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 분야별 계획
2) 금융산업
가) 일반 현황
GRDP
❍ 전라북도의 경제 규모는 2003년 전국의 3% 수준이 깨진 이후, 2019년 2.7% 수준 가까이 하락한 가운데 전라북도의 금융 및 보험 산업 비중은 , GRDP의 5.0% 수준 으로 국민연금공단과 기금운용본부 이전 이후 조금씩 상승하고 있음
자료 통계청 지역소득: ( ) 그림
[ 5-2] 전라북도 금융산업 부가가치 기준 LQ 및 비중
❍ 지역 특화도(LQ) 측면에서는 1.0보다 낮아 타 지역과 비교하였을 때 특화되어 있다고 , 볼 수 없지만 금융산업의 특성상 대부분 서울에 집중되어 있어 비수도권 중 도 단위 , 지역의 금융산업 특화도와 비교하면 높은 수준에 속함
지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금융LQ 2.2227 1.1013 1.1406 0.6580 1.0014 0.8851
지역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금융LQ 0.3501 0.6350 0.5867 0.6826 0.4879 0.3776
지역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금융LQ 0.8370 0.4767 0.4993 0.6602 0.9271 자료 통계청 지역소득: ( )
표
[ 5-16] 지역별 금융산업 LQ 비교
지역산업과의 금융연관비율
❍ 지역산업과의 금융연관비율은 지역의 금융기관 여 수신 합계액을 지역내총생산· (GRDP) 으로 나눈 비율로 금융연관비율이 높으면 소득에 비해 금융자산으로 축적되는 비율이 높아 실물경제를 뒷받침할 수 있을 정도로 금융산업이 성숙되어 있다고 볼 수 있음
❍ 2021년 기준으로 금융연관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이며 전라북도는 번째로 , 7 높은 지역이지만 도 단위 지역 중에서는 제주 다음으로 높은 지역으로 금융 부분이, 실물경제를 뒷받침할 수 있을 정도로 성숙 단계로 가고 있음
지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금융연관 비율(%) 8.0604 4.0372 4.6308 2.7802 3.4981 3.3634
지역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금융연관 비율(%) 1.4357 2.8481 2.3895 2.4643 1.8405 1.4817
지역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금융연관 비율(%) 3.1338 1.7865 2.0014 2.6955 3.6828 자료 통계청 지역소득 한국은행 통화금융통계: ( ), ( )
표
[ 5-17] 지역별 금융연관비율 비교
자금 유출 현황
❍ 전라북도 금융산업이 도 단위 지역 중에서는 비중이 높고 특화가 되었다고 볼 수 있지만 지역금융기관에서 확보한 자금이 타 지역으로 유출됨에 따라 지역의 실물,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음
❍ 도 단위 지역의 지역자금 역외유출 규모를 보면 전라북도의 지역금융기관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 자금 유출 규모 측면에서 전라북도는 경북 다음으로 크며 수신액 대비 순유출율은 , 강원 전남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음,
❍ 전라북도는 전북은행이라는 지방은행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순유출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금융이 지역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전북 소재 기업들이 대규모 투자를 통한 금융기관의 대출 수요 창출이, 힘들어 금융과 실물간의 연계성이 떨어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단위 십억 원: , %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순유출율
경기 12,926.0 13,236.0 19,227.2 12,825.4 -3,818.9 -0.6%
강원 28,403.1 28,551.1 29,528.4 27,766.7 29,719.6 38.5%
충북 17,873.8 17,753.9 20,820.1 21,299.7 20,285.4 25.7%
충남 15,932.4 17,430.6 20,719.2 19,873.9 17,994.7 17.8%
전북 23,622.2 28,333.4 35,880.5 36,726.2 36,898.6 35.0%
전남 34,598.8 35,878.2 37,581.8 37,459.3 35,416.9 36.7%
경북 34,250.8 35,633.7 39,530.3 38,437.3 38,001.2 28.8%
경남 14,669.0 14,927.1 19,368.0 19,724.3 15,021.6 9.5%
제주 4,227.7 2,489.5 3,837.7 1,530.2 -447.5 -1.2%
자료 한국은행 통화금융통계: ( ) 표
[ 5-18] 도 단위 지역 지역자금 역외유출 규모
나) 금융산업 인프라
인프라
❍ 전북혁신도시 내 입주한 국민연금공단 본사를 중심으로 집적지구 구축으로 금융산업 인프라를 갖추어 가고 있음
- 국민연금 제 사옥 글로벌 기금관 전북테크비즈센터 준공2 ( ),
- 전북금융센터 건립 및 금융타운 내 숙박 회의시설 조성 추진 예정·
❍ 2019년 월 국민연금법 개정으로 기금운용과 관련한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근거1 를 마련하게 됨에 따라 국민연금공단과 금융투자협회가 공동으로 자산운용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교육프로그램 운영 중
❍ 전북대 전주대를 중심으로 연금 및 금융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학과를 개설하였, 으며 지역대학 연계 백오피스 인력 교육을 진행하고 있음,
❍ 국민연금공단 IT R&D 센터 및 금융혁신 빅데이터 플랫폼 센터 구축을 통해 핀테크 벤처 양성 및 금융혁신환경을 마련하고 있음
인센티브 및 지원제도
❍ 전라북도는 지역 금융산업 육성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15년 금융산업 육성에 「 관한 조례 를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 3년마다 금융산업 발전에 관한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음
❍ 전라북도 금융산업발전 기본계획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음 - 금융산업 육성에 관한 정책의 기본방향 및 목표
- 이전한 금융공공기관의 안정적 정착 지원 및 상호 협력에 관한 사항 - 금융기관 유치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금융전문인력 양성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금융산업 육성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 금융산업 육성과 관련하여 전라북도 금융산업발전위원회를 두어 다음의 주요 사항에 대해 심의와 자문을 하고 있음
- 기본계획 수립과 변경
- 금융기관 투자유치를 위한 중요 정책 수립
- 금융산업 관련 인력양성 방향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금융산업 육성을 위한 재정적 행정적 지원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금융산업 육성과 관련하여 위원장이 회의에 부치는 사항
❍ 국민연금공단의 연기금 및 자산운용을 중심으로 하는 혁심금융 중심지로 자리잡기 위해 연기금 운용 및 대체투자 관련 금융산업 및 금융기관 유치를 위한 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주요 금융정책 내 용
전라북도 유치 금융기관 인센티브 제공
·투자금액 억 원 초과 및 상시고용 명 이상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투자1 5 보조금 신규고용보조금 교육훈련자금 지원, ,
지역산업 육성지원을 위한 재정 및 금융지원 사업
·전라북도 유망중소기업 선정 지원 성장잠재력이 높고 기술경영 및 판매: 력이 우수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건실도 성장잠재력 기업역량 평가 등, , 을 통해 경영안정자금 융자한도 상향 및 이차보전 우대 지원
·창업기업 육성을 위한 벤처펀드 조성 등 참여 지원
·전북 군산형 일자리 참여 운영자금 지원을 위한 상생펀드 조성 소상공인 경영안정 자금
지원
·중소기업 보증지원을 위한 전라북도 서울보증 업무 협약을 통한 보증수수- 료 할인 지원
·전북신보 협약 금융기관을 통한 소상공인 경영안정자금 특례보증 및 이차, 보전 지원
표
[ 5-19] 전라북도 주요 금융 지원사업
❍ 금융네트워크 확장을 외해 연 회 국제금융컨퍼런스를 1 2018년부터 개최하고 있으며, 금융학술대회 등을 통해 금융산업 인적 물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