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내장산국립공원-내장저수지

제 3 장 연 구 결 과

3 장 연구결과

1. 속리산국립공원 - 삼가저수지

. 기초 수환경 특성

◦ 조사지점별 물리적 하상구조는 표 3과 같고, 이화학적 환경인 수온, DO, 전기전도도,

pH는 그림 8과 같다.

◦ 하상구조는 모래와 펄이 주를 이루었으며, 자갈과 잔자갈 위에 모래와 펄이 쌓여 있었다.

조사지점 하상구조(%)*

큰돌 돌 자갈 잔자갈 모래 펄

1 5 5 10 10 30 40

2 5 5 15 15 20 40

3 10 10 15 15 30 20

* 하상구조: 큰돌(>256 mm), (64~256 mm),자갈(16~64 mm), 잔자갈(2~16 mm), 모래(0.06~2 mm), (0.06 mm<)

<표 3> 삼가저수지의 조사지점별 물리적 환경

◦ 조사시기에 따른 수온은 조사지점별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용존산소(DO)는 1차조사 시에는 8.4㎎/L로 조사지점 3에서 조금 낮게 나타났으며, 2차조사와 3차조사시에는 각각 11.5㎎/L와 10.2㎎/L로 다른 지점에 비해 조금 높게 나타났다.

◦ pH는 1차 조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3차 조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1차 조사시에는 10.0으로 조사지점 2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2차와 3차 조사시에는 각각 9.6과 8.0으로 조사지점 3에서 높게 나타났다.

◦ 전기전도도는 1차 조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3차 조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1차조사시에는 조사지점별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2차 조사와 3차 조사시 에는 각각 119.7μS/㎝와 85.1μS/㎝로 조사지점 3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림 8> 조사지점의 이화학적 특성( :1차, :2차, :3차)

. 어류서식 현황

(1) 전체 어류상

◦ 3회에 걸친 어구(魚具)조사 결과 삼가저수지에서 채집된 어류는 총 4목 6과 10종

4,404개체, 17,846g이었으며, 이 중 한국 고유종은 참몰개, 참갈겨니 2종이었고, 외래

도입종은 배스 1종이었다. 이 중 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어종인 배스는 1.52%의 상대풍부도2)를 나타내었다(그림 9, 표 4).

◦ 우점종은 피라미(86.06%)였으며, 밀어(8.20%), 참몰개(1.68%), 배스(1.52%) 등의 순이 었고, 나머지 종들은 1% 미만으로 출현하였다(그림 9).

◦ 생체량에 따른 우점종은 피라미(47.28%)였으며, 배스(42.98%), 참몰개(2.87%), 메기

(2.77%), 가물치(2.12%) 등의 순이었고, 나머지 종들은 1% 미만으로 출현하였다

(그림 9).

◦ 1차 조사에서는 8종 267개체, 3,824g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참몰개가 70개체, 464g 으로 우점하였고, 밀어가 68개체, 68g으로 아우점하였다. 배스는 51개체, 3,085g이 채집되었다. 2차 조사에서는 6종 1,266개체, 4,164g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피라미가 957개체, 715g으로 우점하였고, 밀어가 291개체, 81g으로 아우점하였다. 배스는 13개체,

2) 1.52%의 상대풍부도: 전체를 100%로 보았을 때 배스가 차지하는 비율

2,456g이 채집되었다. 3차 조사에서는 5종 2,871개체, 9,858g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피라미가 2,824개체, 7,581g으로 우점하였다(표 4). 배스는 3개체, 2,130g이 채집되었다.

◦ 삼가저수지에서는 모든 조사시기에 배스가 출현하였으나 삼각망과 투망, 족대에 의한 조사에서는 출현 개체수가 많지 않았다. 그러나 생체량은 42.98%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그림 9> 삼가저수지에서 어구에 의해 채집된 어류

학명 및 국명

1 2 3 합계 RA(%)

N W(g) N W(g) N W(g) N W(g) N W(g) Order Cypriniformes 잉어목

Family Cyprinidae 잉어과

Cyprinus carpio 잉어 25 14 25 14 0.57 0.08

Pungtungia herzi 돌고기 1 15 1 15 0.02 0.08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참몰개* 70 464 3 39 1 9 74 512 1.68 2.87

Zacco platypus 피라미 9 141 957 715 2,824 7,581 3,790 8,437 86.06 47.28

Zacco koreanus 참갈겨니* 2 6 41 136 43 142 0.98 0.80

Order Siluriformes 메기목 Family Siluridae 메기과

Silurus asotus 메기 1 494 1 494 0.02 2.77

Order Osmeridae 바다빙어목 Family Osmeridae 바다빙어과

Hypomesus nipponensis 빙어 41 31 41 31 0.93 0.17

Order Perciformes 농어목 Family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Micropterus salmoides 배스◎ 51 3,085 13 2,456 3 2,130 67 7671 1.52 42.98

Family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68 68 291 81 2 2 361 151 8.20 0.85

Family Channidae 가물치과

Channa arga 가물치 1 379 1 379 0.02 2.12

합 계 267 3,824 1,266 4,164 2,871 9,858 4,404 17,846

총 종수 8 6 5 10

*: 한국고유종, : 외래종, RA: 상대풍부도

<표 4> 삼가저수지에서 어구에 의해 채집된 어류

(2) 어구별 어류상 () 삼각망

◦ 3회의 삼각망 조사에 의해 채집된 어류는 총 3목 6과 10종 3,007개체, 14,396g이었 으며, 이 중 한국 고유종은 참몰개, 참갈겨니 2종이었고, 외래도입종은 배스 1종이 었다. 이 중 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어종인 배스의 상대풍부도는 0.53%로 나타났으나, 생체량에서는 33.61%를 차지하였다(그림 10).

◦ 우점종은 피라미(94.51%)였으며, 참몰개(2.16%), 빙어(1.36%) 등의 순이었고, 나머지 종들은 1% 미만으로 출현하였다(그림 10).

◦ 생체량에 따른 우점종은 피라미(55.57%)였으며, 배스(33.61%), 메기(3.43%), 참몰개

(3.33%), 가물치(2.63%) 등의 순이었고, 나머지 종들은 1% 미만으로 출현하였다

(그림 10).

◦ 7절 삼각망을 이용한 조사에서는 1차 조사에서 3종 5개체, 1,033g으로 매우 적은 양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배스는 1개체, 933g이 채집되었다. 2차 조사에서는 5종

21개체, 2,907g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피라미가 10개체, 240g 채집되어 우점하였고,

배스가 8개체, 1,774g으로 아우점하였다. 3차 조사에서는 3종 186개체, 4,848g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피라미가 180개체, 3,276g으로 우점하였고, 배스는 2개체, 1,440g이 채집되었다(표 5).

◦ 12절 삼각망을 이용한 조사에서는 1차 조사에서 7종 149개체, 557g의 어류가 채집

되었으며, 참몰개가 62개체, 442g으로 우점하였고, 배스가 4개체, 2g 채집되었다.

채집된 배스는 모두 치어였다. 2차 조사에서는 2종 6개체, 65g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피라미가 5개체, 참몰개 1개체만 채집되었다. 3차 조사에서는 3종 2,640개체, 4,986g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피라미가 2,638개체, 4,287g 채집되어 우점하였고, 배스는 1개체, 690g이 채집되었다(표 6).

◦ 삼가저수지에서 삼각망에 의해 확인된 어류상은 매우 단조로웠으며, 생태계 교란 어종인 배스의 경우 삼각망에 의한 채집이 용이하지 않았다.

<그림 10> 삼가저수지에서 삼각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

학명 및 국명 1 2 3 합계 RA(%) N W(g) N W(g) N W(g) N W(g) N W(g) Order Cypriniformes 잉어목

Family Cyprinidae 잉어과

Pungtungia herzi 돌고기 1 15 1 15 0.47 0.17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참몰개* 1 20 1 20 0.47 0.23

Zacco platypus 피라미 3 85 10 240 180 3,276 193 3,601 91.04 40.98

Zacco koreanus 참갈겨니* 4 132 4 132 1.89 1.50

Order Siluriformes 메기목        

Family Siluridae 메기과        

Silurus asotus 메기 1 494 1 494 0.47 5.62

Order Perciformes 농어목        

Family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Micropterus salmoides 배스◎ 1 933 8 1,774 2 1,440 11 4,147 5.19 47.19

Family Channidae 가물치과        

Channa arga 가물치 1 379 1 379 0.47 4.31

합 계 5 1,033 21 2,907 186 4,848 212 8,788

총 종수 3   5   3   7  

*: 한국고유종, : 외래종, RA: 상대풍부도

<표 5> 삼가저수지에서 삼각망(7절)에 의해 채집된 어류

학명 및 국명 1 2 3 합계 RA(%) N W(g) N W(g) N W(g) N W(g) N W(g) Order Cypriniformes 잉어목

Family Cyprinidae 잉어과

Cyprinus carpio 잉어 25 14 25 14 0.89 0.25

Pungtungia herzi 돌고기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참몰개* 62 442 1 9 1 9 64 460 2.29 8.20

Zacco platypus 피라미 6 56 5 56 2,638 4,287 2,649 4,399 94.78 78.44

Zacco koreanus 참갈겨니* 2 6 2 6 0.07 0.11

Order Osmeridae 바다빙어목        

Family Osmeridae 바다빙어과        

Hypomesus nipponensis 빙어 41 31 41 31 1.47 0.55

Order Perciformes 농어목        

Family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Micropterus salmoides 배스◎ 4 2 1 690 5 692 0.18 12.34

Family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9 6 9 6 0.32 0.11

합 계 149 557 6 65 2,640 4,986 2,795 5,608

총 종수 7   2   3   7  

*: 한국고유종, : 외래종, RA: 상대풍부도

<표 6> 삼가저수지에서 삼각망(12절)에 의해 채집된 어류

() 투망 및 족대

◦ 3회의 투망 및 족대에 의해 채집된 어류는 총 2목 3과 5종 1,397개체, 3,450g이었으며, 이 중 한국 고유종은 참몰개와 참갈겨니 2종이었고, 외래도입종은 배스 1종이었다. 이 중 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어종인 배스는 3.65%의 상대풍부도를 나타냈다(그림 11, 표 7).

◦ 우점종은 피라미(67.86%)였으며, 밀어(25.20%), 배스(3.65%), 참붕어(2.65%), 참몰개 (0.64%)의 순이었다(그림 11).

◦ 생체량에 따른 우점종은 배스(82.09%)였으며, 피라미(12.67%), 밀어(4.2%) 등의 순이 었고, 나머지 종들은 1% 미만으로 출현하였다(그림 11).

◦ 1차 조사에서 채집된 종은 총 2목 3과 3종이었으며, 이 중 한국고유종은 참몰개 1 종이었다. 생태계교란어종은 배스 1종이었고, 40.71%의 높은 빈도로 채집되었다 (표 7, 표 8). 우점종은 밀어(52.21%)였으며, 아우점종은 배스(40.71%)였다. 생체량에 따른 우점종은 배스(96.24%)였으며, 아우점종은 밀어(2.78%)였다.

◦ 2차 조사에서 채집된 종은 2목 3과 4종이었으며, 이 중 한국고유종은 참몰개 1종이 었다. 생태계교란어종은 배스 1종이었고 0.40%의 빈도로 채집되었다(표 7, 표 9).

우점종은 피라미(76.03%)였으며, 아우점종은 밀어(23.49%)였다. 생체량에 따른 우점 종은 배스(57.21%)였으며, 아우점종은 피라미(35.15%)였다.

◦ 3차 조사에서 채집된 종은 총 2목 2과 3종이었으며, 이 중 한국고유종은 참갈겨니 1종이었다. 생태계교란어종은 채집되지 않았다(표 7, 표 10). 우점종은 참갈겨니

(82.22%)였으며, 아우점종은 피라미(13.33%)였다. 생체량에 따른 우점종은 피라미

(75.00%)였으며, 아우점종은 참갈겨니(16.67%)였다.

<그림 11> 삼가저수지에서 투망 및 족대에 의해 채집된 어류

학명 및 국명 1 2 3 합계 RA(%) N W(g) N W(g) N W(g) N W(g) N W(g) Order Cypriniformes 잉어목

Family Cyprinidae 잉어과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참몰개* 8 22 1 10 9 32 0.64 0.93

Zacco platypus 피라미 942 419 6 18 948 437 67.86 12.67

Zacco koreanus 참갈겨니* 37 4 37 4 2.65 0.12

Order Perciformes 농어목 Family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Micropterus salmoides 배스◎ 46 2,150 5 682 51 2,832 3.65 82.09

Family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59 62 291 81 2 2 352 145 25.20 4.20

합 계 113 2,234 1,239 1,192 45 24 1,397 3,450

총 종수 3 4 3 5

*: 한국고유종, ◎: 외래종, RA: 상대풍부도

<표 7> 삼가저수지에서 투망 및 족대에 의해 채집된 어류

학명 및 국명 St. 1 St. 2 St. 3 합계 RA(%) N W(g) N W(g) N W(g) N W(g) N W(g) Order Cypriniformes 잉어목

Family Cyprinidae 잉어과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참몰개* 8 22   8 22 7.08 0.98

Order Perciformes 농어목      

Family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Micropterus salmoides 배스◎ 25 950 3 350 18 850 46 2,150 40.71 96.24

Family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42 45 6 7 11 10 59 62 52.21 2.78

합 계 67 995 17 379 29 860 113 2,234

총 종수 2 3 2   3

*: 한국고유종, ◎: 외래종, RA: 상대풍부도

<표 8> 삼가저수지에서 투망 및 족대에 의해 채집된 어류 (1차조사)

학명 및 국명 St. 1 St. 2 St. 3 합계 RA(%) N W(g) N W(g) N W(g) N W(g) N W(g) Order Cypriniformes 잉어목

Family Cyprinidae 잉어과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참몰개* 1 10     1 10 0.08 0.84

Zacco platypus 피라미 373 116 293 240 276 62.5 942 419 76.03 35.15

Order Perciformes 농어목        

Family Centrachidae 검정우럭과        

Micropterus salmoides 배스◎ 1 160 4 522     5 682 0.40 57.21

Family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64 21 190 46 37 14 291 81 23.49 6.80

합 계 438 297 488 818 313 76.5 1,239 1,192

총 종수 3 4 2   4

*: 한국고유종, : 외래종, RA: 상대풍부도

<표 9> 삼가저수지에서 투망 및 족대에 의해 채집된 어류 (2차조사)

학명 및 국명 St. 1 St. 2 St. 3 합계 RA(%) N W(g) N W(g) N W(g) N W(g) N W(g) Order Cypriniformes 잉어목

Family Cyprinidae 잉어과

Zacco platypus 피라미 4 10 2 8 6 18 13.33 75.00

Zacco koreanus 참갈겨니* 5 1 29 2 3 1 37 4 82.22 16.67

Order Perciformes 농어목    

Family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1 1 1 1 2 2 4.44 8.33

합 계 6 2 34 13 5 9 45 24

총 종수 2 3 2 3

*: 한국고유종, : 외래종, RA: 상대풍부도

<표 10> 삼가저수지에서 투망 및 족대에 의해 채집된 어류 (3차조사)

() 잠수관찰

◦ 3회의 잠수조사에 의해 관찰된 어류는 총 2목 3과 4종이었고 이 중 한국 고유종은 참몰개 1종이었으며, 외래도입종은 배스 1종이었다. 이 중 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 어종인 배스는 57.79%의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다(표 11).

◦ 우점종은 배스(57.79%)였으며, 밀어(32.79%), 피라미(7.79%), 참몰개(1.62%)의 순이었다. ◦ 1차 조사에서 관찰된 종은 총 2목 3과 3종이었다. 이 중 생태계교란어종은 배스 1

종이었고 40.71%의 빈도로 관찰되었다(표 12). 우점종은 밀어(52.21%)였으며, 아우점

종은 배스(40.71%)였다.

◦ 1차 조사시에는 저수지 내의 저수량이 적어 수면적이 상당히 줄어든 상태였고 흙탕 물로 인해 수중 시야가 흐려 잠수조사에 의한 관찰이 어려웠다. 배스는 수변부의 고사목 사이와 커다란 바위 주변에서 관찰되었다. 산란장은 흔적만 남아 있었으며, 산란중이거나 부화중인 산란장은 관찰되지 않았다.

◦ 2차 조사에서 관찰된 종은 2목 3과 4종이었고 이 중 한국고유종은 참몰개 1종이었다. 생태계교란어종은 배스 1종이었고 79.28%의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다(표 13). 우점종은 배스였으며, 아우점종은 밀어(12.79%)였다.

◦ 3차 조사에서 관찰된 종은 총 2목 2과 2종이었다(표 14). 우점종은 밀어(83.04%)였고 배스는 확인되지 않았다. 2차 조사에 비해 3차 조사에서 출현 개체수가 감소하였다. 11월의 낮은 수온으로 어류가 수변부 보다 수심이 깊은 저수지 중앙부로 이동한 결과로 판단된다.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