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승윤(2003)45)은 교육훈련환경이란 교육장환경, 교육매체 등 전반적인 교육훈 련의 환경을 의미하며, 교육장환경에는 교육장의 실내온도, 환기, 밝기, 분위기, 청 결정도, 책걸상 등 시설전반이 포함되며, 교육매체에는 교재를 포함한 모든 인쇄매 체, 실물, 교보재, 실험, 교육훈련 장비, 영화, TV, 컴퓨터 등 여러 가지 수단과 방 법이 포함된다. 강순희 외(2001)46)중소기업의 교육훈련이 교육훈련에 따른 생산차 질, 적절한 훈련위탁기관 부재, 훈련시설 설치비용 부담, 훈련 후 근로자의 이직 등 에 의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특히 적절한 훈련위탁기관이 지역 내부에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기업에서의 교육훈련이 활성화되지 않는다고 주장하 면서 교육훈련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 내 교육훈련을 위한 환경이 중요하는 것 을 강조하였다.47)
본 연구에서는 위험물취급자 교육훈련은 지리적으로 인접한 한국해사위험물검사 원의 부산교육장, 한국소방안전협회의 부산교육장, 화학물질관리협회의 부산교육장 에서 집합교육 및 사이버교육이 가능하다. 그리고 자체실무교육은 회사 내에서 실 시할 수 있고, 스마트폰의 앱은 활용성 및 상시 접근성이 높아 위험물취급자의 교 육훈련 환경은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선행변수로 적용된다고 생각한다.
3. 위험물 관리현황
2015년 8월 12일 중국 텐진항 폭발사고 후 민관합동으로 항만 위험물에 대한 안전점검을 하니 지적사항이 174건이었다. 이에 후속 조치로 정부는 제도개선, 안전 관리․교육 강화, 인력․예산 지원을 진행하고 있다.
강창화(2016)48)는 ‘항만 수출입 하역장소의 위험물규제업무 처리지침’에 의한 45) 정봉주(2009:24) 교육훈련프로그램 특성이 교육훈련을 통하여 교육훈련의 효과성에 미치 는 영향에 대한 연구
46) 강순희⦁김승택⦁김주섭⦁유경주⦁전병유(2001)“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지원방안 연 구”, 교육인적자원부
47) 윤지원(2015:26~27) 물류기업의 위험물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재인용
규제완화, ‘위험물 컨테이너 점검제도(CIP)’49)을 점검기준을 강화하여 IMDG Code 준수를 주장하고 있다. 위험물 안전관리의 문제점으로 위험물취급 시설의 안전성 부족, 위험물 전담 기구의 부재, 위험물 안전교육의 전문성 부족, 안전교육 후 사후 관리의 부재가 있다.50) 이에 회사 내 위험물 관리현황은 위험물취급자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선행변수로 적용된다고 생각한다.
4. 교육훈련 프로그램
유성희(2012)51)는 교육훈련 프로그램특성과 관련하여 교육내용, 교육방법, 강사의 능력 등이 전이성과에 미치는 관계들은 기존의 교육훈련환경과 교육훈련의 내용을 잘 활용하고 교육훈련을 원활히 진행하고 교육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교육내용의 방법에 따라 교육훈련 전이성과가 증진된다는 결과를 밝혔다. 결과적으로 교육훈련 참가자의 개인적 학습특성(교육내용, 교육방법, 강사의 능력)이나 전이특성(전이기 대, 전이동기, 전이능력)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면 보일수록 교육훈련 전이 성과가 증진된다고 주장하였다. 위험물취급자에게 교육내용이 적절하게 협업에서 요구하는 내용을 학습에 반영하고 있으며, 교육내용의 유용성에 대한 학습자의 판 단정도와 학습자가 교육에서 배운 내용을 협업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실 행되었는지, 또한 강의 내용이 업무에 필요한 내용과 일치하는지에 대한 정도로 말 할 수 있다. ⌜위험물안전운송 교육훈련 초기교육⌟, ⌜위험물 실무교육⌟, ⌜유해 화학물질 안전교육⌟ 및 ⌜자체교육⌟, ⌜안전디딤돌⌟ 및 ⌜위기탈출안전보건⌟,
⌜물질안전보건자료⌟ 앱은 직무상황과 유사할수록 업무 활용전이가 극대화 되며, 전이를 위한 교육설계에 교육내용의 업무 연관성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교육훈련 성과의 선행변수로 적용된다고 생각한다.
48) 강창화(2016) 부산항 위험물컨테이너 안전관리를 위한 저장시설 개선에 관한 연구 49) 위험물 컨테이너 점검제도(CIP)란 국제해상인명안전협약(SOLAS)에 근거하여 컨테이너에 적재된 해상운송 위험물에 대하여 외관검사 및 개방검사를 통해 IMDG Code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위반사항에 대하여는 시정 조치하여 선박 및 항만의 안전 확보 및 해양환경을 보 호하기 위한 제도이다.
50) 장미경(2014:47~49) 위험물 안전관리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51) 유성희(2012) 교육훈련프로그램 구성요소가 교육훈련 전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5. 교육훈련 성과
기업의 교육훈련은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가장 적극적인 수단으로 택한다. 조직의 성과에 기여하였는가를 평가하는 것과 관련된 개념이 ‘교육훈련유효성’이다, 즉,
‘교육훈련유효성(training effectiveness)’이란 교육훈련이 기업의 성과에 실질적으 로 기여하였는가와 관련된 개념으로, 교육훈련의 전반적 수행 과정의 수준과 기대 되는 근로자 능력 향상에 대한 기업의 지원과 같은 근본적인 문제를 다루는 것이 다. (박경규,2010)52) 교육훈련의 궁극적인 목적은 교육훈련의 투자가 근로자의 능력 을 향상시키며, 최종적으로 기업의 성과를 향상 증진하는 것이다 (Tharenou er al., 2007). 국내에서 연구를 확인하니,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HCCP)을 활용하여 제조업 280개에 근무하는 근로자 9,249명를 대상으로 연구한 김기태(2008) 의 연구는 교육훈련에 대한 투자가 증가할수록 인적자원성과인 직무능력향상, 직무 만족, 종업원의 역량이 높아진다고 하였다. 그러나 교육훈련을 일종의 유행으로 인 식하거나, 많은 비용을 투자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최종 성과향상에 영향을 미 치는 못한다는 비판도 있다 (Tharenou er al., 2007). 이러한 비판적인 시각에도 불 구하고 본 연구는 교육훈련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기에 교육훈련 프로그램과 교육 훈련 성과 간의 관계가 적용된다고 생각한다.53)
52) 김민경(2012:13~14) 교육훈련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53) 김민경(2012:24~26) 교육훈련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제3절 가설 설정 1. 가설의 설정
선행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는 위험물취급자의 교육기대, 교육훈련 환 경, 위험물 관리현황이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관계,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교육 훈련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1)교육기대와 교육훈련 프로그램 간의 관계
주명규(2012)54)는 경로분석 결과로 교육특성 요인 중 실무중심의 교육내용과 체계 적인 교육운영은 창업교육훈련 기대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주장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 였다.
[가설1] 교육기대는 위험물취급자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 다.
2)교육훈련 환경과 교육훈련 프로그램 간의 관계
김형만⦁김철희(2000)55)는 지역내부의 교육훈련환경이 우수한 경우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훈련의도 형성과 실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하였으며, 중소기업청(2001)56)의 연구에서도 교육훈련과 관련한 노력들이 대체적으로 지리적 으로 인접한 지역의 자원을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우선적으로 진행된다 하였다.
교육훈련 환경은 교육참가자의 학습효과를 증진시켜야 하고 교육훈련의 내용과 목 적에 적합하여야 한다. 교육장의 환경이 적합하지 않거나 교육훈련내용에 따라 교 육매체가 적절하게 사용되지 못하는 환경은 부정적인 효과를 미치게 된다. 이에 선 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57)
[가설2] 교육훈련환경은 위험물취급자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