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대사성 질환자 운동지도 계획
학습 목표
• 대사성 질환자의 운동 수행 전 관련 변인들의 수준에 따라 운동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 대상 회원과의 상담을 통하여 질환별 운동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운동처방을 위한 의학검사
근본적으로 위험인자의 수량적 평가를 하는 것이 의학검사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이외에 건강상태 파악, 운동부하검사의 가부 판정, 부상 및 사고의 방지, 안전한 운동 프 로그램 작성을 위한 정보 획득의 목적도 가지고 있다.
1. 호흡·순환기능 검사 (1) 혈압 측정
심장이 수축하여 혈액이 뿜어나갈 때 혈관에 미치는 압력을 수축기혈압이라고 하고 심장이 확장할 때 혈관에 유지되는 압력을 확장기혈압이라고 한다. 수축기혈압 120mmHg 이하, 확장기혈압 80mmHg 이하여야 정상이며, 맥압은 40mmHg 정도를 유지 하는 것이 좋다.
(가) 혈압 측정 시 주의 사항
1) 운동 후 적어도 한두 시간이 지난 다음에 혈압을 잰다.
2) 담배를 피우거나 커피를 마셨으면 30분 후에 혈압을 잰다.
3) 술을 마셨을 때에는 정확한 혈압이 나오지 않는다.
4) 병원에서 잴 때에는 5분 정도 가만히 앉아 쉬었다가 혈압을 잰다.
(2) 폐기능 검사
폐기능 검사란 호흡곤란의 원인 규명, 폐기능 상태가 운동에 견딜 수 있는지의 판정을
위해 이루어지는 검사로 일반적으로 환기능력 검사만을 폐기능 검사라고 한다. 폐기능 장애의 유무 및 장애의 진행 상태, 치료 효과 등을 판정하기 위해 진행한다.
용어 정상치 임상적 의의
폐활량
(vital capacity: VC)
남: 4.8L 여: 3.2L
- 최대흡기 후 호기할 수 있는 최대호기량 1초간 노력성호기량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남: 4.8L 이상 여: 3.2L 이상
- 최대노력성호기를 시작한 후 1초간 내쉰 기량으로 기도 폐쇄의 정도를 반영하는 가장 유용한 지표이다.
1초간 노력성호기량의 노력성 폐활량에 대한 비율
(FEV1/FVC)
75% 이상
- 기도 폐쇄의 지표로 사용되며 75% 이하는 기도 폐쇄를 의미한다.
최대호기속도
(peak expiratory flow rate:
PEFR)
약 500~600L/min
- 호기 시 나타나는 유량 중 최대를 나타내는 수치로 검사자의 노력에 상관되는 부분이 많다.
최대환기량
(maximal voluntary ventilation:
MVV)
약 160~180L/min
- 1분간 자발적 노력에 의한 심호흡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최대의 환기량(흡기량) 출처: 김재구·노호성. 운동처방총론·대경북스
<표 2-1> 폐기능을 나타내는 용어
2. 혈액 검사
질병의 진단, 치료 및 예후를 판정하기 위한 검사 방법이다.
(1) 형태학적 검사
혈색소, 혈구용적,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수, 백혈구의 세포 백분율 등을 측정하는 혈 구검사 및 혈액도말검사를 실시한다. 또 출혈시간, 응고시간, 모세혈관저항 등을 검사 해서 출혈 경향, 혈액질환, 감염증 등의 진단과 각종 질환의 경과와 예후 판정에 참고 할 수 있다.
(2) 생화학적 검사
혈액 내의 각종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혈청단백질, 전해질, 혈당, 요소, 질소, 각종 지질, 혈청효소 활성이나 호르몬 활성 등을 측정하여서 각종 질환의 진단이나 경 과 관찰에 도움을 준다.
(3) 면역혈청 검사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에 대한 항원 및 항체를 검사하는 것으로 B형 간염, C형 간염,
수 있다.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는 물질에 대한 혈액 내 특정 면역 글로불린을 측정하 여 알레르기의 원인을 밝힌다.
(4) 특수 화학검사
심근경색증, 갑상선 기능 항진증 및 저하증, 각종 대사산물의 선천성 또는 후천성 대 사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이다.
(5) 혈액 검사 항목
(가) 일반 혈액 검사(WBC, RBC, Hb, HCT, MCV, MCH, MCHC, platelet) 1) 적혈구 관련 질환
빈혈, 철 대사 및 철 결핍성 빈혈, 거대적아구성 빈혈, 용혈성 빈혈 등 2) 지혈 및 혈전 관련 질환
혈소판이상, 선천성 응고인자 이상 질환, 파종성 혈관 내 응고증 및 관련 증후 군 등
3) 백혈구 관련 질환
림프절, 비장 및 단핵구-대식세포계 이상 질환, 조직구증식 증후군, 백혈병, 골 수 이형성 증후군 등
(나) 혈액형 검사(ABO, Rh)
(다) 간기능 관련 검사(SGOT, SGPT, ALP, r-GTP, Total protein, albumin, total bilirubin) 급·만성 간염, 간질환, 간경변, 알코올성 장애, 지방간, 황달, 영양상태
(라) 신장기능 관련 검사(BUN, creatinine, uric acid) 신부전, 요독증, 통풍성 질환
(마) 지질 관련검사(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동맥경화, 지방간
(바) 심장기능 관련 검사(LDH, CPK) 심근경색, 다발성 근염
(사) 췌장 및 혈당 관련 검사(amylase, glucose) 급·만성 췌장염, 당뇨
(아) 혈청면역 관련 검사(VDRL, anti-HIV, HBs Ag, HBs Ab) 매독, 에이즈, B형 간염 감염 및 면역 여부
3. 소변 검사
소변 검사는 소변을 분석하여 여러 가지 질병 여부를 확인하는 기초검사이다.
항목 정상치 관련질환
요단백(protein) 음 성 신장질환, 신부전, 과로, 요로감염증 등 요당(glucose) 음 성 당뇨병, 췌장염, 임신, 뇌내출혈 등 케톤체(ketone body) 음 성 당뇨병성 케토시스, 기아, 심한 구토 등 우로빌리노겐(urobilinogen) 음 성 간세포장애, 용혈성 빈혈 등
요잠혈(urine occult blood) 음 성 요로질환, Hgb뇨증 등
백혈구(WBC) 음 성 방광염, 신우신염, 무균성 농뇨 등 요pH(pH) 5.0 ~ 8.0 Acid: 중증 당뇨병, 통풍, 기아 등
Alka: 요로감염, 결석증, 구토 등 비중(SG) 1.005 ~ 1.030 저비중: 신부전 등
고비중: 탈수증, 당뇨병 등 빌리루빈(bilirubin) 음 성 간질환장애, 황달 등 출처: 김재구·노호성. 운동처방총론·대경북스
<표 2-2> 소변 검사 항목과 관련 질환
수행 내용 / 대사성 질환자 운동지도 계획하기
재료·자료
Ÿ 의학적 권고 사항 Ÿ 운동계획표
Ÿ 질환별 운동지도 운영 매뉴얼 Ÿ 생활체육 지도사 연수 자료
Ÿ 구 생활체육1급 지도사(현 건강운동관리사) 과정 연수 서적 Ÿ 응급처치법 연수 자료
기기(장비・공구)
Ÿ 혈압계, 혈당계, 심박수 측정기, 체성분 측정 장비, 운동부하검사장비, 체력검사장비 Ÿ 유산소성 운동장비(ex: 러닝머신, 고정자전거 등)
Ÿ 무산소성 운동장비(ex: 프리웨이트 장비, 근육별 머신웨이트 장비 등) Ÿ 소도구(ex: 짐 볼, 밴드, 매트, 튜빙 등)
안전・유의 사항
Ÿ 대사성 질환자의 운동 수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 및 주의 사항을 준수한다.
Ÿ 질환자의 상태를 주관적(상담, 통증 정도 등), 객관적(심박수, 혈압, 혈당 등) 요소들을 통해 종합적 으로 판단하여 운동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수행 순서
운동처방을 위한 호흡·순환기 검사를 한다.
1.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혈압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혈압 검사를 진행한다.
(1) 아날로그 혈압계를 사용하여 혈압을 측정한다.
(가) 청진기를 귀에 착용하고 청진기의 머리를 팔꿈치 안쪽의 팔과 커프 사이에 끼워 넣는다.
(나) 고무펌프를 이용하여 커프에 공기를 빠르게 주입한다. 이때 압력은 평상시 자신의 수축기혈압보다 30~40mmHg 정도 더 올린다.
(다) 고무펌프의 밸브를 열어서 초당 2~3mmHg 정도로 커프의 압력을 떨어뜨린다.
밸브를 너무 많이 열면 압력이 빨리 떨어져서 정확한 혈압 측정을 할 수 없다.
(라) 커프의 공기를 빼면서 청진기로 들려오는 첫 번째 심장 박동 음이 들리는 수은주의 높이가 바로 수축기혈압이다. 더 이상 심장 박동 음이 들리지 않 는 압력이 이완기혈압이다.
(마)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을 기록한다. 보통 수축기혈압을 먼저, 이완기혈압 을 나중에 기입한다.
(2) 디지털 혈압계를 사용하여 혈압을 측정한다.
(가) 커프를 팔에 감고 혈압계의 스위치를 켠다.
(나) 자동적으로 공기가 주입되었다가 빠지면서 액정판에 혈압이 표시된다.
(다) 표시된 혈압을 기록한다.
2. 폐기능 검사를 진행한다.
(1) 나이, 성별을 확인하고 신장과 체중을 측정한다.
(2) 피검자를 의자에 앉힌다.
(3) 피검자가 상체를 편하게 하고 앉도록 유도하고 측정 전에는 앞으로 약간 기울일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4) 피검자의 턱은 약간 올리고 고개는 살짝 뒤로 젖힌다.
(5) 입으로만 숨을 쉴 수 있도록 코를 집게로 막는다.
(6) 폐활량계와 연결된 튜브를 통하여 숨을 쉬게 한다. 이때 숨이 입과 튜브 사이로 새나가지 않게끔 지도한다.
(7) 숨을 가장 최대로 깊숙이 들이마시게 한 다음 가능한 가장 빠른 속도로 온힘을 다하여 내쉬게 한다. ‘그만’이라고 말하기 전에 숨을 들이쉬지 못하게 지도한 다. 최소 6초 이상 내쉬어야 한다.
(8) 위와 같은 과정을 적어도 3회 반복 시행하여 검사를 완료한다.
의료인이 검사한 검사결과를 기초로 운동방법 기준을 정한다.
수행 tip
Ÿ 의료행위의 경우 반드시 전문 의료인이 진행해야 한다.
2-2. 대사성 질환자 운동 지도
학습 목표
• 대사성 질환자를 위해 작성된 운동계획표를 이용하여 준비운동을 지도할 수 있다.
• 대사성 질환의 유형에 따라 개인별 신체 기능을 고려하여 적정 강도의 범위를 설정 한 후 근육 운동을 지도할 수 있다.
• 대사성 질환의 유형에 따라 개인별 신체 기능을 고려하여 적정 강도의 범위를 설정 한 후 유산소 운동을 지도할 수 있다.
• 대사성 질환자의 식단표 구성 매뉴얼을 통하여 질환자 회원 대상에 따라 맞춤형 식 단표를 제시할 수 있다.
• 대사성 질환자가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리 및 감독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고혈압
1. 고혈압의 병 상태
고혈압으로 인한 직접적 질환에는 고혈압성 뇌증, 뇌출혈, 지주막하출혈, 심비대, 심부전, 신부전, 대동맥류 등이 있으며, 간접적 질환에는 동맥경화로 인한 뇌경색, 심근경색, 협심 증, 폐색성 동맥경화증 등이 있다. 고혈압 치료의 목적은 단순히 혈압을 낮추는 것이 아니 라 뇌·심혈관병을 예방하고 예후를 개선하는 데 있다.
분류 수축기 확장기
정상 120 미만 80 미만
고혈압 전단계 120 ~ 139 80 ~ 89
제1기 고혈압(경증 고혈압) 140 ~ 159 90 ~ 99 제2기 고혈압(중등도 고혈압) 160 ~ 179 100 ~ 109 제3기 고혈압(중증 고혈압) 180 이상 110 이상 출처: 대한고혈압학회
<표 2-3> 고혈압의 분류
2. 고혈압의 운동요법 (1) 운동요법의 의의
운동요법이 혈압강하 효과가 있다는 것은 오래 전부터 보고된 사실이다. 대략 수축기 혈압은 10~14mmHg, 확장기혈압은 5~10mmHg의 강하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