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M1204030309_14v1.3)
3-1. 근·골격계 질환자 운동지도 계획
학습 목표
• 근·골격계 질환자의 운동 수행 전 관련 변인들의 수준에 따라 운동 수행 가능 여부 를 판단할 수 있다.
• 근·골격계 질환자의 목적에 맞는 운동 프로그램을 계획할 수 있다.
• 개별 운동수준을 테스트하여 근·골격계 질환 회원의 운동 강도, 빈도, 시간 등을 고 려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운동 프로그램 작성을 위한 의학검사
근본적으로 위험인자의 수량적 평가를 하는 것이 의학검사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이외에 건강상태 파악, 운동부하검사의 가부 판정, 부상 및 사고의 방지, 안전한 운동 프 로그램 작성을 위한 정보 획득의 목적도 가지고 있다.
1. 전신 X선 촬영
척추측만(scoliosis), 요추전만, 골반 변형(pelvic rotation), 좌우 다리 길이의 차이 등 골격의 균형과 관련된 문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2. 근·관절 기능 평가
등속성 운동기기를 이용해 여러 관절 부위(무릎, 어깨, 발목, 손목, 팔꿈치, 엉덩이)의 기능 과 그 관절을 지탱하는 근육 및 인대의 힘을 측정·분석하여 근력 불균형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운동 상해를 예측하고 관절 및 근육의 문제점과 통증의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수행 내용 / 근·골격계 질환자 운동지도 계획하기
재료·자료
Ÿ 의학적 권고 사항 Ÿ 운동계획표
Ÿ 질환별 운동지도 운영 매뉴얼 Ÿ 생활체육 지도사 연수 자료
Ÿ 구 생활체육1급 지도사(현 건강운동관리사) 과정 연수 서적 Ÿ 응급처치법 연수 자료
기기(장비・공구) Ÿ 응급처치 키트
Ÿ 혈압계, 혈당계, 심박수 측정기, 체성분 측정 장비, 체력검사 장비, 운동부하검사 장비 Ÿ 유산소성 운동 장비(ex: 러닝머신, 고정자전거 등)
Ÿ 무산소성 운동 장비(ex: 프리웨이트 장비, 근육별 머신웨이트 장비 등) Ÿ 소도구(ex: 짐 볼, 밴드, 매트, 튜빙 등)
안전・유의 사항
Ÿ 근·골격계 질환자의 운동 수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 및 주의 사항을 수용한다.
수행 순서
운동 프로그램 작성을 위한 의학검사 데이터를 확보한다.
※ 전문 의료인의 검사결과를 바탕으로 운동프로그램을 작성한다.
수행 tip
Ÿ 의료행위의 경우 반드시 전문 의료인이 진행해야 한다.
근·관절 기능 평가를 진행한다.
1. 근력, 근지구력 검사를 진행한다.
2. 좌우 비대칭을 검사한다.
3. 굴근과 신근의 불균형 상태를 검사한다.
3-2. 근·골격계 질환자 운동지도
학습 목표
• 근·골격계 질환 회원의 저항성 운동 프로그램 진행 시 기능성 도구 장비를 활용 할 수 있다.
• 근·골격계 질환 회원의 저항성 운동 프로그램 진행 시 등장성, 등척성, 등속성 트레이닝에 관한 운동 원리와 운동 효과를 설명할 수 있다.
• 근·골격계 질환자가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관리 감독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근·골격계 질환의 종류
무리한 힘의 사용, 반복적인 동작, 부적절한 자세 등의 요인에 의해 근육과 신경, 힘줄, 인대, 관절 등의 조직이 손상되어 신체에 나타나는 건강장애를 말한다.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 진행 단계
[그림 3-1]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 진행 3단계
근·골격계 질환자의 운동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도구 및 장비 1. 폼롤러
출처: (주) 이안스포츠_클럽용품 [그림 3-2] 폼롤러
2. 필라테스 링
출처: (주) 이안스포츠_클럽용품 [그림 3-3] 필라테스 링
3. 밴드
출처: (주) 이안스포츠_클럽용품 [그림 3-4] 밴드
4. 볼
출처: (주) 이안스포츠_클럽용품 [그림 3-5] 볼
※ 근·골격계 질환자 운동지도의 응급상황 대처 필요 지식은 학습 1의 1-3. 응급상황 대처 학습 내용을 참조한다.
수행 내용 / 근·골격계 질환자 운동 지도하기
재료·자료
Ÿ 의학적 권고 사항 Ÿ 운동계획표
Ÿ 질환별 운동지도 운영 매뉴얼 Ÿ 생활체육 지도사 연수 자료
Ÿ 구 생활체육1급 지도사(현 건강운동관리사) 과정 연수 서적 Ÿ 응급처치법 연수 자료
기기(장비・공구) Ÿ 응급처치 키트
Ÿ 혈압계, 혈당계, 심박수 측정기, 체성분 측정 장비, 체력검사 장비, 운동부하검사 장비
Ÿ 유산소성 운동 장비(ex: 러닝머신, 고정자전거 등)
Ÿ 무산소성 운동 장비(ex: 프리웨이트 장비, 근육별 머신웨이트 장비 등) Ÿ 소도구(ex: 짐 볼, 밴드, 매트, 튜빙 등)
안전・유의 사항
Ÿ 근·골격계 질환자의 운동 수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 및 주의 사항을 수용한다.
수행 순서
근·골격계 질환자를 위한 운동의 강도를 설정한다.
1. 유산소 운동의 강도를 작성한다.
(1) 운동 강도: 최대 심박수의 75% 이하 (2) 운동 시간: 1회 운동 시 최소 20~60분 (3) 운동 빈도: 주당 2~5회
2. 저항 운동의 강도를 작성한다.
(1) 반복 횟수: 4~16회(반복마다 4~6초의 느린 속도로 진행한다) (2) 세트 수: 종목 당 최소 1세트 이상
(3) 운동 빈도: 주당 2~3회 3. 유연성 운동의 강도를 작성한다.
(1) 운동 강도: 멈추기 전 약간의 불편함이 느껴지는 단계 (2) 운동 시간: 동작당 10~30초
(3) 운동 빈도: 근육군당 2~4회
근·골격계 질환자의 유연성 운동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1. 폼롤러를 사용한 운동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1) 요추(허리) 근육을 이완시켜주는 동작을 지도한다.
[그림 3-6] 요추
(가) 폼 롤러 위에 허리 부분을 위치시킨다.
(나) 양쪽 발로 중심을 잡고 두 손을 가슴 위에 위치시킨다.
(다) 무릎을 굽히며 폼 롤러를 굴려준다.
(2) 경추(목) 근육을 이완시켜주는 동작을 지도한다.
[그림 3-7] 경추(목)
(가) 두 팔을 이용해 폼 롤러를 고정한 후 폼 롤러 위에 목을 위치시킨다.
(나) 왼쪽, 오른쪽 왔다갔다 하면서 뭉쳐 있는 근육을 풀어준다.
(다) 이 동작을 60~90초 정도 한다.
(3) 흉추(등) 근육을 이완시켜주는 동작을 지도한다.
[그림 3-8] 흉추(등)
(가) 앉은 자세에서 등 위치에 폼 롤러를 대고 무릎은 구부린다.
(나) 두 손을 가볍게 가슴 위에 올려놓는다.
(다) 무릎을 구부렸다 폈다 하면서 체중을 실어 등 근육을 풀어준다.
(라) 이 동작은 60~90초 정도 해준다.
2. 일상생활에서 할 수 있는 근·골격계 질환 예방 스트레칭 방법을 지도한다.
(1) 손목 꺽기 동작을 지도한다.
- 손목을 위·아래로 쥐고 스트레칭 해준다.
[그림 3-9] 손목 꺽기
(2) 깍지 껴 늘리기 동작을 지도한다.
- 깍지를 껴 앞·뒤로 늘려준 다음 위로 들어 늘려준다. 위로 늘려줄 때에는 귀 뒤로 넘겨주도록 한다.
[그림 3-10] 깍지 껴 늘리기
(3) 몸통비틀기를 지도한다.
(가) 다리를 가지런히 쭉 뻗은 상태로 바닥에 앉는다.
(나) 상체를 곧게 하고 오른쪽 무릎을 굽힌 상태로 오른쪽 다리를 왼쪽 다리 위 로 겹친다. 오른발은 왼쪽 무릎의 바깥쪽 바닥에 놓는다.
(다) 상체를 오른쪽으로 틀어 왼쪽 팔꿈치를 오른쪽 무릎의 바깥쪽에 놓는다.
(라) 둔부를 바닥에 둔 채로 머리와 어깨를 오른쪽으로 근육의 당김이 느껴질 정 도로 틀고 오른쪽 무릎으로 왼쪽 팔꿈치를 고정시킨다. 양쪽 방향 모두 한다.
[그림 3-10] 몸통비틀기
(4) 누워서 무릎 가슴 닿기를 지도한다.
(가) 다리를 모아 곧게 펴고 바닥에 반듯하게 눕는다.
(나) 양 무릎을 구부려 대퇴부를 가슴까지 끌어당긴다. 손으로 무릎을 감싸고 허 리가 스트레칭 되는 것을 느끼며 최대한 당긴다.
[그림 3-11] 누워서 무릎 가슴 닿기
※ 근·골격계 질환자 운동지도의 응급상황 대처 수행 내용은 학습 1의 1-3. 응급상황 대처 학습 내용을 참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