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 해양환경관리공단(KOEM)

Dalam dokumen 해양과학기술 전략개발 연구 (Halaman 73-77)

연안환경 측정망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연안환경 측정망의 조사항목에 방사성물질을 추가 하여 년부터 연안의 개 정점에서 해수 및 퇴적물 중의 일부 인공 방사성 물질 분석 시작

[ 연안환경측정망 정점 ]

해양환경관리공단의 조사는 원자력 위원회로부터 연구 학술만의 목적으로 한정되어 있음

년 현재는 감마선 측정장치 대로 세슘 만 측정하지만 년 도입을 위하여 이미 플루토늄 방사능비가 측정가능한 를 구매요구 한 상태임

원자력안전기술원과 마찬가지로 연안의 해수 및 퇴적물 중 일부 인공방사성 물질의 배경농도 파악이 주된 목적

※ 해양환경관리공단의 해양 환경방사능 조사는 현재는 연안역에서의 단순한 일부 인공방사성핵종의 배경농도 파악이 목적이지만 점차 그 역량을 확충하기 위한

3.2 KIOST의 해양환경 방사능 조사 연구 현황

구소련 동해 핵폐기물 투기해역 3국 공동조사시 우리나라 대표로 참가 년 러시아 정부의 방사성폐기물 해양투기에 관한 백서에서 구소련에 의해 동해에 핵폐기물을 투기한 것을 발표하여 한 일 러 국에 의한 투기 해역 공동조사시 한국 대표기관으로 참가함

동해에 투기된 방사성 폐기물의 종류별 투기량 파악 및 투기해역 해양환경 및 방사능 조사를 수행함

조사결과 동해의 방사성물질 농도 분포도 등 의 우수성이 국제적으로 인정 되어 저명저널인 의 표지그림으로 채택되는 성과를 거둠

[ Deep-Sea Research 표지그림 ]

원자력안전기술원은 업져버로 참가하여 우리 해양과기원으로부터 해양환경 방사능 시료채취 및 분석기술을 배워서 현재의 해양환경 방사능 감시 사업 의 기반을 마련함

1999~2001년 해양환경 방사능 감시기술 개발

당시 과학기술부 원자력안전기술원의 방사선 안전규제 기술개발 사업 의 세부과제로 수행

국내 최초의 우리나라 주변해역의 가장 많은 정점에서 다양한 시료에 대한 대규모 해양환경 방사능 조사 연구

동해 서해 남해의 약 개 정점에서 해수 퇴적물 침강입자 해양생물 주요하천 및 대기시료중의 인공방사성 핵종 조사

우리나라 주변해역 인공방사성 핵종 종류별 농도 분포도 작성 해양으로 유입되는 하천 및 대기물질 중의 농도파악 및 입력량 산정 해양유입 방사성 핵종의 기원 및 유입경로 파악

[ 우리나라 주변해역 인공방사성 핵종 농도분포도 및 해역별 평균 배경농도 ]

2012~2013년 : 수산생물 방사능 농축, 전이 연구 및 방사능 오염도 평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방사성 물질의 수산물 농축 영향 및 오염사례 연구 의 세부과제로 수행

국내외 방사성물질의 해양내 이동 확산 모델 및 수산물 영향 분석 모델의 비교 분석

수산생물 방사능 감마핵종 농축 및 전이 연구

수입산 및 국내산 수산물 방사능 감마핵종 오염도 평가

[ 각 수산물별 Cs-137의 방사능 농도 ]

2012~ 진행중 : 환경충격에 따른 해양환경 영향 예측 시스템 개발

I. 해양 방사능 충격

원내 기본사업으로 북태평양의 해양방사능 거동 및 해양생물로의 방사능 축적 예측 시스템 개발 및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적용

해양 방사능 거동 모델 개발

해양생물로의 축적 및 피폭선량 산정 시스템 구축 방사능 오염현황 분석

2011.12~ 진행중 : 한

중 핵안전 모니터링 및 방사능 거동 예측시스템 개발 협력연구

북서태평양 해역의 원전관련 정보 후쿠시마 사고 이전 및 이후의 해양방 사능 모니터링에 관한 정보교환 돌발적인 방사능 유출사고시 신속 정확한 방사능 해양거동 예측 모델링 기술 개발 협력

3.3 국내외 해양환경 방사능 거동 및 해양생물 영향 예측 모델 개발 현황

Dalam dokumen 해양과학기술 전략개발 연구 (Halaman 73-77)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