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조약법상의 의무
현재 방사성물질 관련 국제조약을 포함하여 표 참고 육상에서 파이프를 통하여 또는 육상시설에서 해양으로 직접 방사성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것
핵사고 또는 방사능 관련 비상시 원조 협약 (The Convention on Assistance in Case of a
Nuclear Accident or Radiological Emergency)
한국 일본 가입
협약 당사국 사이에 핵 관련 사고에 대한 원조를 요청 하고 지원받는 것에 관한 협약
현 사고 방지 또는 처리와 직접 관련 없음 년 월 일 발효
핵사고 조기 통보 협약 (The Convention on Early
Notification of a Nuclear Accident)
한국 일본 가입
원전 사고로 방사성 물질이 유출되어 국제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우에 적용 가능 핵사고 관련 정보를 최대 한 신속히 타국에 제공함으로써 핵물질의 국경을 초월 한 이동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함 해양 오염 관련 구체적 규정 없음
년 월 일 채택 년 월 일 발효
핵발전소 설계 및 운영의 국제적 기준 지정을 위한
핵 안전협약 (The 1994 Convention on
Nuclear Safety: CNS)
한국 일본 가입
사고 예방 기준을 설립하는 협약
협약의 원칙을 이행하였을 경우 인센티브를 주어 준수 를 유도 불이행은 제재를 가하지는 아니함
년 월 일 채택 년 월 일 발효
사용 핵연료 관리 및 방사성 폐기물 관리 안전에 관한 공동협약 (the Joint Convention on the
Safety of Spent Fuel Management and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한국 일본 가입
사용연료 및 방사성 폐기물 관리 시설로부터 또는 그러한 폐기물과 관련한 폐기물 투기에 한하여 적용 원자로의 냉각수 방출과 관련된 후쿠시마 사례에는 적용되지 아니함
년 월 일 채택 년 월 일 발효
핵 피해 민사책임 비엔나협약
(The Vienna Convention on Civil Liability for Nuclear
Damage)
한국 일본 미가입
보상책임은 원전 운영자에 있고 운영자 실수 여부와는 상관없이 발생한 피해에 대한 보 배상 책임 있음 보 배상 책임 재기는 년 이내만 허용
년 월 일 채택 년 월 일 발효
핵피해 추가배상 협약 (Convention on Supplementary Compensation
for Nuclear Damage)
보상책임은 원전 운영자에 있고 운영자 실수 여부와는 상관없이 발생한 피해에 대한 보 배상 책임 있음 보 배상 책임 재기는 년 이내만 허용
년 월 일 채택 미발효 [ 표 1. 방사성물질 관련 국제조약 현황 ]
1962년 핵선박 운항자 책임에 관한 협약 (1962 Brussels Convention on the Liability of Operators
of Nuclear Ships)
선박의 핵연료 핵물질 핵선박의 폐기물과 관련하여 발생 하는 사고 및 피해에 대한 보 배상 책임
미발효
1971년 핵물질 해상운반 분야 민사책임에 관한 협약 (Convention Relating to Civil Liability in the Field of Maritime
Carriage of Nuclear Material)
한국 일본 미가입
핵물질 해상운반과 관련해 발생하는 피해 보 배상책임 년 월 일 채택 년 월 일 발효
년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오염수 배출 사고 이후 동년 월 개최된 폐기물 투기 금지를 위한 런던협약 의정서 당사국 회의에서 한국대표단이 방사능 오염수 배출 관리안을 제출하였으나 미국 일본 등의 반대로 런던 의정서 하의 관리가 무산
일반국제법 원칙
유엔해양법협약 제 조 항 자국 관할하에서 발생한 오염이 타국 또는 공해 를 오염시키지 아니하도록 모든 조치를 취할 의무 제 조 육상기원 해양오염 방지를 위한 법 조치 등의 채택 의무 부과 등을 적용할 수 있음 아래 참고
해양법협약 제194조(2)항
각국은 자국의 관할권 및 통제하의 활동이 다른 국가와 자국의 환경을 오염시켜 피해를 주지 않도록 보장하고 그 러한 활동으로 발생하는 오염이 이 협약에 따라 자국이 주권적 권리를 행사하는 지역 밖으로 확산되지 아니하도록 보장하는데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해야 한다
해양법협약 제207조 (육상기원 오염)
각국은 국제적으로 합의된 규칙 기준 및 권고 관행과 절차를 고려하여 강 하구 관선 및 배출시설을 비롯한 육상기원 오염원에 의한 해양환경오염을 방지 경감 및 통제하기 위한 법령을 제정해야 한다
각국은 이러한 오염을 방지 경감 및 통제하기 위하여 필요한 그 밖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각국은 이와 관련하여 적절한 지역차원의 정책적 조화
각국은 개발도상국의 지역적 특성 경제적 능력 및 경제 개발의 필요성을 고려하여 권한있는 국제기구나 외교 회의를 통하여 육상오염원에 의한 해양환경 오염을 방지 경감 및 통제하기 위한 세계적 지역적 규칙 기준 및 권고관행과 절차를 확립하기 위하여 노력한다 이러한 규칙 기준 및 권고관행과 절차는 필요에 따라 수시로 검토해야 한다
제 항 항 및 항에 언급된 법령 조치 규칙 기준 및 권고관행과 절차에는 특히 지속성 있는 유독 유해물질 의 해양환경으로의 배출을 가능한 최소화시키기 위한 절차도 포함되어야 한다
상기한 포괄적 의무 조항은 권리를 명시하지 않고 의무만 명시 오염피해국이 상기한 조항을 근거로 타국 관할 하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오염국 에 대해 집행할 수 없음
상기한 의무 위반 결과 발생한 실질적 구체적인 피해에 대해 보상 청구 시도할 수 있음
국제판례
육상시설에서의 방사능 오염 냉각수 배출에 대한 국제적 보 배상 판례는 전무 피해보상 또는 예방조치를 위한 국제재판을 제기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하기한 사례를 포함한 간접적으로 관련된 판례의 분석이 필요
개별 조약 규정 없이 해양법협약 제194(2)항 (관습법)의 구체적 발현을
인정한 사례 연구
는 년 우르과이 펄프공장 사건에서 사전통보의 의무 를 해당 관습법의 구체적 발현물로 봄
방사성 물질에 의한 해양오염 가능성에 대한
국제재판소 처분
핵연료 재처리 시설인 영국의 건설과 관련해 해양오염 방지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결정
초국경 환경오염에 대한 배상 책임
캐나다 제련소 에서의 대기오염원이 미국내 입힌 피해에 대한 국가배상책임 부과
수산물 등의 수입 금지에 대한 국제법적 타당성 분석
성장호르몬 사용 쇠고기 수입금지 조치 해제 결정
국제연성법
예방적 접근법 오염자 부담의 원칙 등을 방사능 오염수 해양배출 예방 대응에 적용 가능
이들 원칙은 환경보호의 지침이며 자체적으로 구속력 있는 규정 은 아님 이들 원칙을 해당 오염에 실질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관련 조약 규정의 채택 또는 새 조약 개발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