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 분야별 계획
1) 농생명산업
가) 일반 현황
농림어업 지역총생산
❍ 2021년 전라북도 지역총생산에서 농림어업은 7.1%를 차지하며 전국 평균, (1.8%)보다 매우 높은 수준으로 지역경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산업임
❍ 2010년 대비 전북의 농림어업 생산액 증가율은 29.0%로 전국에 비해 2.0p 낮은 수준을 기록하였으나 여전히 전국 농림어업 생산액의 10.5%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구분 2010년 2015년 2021 (년 잠정치) 증감율
('10/'21)
금액 비율
전국 총생산 1,327,443,926 1,660,844,316 2,076,254,437 100.0% 56.4%
농림어업 28,360,518 33,229,204 37,158,199 1.8% 31.0%
전 북
총생산 37,740,823 47,018,028 55,461,662 100.0% 47.0%
농림어업 3,032,091 3,676,762 3,910,363 7.1% 29.0%
비 중
총생산 2.8% 2.8% 2.7%
농림어업 10.7% 11.1% 10.5%
주 명목 지역총생산 시장가격 활용
: ( )
자료 통계청 지역소득 각 연도 : , 「 」, 표
[ 5-1] 전라북도 농림어업 지역총생산
단위 백만 원:
농업생산
농업인구 및 경지면적 현황
①
❍ 2020년 기준 전북의 농가수는 전국의 9.0%, 농업인구는 8.6%를 차지하며, 10년 전에 비해 각각 14.7%, 28.3% 감소하는 등 전국 평균보다 높은 감소추세에 있음
❍ 2021년 기준 도내 농촌지역의 고령화율(65세 이상 인구 은 ) 34.6%로 지속해서 증가 하고 있으며 출산율은 , 0.85명으로 감소하여 지방소멸문제가 시급한 과제로 대두됨
구분 2010년 2015년 2020년 증감율('10/'20) 농가 호( ) 농업인 명( ) 농가 호( ) 농업인 명( ) 농가 호( ) 농업인 명( ) 농가 호( ) 농업인 명( ) 전국 1,177,318 3,062,956 1,088,518 2,569,387 1,035,193 2,314,064 -12.1% -24.4%
전북 109,433 277,611 100,362 227,431 93,305 199,157 -14.7% -28.3%
비율 9.3% 9.1% 9.2% 8.9% 9.0% 8.6%
자료 통계청 농어업총조사 각 연도 : , 「 」, 표
[ 5-2] 농가 및 농업인구 현황
❍ 20 년 기준 도내 경지면적은 전국의 20 15.3% 수준으로 10년 전보다 2.0p 증가하였으며, 호당 경지면적은 1.19ha로 전국 평균보다 1.7배 넓은 면적을 보유하고 있음
구분 2010년 2015년 2020년 증감율('10/'20)
전국 886,516ha 797,957ha 726,180ha -18.1%
호당 0.75ha 0.73ha 0.70ha -6.8%
전북
134,123ha 121,740ha 110,875ha -17.3%
호당 1.23ha 1.21ha 1.19ha -3.0%
비율 15.1% 15.3% 15.3%
자료 통계청 농업면적조사 각 연도 : , 「 」, 표
[ 5-3] 경지면적 현황
농업생산 및 가축사육 현황
②
❍ 2021년 기준 재배면적 비중은 식량작물(83.7%), 채소류(8.6%), 과수류(4.2%), 특용 작물(3.5%) 순이며, 특화도는 식량(1.21), 근채(1.34), 과채(1.18), 조미채소(1.14) 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2010년에 비해 도내 생산량 증가율은 조미채소(46.6%), 과채류(30.8%), 근채류 (25.3%), 과실류(19.0%) 순이었으며 식량작물과 엽채류는 각각 , 9.1%, 5.8% 감소함
구분 전국 전북
년 톤
2010 ( ) 2021 ( )년 톤 증감율('10/'21) 2010 ( )년 톤 2021 ( )년 톤 증감율('10/'21) 식량작물 4,836,456 4,456,952 -7.8% 760,402 691,330 -9.1%
과채류 2,052,198 1,761,337 -14.2% 155,730 203,665 30.8%
엽채류 2,560,941 2,555,028 -0.2% 218,723 206,023 -5.8%
근채류 1,141,461 1,284,450 12.5% 142,534 178,649 25.3%
조미채소 2,435,866 2,675,420 9.8% 132,173 193,756 46.6%
과실류 2,215,718 2,109,490 -4.8% 75,997 90,405 19.0%
자료 통계청 농산물생산조사 각 연도: , 「 」, . 표
[ 5-4] 농업생산량 현황
❍ 축종별로 전북은 오리(1.27)와 닭(1.01)의 특화도가 높은 편이며 오리를 제외한, 닭(33.7%), 한 육우· (33.3%), 돼지(15.6%), 젖소(3.1%) 등 모든 축종이 2010년 보다 사육마리수가 증가하였음
구분 전국 전북 년 마리
2010 ( ) 2021 (년 마리) 증감율('10/'20) 2010 (년 마리) 2021 (년 마리) 증감율('10/'20) 한 육우· 2,921,844 3,589,459 22.8% 332,917 443,630 33.3%
젖소 429,547 400,798 -6.7% 31,852 32,840 3.1%
돼지 9,880,632 11,216,566 13.5% 1,200,632 1,387,565 15.6%
닭 149,199,689 177,194,164 18.8% 23,782,973 31,795,683 33.7%
오리 15,223,064* 6,752,058 -55.6% 3,502,208* 1,521,591 -56.6%
주 통계자료 한계로 인해 가장 가까운 분기인 년 분기를 사용하였음
: 2011 2 .
자료 통계청 가축동향조사 각 연도: , 「 」, 표
[ 5-5] 가축 사육두수 현황
농가소득 현황
③
❍ 2021년 기준 전북의 농가소득은 전국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47,459천원 수준이며, 년에 비해 증가하여 전국 평균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임
2010 52.6%
❍ 전북의 농업소득(14,350천원 은 전국 위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지난 ) 2 , 10 간 년 이전소득(167.7%), 농외소득(56.5%), 농업경영비(43.4%)의 증가세가 두드러짐
구분 2010년 2015년 2021년 증감율('10/'21)
전국 전북 전국 전북 전국(a) 전북(b) (b)-(a) 전국 전북
농가소득 32,121 31,105 37,215 36,129 47,759 47,459 -300 48.7% 52.6%
농업소득 10,098 13,292 11,257 9,850 12,961 14,350 1,389 28.4% 8.0%
농업총수입 27,221 29,976 33,654 32,536 37,190 38,290 1,100 36.6% 27.7%
농업경영비 17,123 16,684 22,398 22,686 24,229 23,940 -289 41.5% 43.5%
농외소득 12,946 9,275 14,939 15,623 17,884 14,519 -3,365 38.1% 56.5%
이전소득 5,610 6,127 7,906 8,021 14,809 16,403 1,594 164.0% 167.7%
비경상소득 3,467 2,411 3,114 2,636 2,105 2,187 82 -39.3% -9.3%
가계지출 27,672 25,243 30,613 28,464 35,500 32,689 -2,811 28.3% 29.5%
자료 통계청 농가경제조사 각 연도: , 「 」, . 표
[ 5-6] 농가소득 현황
단위 천원 ( : )
후방산업 종자
①
❍ 전국대비 전북의 종자산업 사업체 비중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1%를 유지하고 있으며 종사자수는 , 2010년 9.8%에서 2019년 5.3%로 감소함
❍ 도내 사업체수는 2010년 13개소에서 2019년 28개로 증가한 반면 종사자수는 , 161명 에서 125명으로 22.4% 감소하였음
구분 2010년 2015년 2019년 종사자수 증감률(’10/’19) 사업체 개소( ) 종사자 명( ) 사업체 개소( ) 종사자 명( ) 사업체 개소( ) 종사자 명( )
전국 129 1,642 199 2,115 278 2,366 44.1%
전북 13 161 18 141 28 125 △22.4%
비중 10.1% 9.8% 9.0% 6.7% 10.1% 5.3% -
자료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 각 연도: , 「 」, 표
[ 5-7] 종자 및 묘목 생산업 사업체 종사자 현황·
미생물
② 36)
❍ 전국대비 전북의 미생물산업 사업체 비중은 2010년 6.7%에서 2019년 6.0%로 감소한 반면 종사자는 , 4.5%에서 5.3%로 증가함
❍ 전북의 미생물산업 사업체수는 2019년 835개로 2010년보다 80.6% 증가하였으며, 종사자수는 112.1% 증가한 12,534명 수준임
구분 2010년 2015년 2019년 종사자수
증감률(’10/’19) 사업체 개소( ) 종사자 명( ) 사업체 개소( ) 종사자 명( ) 사업체 개소( ) 종사자 명( )
전국 7,053 130,048 10,959 180,569 13,952 234,853 80.6%
전북 470 5,909 746 10,210 835 12,534 112.1%
비중 6.7% 4.5% 6.8% 5.7% 6.0% 5.3% -
주 조사가 누락된 부분은 계산에서 제외하였음: . 자료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 각 연도: , 「 」,
표
[ 5-8] 미생물산업 사업체 종사자·
농자재 및 농기계
③
❍ 2019년 기준 전국대비 전북의 농자재산업 비료 농약 살균 살충제 제조업 비중은 ( , , · ) 사업체가 9.7%, 종사자는 9.5%, 매출액은 9.7%로 전국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임
36) 미생물산업의 범위는 김진석 외(2016) 연구의 유형분류를 참고하였으며 당시 표준산업분류는 차 개정으로 최근 , 9 년에 적용된 차 개정에 맞추어 수정하였음
2019 10 .
구분 2010년 2015년 2020년 증감률(’10/’20)
전국
사업체 수 개소( ) 871 1,305 1,902 118.4%
종사자수 명( ) 9,732 10,024 12,144 24.8%
매출액 백만 원( ) 3,545,431 5,199,290 5,680,272 60.2%
전북
사업체 수 개소( ) 82 138 185 125.6%
종사자수 명( ) 792 1,061 1,159 46.3%
매출액 백만 원( ) 252,211 481,449 551,725 118.8%
표
[ 5-9] 비료 농약 및 살균 살충제 제조업 사업체 종사자 매출액, , · ·
❍ 2019년 기준 전국대비 전북의 농기계산업 농업 및 임업용 기계 제조업 비중은 사업체( ) 종사자수 매출액 를 차지함
7.8%, 12.2%, 22.1%
- 도내 사업체수는 2010년 58개소에서 2019년 181개로 212.1% 증가했으며 같은 , 기간 종사자수는 4.2% 감소한 반면에 매출액은 22.8% 증가하였음
구분 2010년 2015년 2020년 증감률(’10/’20)
전국
사업체 수 개소( ) 1,041 1,581 2,318 122.7%
종사자수 명( ) 10,599 12,790 13,942 31.5%
매출액 백만 원( ) 2,668,429 3,648,883 4,028,060 51.0%
전라북도
사업체 수 개소( ) 58 119 181 212.1%
종사자수 명( ) 1,776 2,204 1,701 △4.2%
매출액 백만 원( ) 726,276 1,127,079 891,735 22.8%
비중
사업체 수 5.6% 7.5% 7.8%
-
종사자수 16.8% 17.2% 12.2%
매출액 27.2% 30.9% 22.1%
자료 통계청 경제총조사 각 연도: , 「 」, . 표
[ 5-10] 농업 및 임업용 기계 제조업 사업체 종사자 매출액· ·
전방산업
농식품 가공 및 유통
①
❍ 2020년 기준 도내 농축산물 가공법인은 742 (개 전국의 14.6%), 유통법인은 815개 전국의
( 10.7%)로 2018년 이후 각각 연평균 2.2%, 11.8% 증가하였음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CAGR(‘18~’20) 전국
전체 농업법인 개( ) 21,780 23,315 24,499 6.1%
농축산물 가공법인 개( ) 4,517 4,928 5,093 6.2%
농축산물 유통법인 개( ) 6,735 7,215 7,599 6.2%
전북
전체 농업법인 개( ) 2,588 2,781 2,906 6.0%
농축산물 가공법인 개( ) 710 707 742 2.2%
농축산물 유통법인 개( ) 652 736 815 11.8%
자료 전라북도 내부자료: . 표
[ 5-11] 농축산물 가공 및 유통법인 현황(2018~2020 )년
❍ 도내 식품가공 및 제조산업의 경우 2010년과 비교해 2020년 사업체수는 29.3%, 종사자수 40.2%, 매출액 65.3% 증가하는 등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임
구분 2010년 2015년 2020년 증감률(’10/’20)
비중
사업체 수 9.4% 10.6% 9.7%
-
종사자수 8.1% 10.6% 9.5%
매출액 7.1% 9.3% 9.7%
자료 통계청 경제총조사 각 연도: , 「 」, .
구분 2010년 2015년 2020년 증감률(’10/’20) 전국
사업체 수 개소( ) 54,269 57,954 71,965 32.6%
종사자수 명( ) 278,712 331,564 390,901 40.3%
매출액 백만 원( ) 74,351,879 101,886,726 125,885,623 69.3%
전라북도
사업체 수 개소( ) 3,623 4,067 4,685 29.3%
종사자수 명( ) 20,532 25,435 28,791 40.2%
매출액 백만 원( ) 6,825,784 9,331,941 11,283,111 65.3%
비중
사업체 수 6.7% 7.0% 6.5%
-
종사자수 7.4% 7.7% 7.4%
매출액 9.2% 9.2% 9.0%
자료 통계청 경제총조사 각 연도: , 「 」, . 표
[ 5-12] 식품 가공 및 제조산업 사업체 종사자 매출액· ·
❍ 전북의 농산물 산지유통센터(APC)는 2021년 기준 36개소와 산지통합마케팅조직 16개 법인이 있으며 이들 조직 대부분이 도매시장에 출하하는 비중이 높음,
❍ 로컬푸드 직매장의 경우 도내 총 40개소가 개설되어 있으며 매출액은 , 2012년 48백만 원에 서 2021년 1,300백만 원으로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임
- 전체 직원수는 281명이며 직매장 출하농가 , 10,766호에서 11,804개 품목을 취급 중
농식품 수출
②
❍ 2021년 기준 전북지역 농수산식품 수출액은 전년대비 9.8%가 증가한 438,315천 불로 전국의 4.3% 수준에 불과함
❍ 가공농식품이 66.6%로 가장 많고 신선농산물과 축산물은 각각 , 5.6%, 6.2% 비중을 차지하며 가공농식품은 전년대비 , 19.3% 증가한 반면에 축산물은 20.3% 감소함
구분 2020년
금액 천 불( )
년
2021 점유율
(%) 비 고
금액 천 불( ) 증감률(%)
합계 399,185 438,315 9.8% 100 -
신선농산물 24,475 24,719 1.0% 5.6 파프리카 배 장미, , 가공농식품 244,819 292,019 19.3% 66.6 면류, 사료 펫푸드( ), 제과
축산물 34,108 27,192 △20.3% 6.2 닭고기 삼계탕 쇠고기( ),
임산물 2,100 2,907 38.4% 0.7 섬유판 목재류,
수산물 93,683 91,479 △2.4% 20.9 마른김 조미김, 자료 전라북도 내부자료:
표
[ 5-13] 연도별 농수산식품 수출실적(2021년 기준)
동물용의약품 및 반려동물 산업 현황
③
❍ 도내 동물용의약품 사업체수는 2020년 기준 개소 정도이며 동물용 사료 및 조제식품 4 , 산업 관련 사업체는 2019년 130개로 2010년 대비 202.3% 증가하였으며 같은 기간 , 종사자수는 70.4%, 매출액은 60.9% 증가함
구분 2010 2015 2020 증감률(’10/’20)
전국
사업체 수 개소( ) 512 841 1,633 218.9%
종사자수 명( ) 8,647 10,793 12,597 45.7%
매출액 백만 원( ) 8,661,416 11,869,175 11,916,604 37.6%
전라북도
사업체 수 개소( ) 43 77 130 202.3%
종사자수 명( ) 872 1,159 1,486 70.4%
매출액 백만 원( ) 1,622,005 2,210651 2,609,255 60.9%
비중
사업체 수 8.4% 9.2% 8.0%
-
종사자수 10.1% 10.7% 11.8%
매출액 18.7% 18.6% 21.9%
자료 통계청 경제총조사 각 연도: , 「 」, . 표
[ 5-14] 동물용 사료 및 조제식품 제조업 사업체 종사자 매출액· ·
나) 농생명 혁신클러스터 현황
종자생명산업
❍ 종자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민간육종연구단지 종자산업진흥센터( , 2011 )년 를 조성 김제시 농촌진흥청 방사선육종연구기반 정읍 등을 연계한 혁신거점 구축, ~ ~ ( )
❍ 민간육종연구단지를 중심으로 종자기업이 집적되어 종자관련 정보공유가 활발히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며 종자기업 간에 협력 및 경쟁이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됨,
❍ 종자산업진흥센터는 종자산업 육성 관련 지원시설 설치 전문인력 지원 창업 및 경영, , 지원 유통활성화 및 해외진출 지원 종자업자에 대한 지원 등 기능을 수행, ,
- 입주기업 수출시장 확대형 개소 수출시장 개척형 개소 역량강화형 개소: 2 , 8 , 9
❍ 김제시는 민간육종연구단지와 연계하여 종자생명산업특구 지정(2016) 등 노력을 경주, 년 최우수 특구 선정 위 개 지역특구
2019 (1 /197 )
미생물산업
❍ 미생물을 활용한 연구개발 및 산업화 유전자원 및 방사선육종 연구기능을 연계한 발효, 식품과 기능성식품 등 고부가가치 식품산업을 선도
❍ 전북은 미생물가치평가센터에 이어 미생물육성센터까지 유치해 정읍을 거점으로 미생물 산업밸리가 형성될 것으로 전망됨
❍ 미생물가치평가센터 농축산용미생물산업화센터 고부가가치식품 가공기술개발사업, , (17개 과제 및 상품화 지원 등 미생물 관련 ) R&D와 산업화 인프라를 구축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북분원 미생물융합기술연구( , 친환경바이오소재연구, 생물산업 공정연구 등), 첨단방사선연구소 방사선융합생명공학연구 등( ), 순창장류 특구를 연계한 미생물과 생물소재 발효식품에 특화된 연구 및 산업화 역량 보유,
국가식품산업
❍ 농림축산식품부는 식품산업의 기술혁신과 해외 수출시장 개척을 목적으로 익산시에 식품전문 국가산업단지 한국식품클러스터진흥원( , 2,322천㎡)를 조성하고, 식품기업 집적화를 추진 중임
- 단계 사업단지 및 배후도시 조성을 마무리하고1 , 2단계 조성사업이 추진 중이며 토지, 이용은 산업시설권역 식품, R&D권역 기업지원시설, (HW)권역 테마파크권역 이주단지 등 , , 기타 권역으로 이루어질 계획임
- 간편식 건강기능식 등 변화하는 소비트렌드에 맞춘 미래형 유망 선도기업을 중점적으로 · 육성하고 있음
❍ 식품기업지원시설로 식품기능성식품평가센터, 식품품질안전센터, 식품패키징센터, 파일럿플랜트 식품벤처센터 소스산업화센터, , , HMR기술지원센터 등 구축 및 운영 - 기능성식품제형센터 청년식품창업센터 원료중계공급센터 기능성원료은행 준공 예정, , ,
❍ 기업유치는 106개사 국내 ( 105, 외투 1) 계약체결 식품벤처센터 , 40개사 입주 완료
동물용의약품
❍ 익산시에 동물의약품 분야를 전략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전북대학교 인수공통전염병 연구소를 중심으로 동물질병진단센터, 동물의약품효능안전성평가센터 등 연구지원 및 산업화에 필요한 인프라를 단계적으로 구축해가고 있음
❍ 1단계로 동물용의약품 효능 안전성 평가센터 건립을 추진 중에 있음‘ · ’ (2021~2023)
❍ 2단계 계획으로 동물용의약품 시제품 생산지원 플랫폼 구축‘ ’ (2023~2024) 예정 - 시제품 우수제조시설(GMP) 1개소 조성 연구개발을 위한 중소기업 생산지원시설 포함,
❍ 3단계로 반려동물 의약품 사료 첨가제 등 임상시험지원센터 구축· ( ) ‘ ’ (2023~2025) 획계 - 반려동물 의약품 개발을 위한 임상 상 시험시설3 (Test bed), 반려동물 전용 의료기기
개발 관련 시험 시설 의료용 패치 진단의료기기 임플란트 인공관절 등 조성 추진(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