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 적합도를 가진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4, 3, 2요인 모형들과 단독요 인 모형은 각각의 NFI, CFI, TLI, RMSEA 값들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 로 확인되었다. 4요인 모형과 비교했을 때 5요인 모형은 자유도 4를 희 생하여 Chi-square값을 547.26만큼 낮춘다. Chi-square값 분포표를 참고 했을 때 상당히 유의미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현상은 5요인 모형과 다른 모든 대안 모형들 사이의 카이스퀘어 값을 비교해 보았을 때 모두 같은 방식으로 나타난다. 즉, 본 연구에서 가정한 5요인 모형은 다른 대안모형에 비해 변인들 간의 관계를 잘 설명해 준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제5절 가설 검증

<표 13-2 완전매개 여부 검토 결과-성인 애착 회피의 조절 효과 모형>

구 분 완전매개 모형 불완전매개 모형

Chi-square 121.996 121.938

자유도 77 76

성인 애착 불안과 회피가 각각 조절 변인으로 들어간 두 모형 모두에 서, 불완전 매개 모형은 완전매개모형에 비하여 자유도 1이 낮아졌지만 Chi-square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낮아졌다. 이 결과는 완전 매개모형이 더 우수함을 의미한다. 또한, 각 변인들간의 다중공선성 여부 를 확인하기 위해 SPSS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검증하였다.

<표 14-1 공선성 통계량-성인 애착 불안이 조절 변인으로 포함된 모형>

공차 VIF

서번트 리더십 .98 1.02

성인애착 불안 .98 1.02

<표 14-2 공선성 통계량-성인 애착 회피가 조절 변인으로 포함된 모형>

공차 VIF

서번트 리더십 .99 1.01

성인애착 불안 .99 1.01

일반적으로 VIF값이 10 미만이면,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다고 본다.

분석결과 VIF 값이 모두 1점대로 작으므로 다중공선성의 문제로부터 자 유롭다고 볼 수 있다.

<그림3-1> 모형 1의 각 변인들 간 표준화 회귀 계수 (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s)

<그림3-1> 모형 2의 각 변인들 간 표준화 회귀 계수 (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s)

5.1.1 매개효과 분석

본 연구의 연구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SEM 분석을 수행하였다. 성인 애착 불안이 조절 변인으로 들어간 모형의 경우 (χ2 = 139.662 (df = 77, p<.001), CFI = .976; NFI = .949; TLI = .967; RMSEA= .047)와 성인 애착 회피가 조절 변인으로 들어간 모형의 경우 (χ2 = 121.996 (df = 77, p<.001), CFI = .983; NFI = .955; TLI = .977; RMSEA= .040) 모두 모 델의 적합지수는 충분히 적절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성인 애착 불안이 조절 변인으로 들어간 모형의 경우, 서번트 리더십 이 상사신뢰를 증가(B= .54, p<.001)시킴으로써 가설 1을 지지하고, 상사 신뢰가 이직의도를 감소(B= -.49, p<.001))시키는 것을 지지하였다. 성인 애착 회피가 조절 변인으로 들어간 모형의 경우, 서번트 리더십이 상사 신뢰를 증가(B= .52, p<.001)시킴으로써 가설 1을 지지하고, 상사신뢰가 이직의도를 감소(B= -.49, p<.001))시키는 것을 지지하였다.

5.1.2 조절효과 분석

성인애착 회피와 불안 차원이 서번트 리더십과 상사신뢰의 관계를 조 절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변인인 서번트 리더십과 조절변인인 성 인애착 불안 및 회피 등을 곱하여 상호작용항을 계산하였다. 이 상호 작 용항이 상사신뢰로 향하는 경로가 유의하면 조절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 로 해석할 수 있다. 서번트리더십과 성인애착 불안의 상호작용항 (B=

-.13, p<.01))과 서번트 리더십과 성인애착 회피의 상호작용항 (B= -.18, p<.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성인애착 불안과 회피 모두 서번트 리더십의 긍정적인 효과를 악화시키는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인애착의 불안 수준의 정도가 높을 때, 서번트 리더십이 상 사신뢰를 높이는 효과는 떨어졌다. 이와 마찬가지로 성인애착 회피 수준 의 정도가 높을 때 서번트 리더십이 상사신뢰를 높이는 효과는 떨어졌 다. 성인애착 불안과 회피가 서번트 리더십과 상사신뢰 사이의 관계를 조절한다는 가설4-1과 4-2 등을 뒷받침한다.

<그림4-1>서번트 리더십과 상사신뢰의 관계에서 성인애착 불안의 조절효과

<그림42>서번트 리더십과 상사신뢰의 관계에서 성인애착 회피의 조절효과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