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CONTENTS

Chapter Ⅴ Achievements of objectives and contributions to the related area

1. 기술적 측면

전 지구적 환경 변화는 해양생태계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기후 온난화로 인해 해양에서 생태환경 변화가 가속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 으며 동해에서도 최근 수 십 년간 심층수의 용존산소가 감소하고 어류의 종조성이, 아열대성에서 열대성으로 변하고 있다 특히 동해는 우리나라 주변해 가운데 유일하. 게 수심이 2,000m 이상 되는 심해로서 수심이 깊어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심해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전 세계 바다 중에서 최고 높은 이산화탄소 흡수 능력을 갖고 있, 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해양 환경 변화 요인을 정확하게 진단하여 향후 기후. 변화 시나리오에 대한 예측 능력을 확보하고 이를 대처하기 위한 장기적이고 체계 적인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기후변화에 따라 해양의 수온이 상승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근해의 표층수온은 지난,

년간 년 약 상승하였다 이것은 해양의 성층이 강화되는 것

37 (1968~2004 ) 1.0℃ .

으로 이로 인하여 해양생태계에 여러 가지 복합적인 현상이 일어난다 따라서 기후, . 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해양예측모델 결과를 분석하여 동해의 성층화가 어떻게 진전 될 것인가를 예측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 용승은 수온약층이 형성된 해양에서 영양염이 고갈된 표층에 저층의 풍부한 영양염 을 공급함으로써 해양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용승은 바람의 방향과 세기. 그리고 성층구조와 관계있다 용승에 대한 이론적인 역학은 정립이 되어 있는 상태. 이므로 우리나라 동해 남부해역에 맞는 이론모델을 수립하여 바람과 성층구조를 매 개변수로 용승을 정량화 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몬순의. 변화와 관련해 바람의 변화에 따른 용승의 빈도와 강도가 장기적으로 어떻게 변화, 할지 예측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 식물플랑크톤은 biological pump를 통해 인간이 대기로 방출한 이산화탄소를 흡수 함으로서 지구기후변화의 속도를 늦추고 있다 또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 아지면 해양은 더 따듯해지고 산성화가 진행되어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 및 생체 량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생지화학적 순환의 변화로 연결되고 주요피드백 시.

스템에 영향을 미쳐 향후 지구온난화의 심각성을 증폭 혹은 완화 시킬 수 있으나 이데 대해 아직까지 잘 알지 못한다 따라서 해양의 생지화학적 순환과 그의 기후. 피드백(feed back)국제연구프로그램인 SOLAS와 IMBER, 그리고 SCOR, 와 같은 지구시스템에 관한 국제공동연구에서 WCRP.IGBP, DIVERSITAS, CAGCP

생지화학적 순환과 식물플랑크톤의 역할이 가장 우선순위로 해야 할 연구로 분류되 어 있다.

◦ 해수 산성화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생리 반응에 대한 연구는 아직 시작단계에 있으 며 국제적으로도 표준화가 되어있지 않다 최근 국제적으로 해수 산성화에 따른 해, . 양생물의 반응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 되면서 향후 표준화 방안에 대하여 검, 토가 진행 중에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해수 산성화에 따른 해양생물 반응을 모니. 터링 할 수 있는 기술 축적이 시급히 필요하다.

◦ 기후변동에 따른 미세생물 구조변화 및 해양생태계 반응 전반에 대한 현상파악 관( 측)-원인규명 해양과정 이해( )-대안제시 예측 를 위한 중장기적인 생태계 프로세스( ) 연구는 전무하다. 최근의 수온상승에 따른 해양생태계 내 미생물의 생산력 및 호흡량 증가는 수층으로의 이산화탄소 재순환을 촉진하여 해양의 생물펌프 기능 및 이산화탄, 소 저장고 기능을 약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동해의 수온변화 및 이산화탄소 변화에 따른 미생물의 생산력 및 호흡율 변화 연구를 통해 환경 변화에 따른 미생 물 요인의 변화가 동해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은 생태계 장기 변동 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이다.

경제 산업적 측면 2. ․

◦ 급속한 산업화로 인한 화석연료 사용 증가는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를 대기 중으 로 방출시켜 지구온난화를 일으키고 있다 화석연료 사용에 의해 방출된 이산화탄소. 의 30% 가량이 해양으로 흡수되기 때문에 해양은 기후변화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 할을 한다.

◦ 선진각국에서는 기후협약을 통해 이산화탄소 방출을 규제하려고 하고 있다.

◦ 환경문제에 대한 국제적인 규약과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북미와 유럽연합은 환경자. 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완성단계에 이르렀으며 이러한 환경정보와 환경관련 자, 료를 이용하여 무기화하고 있다.

◦ 최근 수 십 년 사이에 동해 생태 환경의 다양한 변화 용종산소 증가 어류량 증가 에 대한( , ) 변화 요인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향후 변동에 대한 예측 능력을 확보하는 것은 동해 수산업 과 환경 보전 등 부가가치를 지속적으로 개발 관리하기 위하여 국가가 보유하여야 할 핵심, 적 과학 기술 중 하나이다.

◦ 용승은 직접적으로 해양의 생산성과 관련되어 있어 용승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해역 이나 시기에는 수산자원이 풍부하여진다 따라서 용승을 정량화하여 예측할 수 있다. 면 수산업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성층현상 역시 장기적인 예측을 하여 생태. 계에 미칠 영향과 그에 따른 수산자원의 변동을 예측하는 것은 수산업의 방향을 결 정할 수 있는 정책 자료가 될 수 있다.

◦ 해수 산성화가 하위준위 영양 단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로 인한 해양생태계 변화를 예측하는데 필수 적인 연구 분야이다 이러한 연구는 생태계 기반을 둔 수산자원 관리에 필요한 생태. 계 모델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합리적인 수산자원 관리는 국가. 의 경제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해수 산성화에 따른 해양생물의 변, , 화에 대한 연구는 궁극적으로 국가 산업에 기여할 수 있다.

사회 문화적 측면 3.

◦ 근래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가뭄 홍수 등의 환경재해로 인류의 생존이 심각하게 위, 협받고 있으며 환경피해 복구비용으로 천문학적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

◦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체계 적 인 연구를 통해 기후 변화에 따른 생태계 장기 변동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 용승이 일어나는 해역은 영양염이 풍부하므로 어류의 먹이가 되는 플랑크톤이 번성 하게 되고 좋은 어장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고래도 회유하여 장기적으로는 관광자 원으로 이용가능하다.

◦ 해양 산성화에 따른 플랑크톤 반응에 대한 연구는 해양생태계 먹이그물에서 하위준 위 영양 단계의 중요성을 부각시킬 수 있으며 이들의 생리적 반응에 따른 개체군의, 증감이 해양생태계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여러 홍보 매체를 통하여 국민에게 전달 시킴으로써 지구환경 변화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수준을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 이, 산화탄소 저감의 필요성에 대한 국민적인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

제 2 절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연구개발의 목표 1.

지구 온난화에 의해 예상되는 해양생태계의 장기적인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제반기술을

동해 남서부를 대상으로 선택적으로 시행하여 평가하고 문제파악과 함께 장래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연차별 연구개발 세부목표 및 내용 2.

가. 1차년도(2008 )년

구 분 세 부 목 표 내 용 및 범 위

차년도 1

(2008)

용승의 정량화에 대한 기술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