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대상자별 교육내용은 [표 2.2.8]과 같으며 세분화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 으나, 교육대상자별로 세분화된 교육은 교육주기 및 교육장소의 지리적 한계로 인 해 실시되고 있지는 않다.
3)교육실적
위험물안전운송전문교육 교육실적 [표 2.2.9]를 분석해 보면 위험물적재차량운전 자교육은 2017년 신설이 되어 교육수요가 해마다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자료 : 한국해사위험물검사원 내부자료를 근거로 작성. (2017년)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은 2012년 9월, 불화수소누출사고(사업장(주)휴브글로벌)로 인해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가 광범위하게 발생하여 이를 계기로 2015년 ⌜화학물질 관리법⌟,⌜화학물질등록법⌟으로 전면 개정됨에 따라 교육시간의 확대 (기존의 3 년, 8시간-> 2년, 16시간), 교육인원의 폭발적인 증가를 가져왔다.
1)교육대상자18)
2)교육내용
(1)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정기교육과정)
[표 2.2.11]를 보면 기술인력 및 관리자과정은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기술인력, 유해화학물질 관리자(책임자, 점검원)등에 해당되는 인원이 2년마다 이수해야 하는 16시간 교육과정이다. 취급담당자과정은 취급담당자에 해당하는 인원이 2년마다 이 18)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2017:87) 유해화학물질안전교육 기술인력 및 관리자지정
교육
과정 과정구분 시간 교육
주기 교육대상
취 급 자 과 정
기술인력 및 관리자 과정
16시
간 2년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기술인력 -유해화학물질 관리자(책임자, 점검원)
취 급 담 당 자 과정
16시 간 2년
-유해화학물질 취급 담당자 ⦁유해화학물질 취급 담당자
⦁유해화학물질 영업자가 고용한 자 중 유해화학물질 직접 취급자
⦁수급인과 수급인이 고용한 사람으로 유해화학물질을 직접 취급하는 자 ⦁위해관리계획서 작성 담당자 ⦁장외영향평가서 작성 담당자 8시간 2년
운반자 과정 8시간 2년 - 유해화학물질을 운반하는 자
종사자 과정 2시간 매년 - 유해화학물질 영업허가 사업장 종사자 전문 과정 16시
간 최초
1회
- 장외영향평가서 작성자 - 위해관리계획서 작성자
유해화학물질관리자 자격취득 과정
32시 간
최초 1회
- 전문대학 이상의 대학에서 화학관련 교과목을 이수한 자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하교” 및 “특 성화고등학교”의 화학관련 학과 졸업자 - 화학물질 취급 현장에서 3년 이상 종 사한 자 중 교육희망자
[표 2.2.10] 유해화학물질 교육대상자
수해야 하는 16시간 교육과정 또는 16시간 교육과정 중 온라인교육과 병행하여 실 시되는 과정이다. 운반자 과정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은 유해화학물질을 운반하 는 자가 2년마다 이수해야 하는 8시간 교육과정이다. 화학물질안전원의 담당교육과 정은 취급자과정은 2년마다 온라인8시간이며, 종사자과정은 1년마다 2시간이다. 그 리고 전문과정 장외영향평가서 작성자 교육, 위해관리계획서 작성자 교육, 화학사고 대응과정, 화학사고 예방과정, 화학사고 수습과정 등이 있다.19)
19) 화학물질안전원(http://nics.me.go.kr), 화학물질안전원 교육시스템 http://edunics.me.go.kr 재편집
구분 교육시간 강의제목
기술인 력및관 리자 과정
09:00 ~ 12:00 화학물질관리법의 이해
13:00 ~ 16:00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기준이해 및 자체점검 16:00 ~ 18:00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방법
09:00 ~ 12:00 장외영향평가 및 위해관리계획서
13:00 ~ 16:00 화학사고 대비대응방법 및 화학물질 노출시 응급조치 16:00 ~ 18:00 개인보호구 착용실습
취급담 당자 과정
09:00 ~ 12:00 화학물질 및 화학물질관리법의 이해
13:00 ~ 16:00 화학사고 대비대응방법 및 화학물질 노출시 응급조치 16:00 ~ 17:00 심폐소생술(CPR)
17:00 ~ 18:00 화학사고 동영상
09:00 ~ 11:00 화학물질의 안전한 취급방법
11:00 ~ 13:00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기준이해 및 자체점검 14:00 ~ 16:00 개인보호구 착용실습
운반자 과정
09:00 ~ 11:00 화학물질 및 화학물질관리법의 이해 11:00 ~ 13:00 운반시 화학물질관리 및 준수사항
14:00 ~ 16:00 운반중 사고예방 및 사고 발생시 조치요령 16:00 ~ 18:00 운전과 건강
취급자 교육 과정
온라인콘텐츠 (16시간중 8시 간/2년)
화학물질관리법의 이해
유해화학물질 분류 및 표시방법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기준 이해 및 자체점검 화학사고 국내⦁외 화학사고 사례소개
종사자 교육 과정
온라인콘텐츠 (2시간/년)
화학물질 안전관리 이해(개론) 화학물질, 화학물질 사고 사례 화학사고에 따른 대처법
화학물질이 인체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 [표 2.2.11] 기술인력 및 관리자과정, 취급담당자, 운반자과정 교육내용
(2)유해화학물질 관리자 자격취득 과정
2015년 이전에는 3일차 교육이었으나 2015년 이후에는 법 개정으로 인해 [표 2.2.12]와 같이 4일차 교육으로 교육내용 및 수준이 높아졌다.
3)교육실적
교육실적 [표 2.2.13]을 분석해 보면 2015년부터는 법 개정으로 인해 교육대상자 의 확대로 교육수료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알 수 있다.20)
20)박힘찬(2017:3)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의 학습관련요인이 학습/전이 효과에 미치는 영향
구분 이수현황(명)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유독물관리자과정교육 2,368 2,319
유독물관리자양성과정교육 602 973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42,820 83,216
유해화학물질관리자 양성과정 7,240 4,055
합계 2,970 3,292 50,060 87,271
[표 2.2.13]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 교육실적
날짜 교육시간 강의제목
1일차
09:00 ~ 11:00 화학물질의 이해
11:00 ~ 13:00 화학물질관리법의 이해1 14:00 ~ 16:00 화학물질관리법의 이해2 16:00 ~ 18:00 기본소양교육
2일차 09:00 ~ 13:00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기준이해 및 자체점검 14:00 ~ 18:00 장외영향평가와 위해관리계획
3일차
09:00 ~ 11:00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작업자 노출방지 방법 11:00 ~ 13:00 화학물질 노출시 응급조치
14:00 ~ 16:00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법령
16:00 ~ 18:00 화학물질의 유해성 분류 및 표시방법
4일차
09:00 ~ 11:00 화학사고 대비대응방법
11:00 ~ 13:00 개인보호구, 방제장비 등 선정기준과 방법 14:00 ~ 15:00 개인보호구 착용실습
15:00 ~ 16:00 화학사고 동영상 16:00 ~ 18:00 질의 응당 및 평가시험 [표 2.2.12] 유해화학물질물관리자 교육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