수가 장차 유능하고 성실한 사회조사 전문가로 거듭나게 될 것
이라는 점에서 KGSS는 국내 조사전문인력의 양성에도 적지 않은 기여를 하고 있는 셈이다 .
참고문헌
차종천
․김상욱
․남춘호
․문용갑
․박경숙
․이정환
․이혜경
․정기선 . 2005. 『 사회조사의 업그
레이드: 한국종합사회조사 (KGSS)의 출발 』 . 서울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Brislin, R. W. 1980 “Translation and Contents Analysis of Oral and Written Materials.” In Handbook of Cross-Cultural Psychology: Methodology. Boston, M.A: Ally.
Davis, J. A., T. W. Smith, and P. V. Marsden. 2000. “A Proposal to < A National Data Program for the Social Sciences >: The NORC General Social Survey.” Chicago, IL: NORC.
Kim, S. W. 2009. "Correlates of the Item Non-Response in Survey Research: Analysis of the KGSS Cumulative Data, 2003-2007 ".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3(6): 50-88.
---. 2010. "Correlates of Unit Non-Responses in Survey Research: Evidence from the 2010 KGSS".
한국조사연구학회 추계대회 발표 (2010. 11.12).
Smith, T. W. 2003. “A General of Data: The General Social Survey 1972 - 2002.” Paper Presented at the
Survey Research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June 26, Seoul, Korea.
1.1 응답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표 1.1.1 응답자의 성별
【 문항 51.1.2 】 귀하는 남자입니까 ? 여자입니까 ?
Dalam dokumen
한국종합사회 조사 2014
(Halaman 56-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