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021901
-3 -2 -1 0 1 2 3
노사간의 이해는 조화될 수 있다
(2)
우리 조합원의 이익 증진을 우선시 해야 한다X021902
-3 -2 -1 0 1 2 3
전체 근로자의 이익 증진을 우선시 해야 한다
(3)
정규직의 이익을 희생하더라도 회사내 비정규 근로자를 보호해야 한다X021903
-3 -2 -1 0 1 2 3
회사내 비정규 근로자 보다는 정규직 조합원의 이익이 우선되어야 한다
(4)
조합활동의 우선적인 목표는 우리 조합원의 근로조건 개선이 되어야 한다X021904
-3 -2 -1 0 1 2 3
조합활동의 우선적인 목표는 정치적 영향력의 확보가 되어야 한다
(5)
조합원의 임금 및 고용이 조합활동의 우선적인 목표가 되어야 한다X021905
-3 -2 -1 0 1 2 3
경영참여가 조합활동의 우선적인 목표가 되어야 한다
문23. 다음의 각 질문에 대해서 귀 노조 집행부의 견해는 어떻습니까? 0점을 기준으로 가깝다고 생각하시는 쪽의 번호 에 하나만 체크하여 주십시오.
- 1 -
사업체 인적자원관리 실태조사
- 근로자대표용 -
ID - 4 N : 1 O : 2
안녕하십니까
?
한국노동연구원은 노동시장과 인적자원관리 및 노사관계에 관한 정책개발과 연구를 목적으로 설립된 정부출연연구기관입니다
.
본 설문은 인적자원관리의 관행과 노사관계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실시하고 있으며
, 2002
년의 조 사결과를 이용하여 많은 연구논문이 저술되었고,
정책제안에도 활용하였습니다.
본 실태조사의 응답해 주시는 내용이 정책방향을 설정하는 데 소중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공 사다망하신 가운데 조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해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
끝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자료는
www.kli.re.kr
로 방문하시면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2003
년5
월조사기관 : 한국노동연구원 조사 대행 : ( 주 ) 코리아데이타네트워크
담당 연구원 : 황 성수 선임연구원 , 박 경순 연구원 ( 전화 : 02-548-5141) ( 팩스 : 02-548-5144, 02-512-0777)
본 조사의 결과는 통계법 제
13
조에 의거하여 비밀이 보장되며,
설문에 대한 모든 응답과 개인적인 사항은 철저히 비밀과 무기명으로 처리되고 통계분석의 목적 이외에는 절대 사용되지 않습니다.
사업장명 본사명
노동조합 및 노사협의회
1) 노동조합 WPS_0217 1. 있다 (WPS_0218 1. 본조 2. 지부 3. 지회 ) 2. 없다 2) 노사협의회 WPS_0219 1. 있다 2. 없다
노동조합 명 본조설립년도 ( WPS_0221 )년 ( )해당없다
기업외 상급단체
(산별연맹) 1. 있다 (명칭 WPS_0223 ) 2. 없다 WPS_0222 전국중앙조직 1. 한국노총 2. 민주노총 3. 비가맹 WPS_0224 근로자대표소재 시(도) 구(시/군) 동(면) 번지 WPS_0225
전화번호 팩스번호
응답자 성명 전화번호 - -
응답자 소속 응답자직위
- 2 -
A. 노사관계 전반
문1. 귀 사업장의 노사관계는 전반적으로 어떤 상태입니까? ( T_0201 )
① 매우 대립적 ② 대립적 ③ 중간 ④ 협력적 ⑤ 매우 협력적 문2. 귀 사업장의 노사관계에 관한 질문입니다. 다음 각 항목에 대하여
<보기>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런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그렇지 않은 편이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로 대답해 주십시오.
항목 변수명
( 1) 노사는 서로를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T_020201
( 2) 노사는 서로 정보를 공유한다 T_020202
( 3) 노사는 회사의 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하고자 노력한다 T_020203
( 4) 노사는 서로 적대적이다 T_020204
( 5) 근로자측(대표조직)은 회사경영진을 이해하려 노력한다 T_020205 ( 6) 근로자측(대표조직)은 경영진과 협력하려고 노력한다 T_020206 ( 7) 근로자측(대표조직)은 경영진이 옳은 경우 양보한다 T_020207 ( 8) 근로자측(대표조직)은 힘으로 주장을 관철시키려 한다 T_020208
( 9) 근로자측(대표조직)은 경영권을 약화시키려 한다 T_020209
(10) 경영진은 근로자측(대표조직)을 이해하려 노력한다 T_020210 (11) 경영진은 근로자측(대표조직)과 협력하려고 노력한다 T_020211 (12) 경영진은 근로자측(대표조직)이 옳은 경우 양보한다 T_020212
(13) 경영진은 힘으로 주장을 관철시키려 한다 T_020213
(14) 경영진은 근로자측(대표조직)을 약화시키려 한다 T_020214
문3. 지난해 노사분규가 발생했습니까? ( T_0203 )
① 예 ② 아니오
문3-1. 지난해 근로조건 결정 과정 및 노동쟁의의 타결유형은 다음 유형 중 어느 것입니까? 보기에서 해당번호를 골라 기입하여 주십시오. ( T_02031 )
․
노동위원회 조정까지 가지 않은 경우11. 사용자의 일방결정(노조,노사협의회 없음) 12. 노사협의회에서 협의
・결정
13. 교섭권을 사용자측에 일임 14. 조정 이전에 노사합의로 타결
․
노동위원회 조정 신청 이후 타결21. 조정안을 수용하여 타결
22. 조정안 거부, 이후 노사합의로 타결 23. 조정안 거부, 파업이후 노사합의
24. 조정안 거부, 파업과 직장폐쇄 후 노사합의
․
노동위원회 중재 이후 타결31. 중재재정 수용으로 타결 32. 중재재정 거부, 불법파업 후 타결
33. 중재재정 거부, 불법파업과 직장폐쇄 후 타결
․
기타41. 노사협의회 미합의, 불법파업 후 타결 42. 타결암됨
43. 파업철회로 임금교섭 진행 중 44. 임담협에서 결정
45. 살인사건 후 보류중
- 3 -
B. 노사협의회 및 커뮤니케이션
문1. 지난해 경우 1년 동안 노사협의회를 몇 번 개최했습니까?(없으면 0) ( U_0201 )회 문2. (노동조합이 있는 사업장만 응답) 귀 사업장 노사협의회의 운영은 다음 중 어디에 가장 가깝습니까? ( U_0202 )
① 노사협의회와 단체교섭 사항을 분리해서 다룬다
② ①처럼 분리해서 다루지만 노사협의회에서 단체교섭 사안에 대한 예비적인 의견교환과 절충을 다룬다
③ 노사협의회에서 단체교섭 사항도 함께 다룬다
문3. 귀 사업장의 노사협의회에 활동에 대한 사항입니다. 해당 번호에 체크하여 주십시오.
매우
그렇다 그렇다 중간 그렇지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변수명 1) 경영계획, 경영실적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는 통로로 활용 1 2 3 4 5 U_020301
2) 회사의 조직개편을 논의하는 기구로 활용 1 2 3 4 5 U_020302
3) 고용조정을 논의하는 기구로 활용 1 2 3 4 5 U_020303
4) 생산성 향상에 관한 논의 기구로 활용 1 2 3 4 5 U_020304
5) 인사노무 제도에 관한 논의기구로 활용 1 2 3 4 5 U_020305
6) 안전・보건 및 작업환경에 관한 논의의 기구로 활용 1 2 3 4 5 U_020306 7) 임금협상 및 단체교섭의 사전 조율기관으로 활용 1 2 3 4 5 U_020307
8) 근로자 복지 개선을 위한 협의기구로 활용 1 2 3 4 5 U_020308
문3-1. 귀 사업장 노사협의회의 활동에 관한 질문입니다. 해당 번호에 체크하여 주십시오. ‘0’점을 기준으로 가깝다고 생각하시는 편의 번호에 표시하여 주십시오.
(1) 주로 생산성 향상 관련사안을 다룬다 U_020311
-3 -2 -1 0 1 2 3 대부분의 단체교섭 사안도 함께 다룬다 (2) 주로 정보제공이나 가벼운 의견청취 수준이다 U_020312
-3 -2 -1 0 1 2 3 대부분 노사간 합의를 통해서 결정한다 (3) 사용자 측이 주도하는 편이다 U_020313
-3 -2 -1 0 1 2 3 근로자측이 주도하는 편이다
문4. 귀 사업장의 노사협의회에서 의결된 사항의 해석 또는 이행방법 등에 관하여 노사간 의견의 불일치가 있는 경우에는 다음 중 어떠한 조정제도를 활용하고 있습니까? ( U_0206 )
① 노사협의회내의 중재기구
② 노동위원회 중재
③ 제3자에 의한 중재
- 4 -
④ 특별한 중재제도가 없다
⑤ 단체교섭에서 해결한다
문5. 노사협의회의 합의사항은 얼마나 잘 이행되고 있습니까? ( U_0205 )
① 매우 잘 이행되고 있다
② 잘 이행되는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잘 이행되지 않는 편이다
⑤ 전혀 이행되지 않고 있다
문6. 귀 사업장의 노사협의회 사용자측 대표는 노사협의회에 어느 정도 참가하고 있습니까? ( U_0204 )
① 거의 빠짐없이 참가한다 ② 자주 참가하는 편이다
③ 거의 참석하지 않는다 ④ 전혀 참가하지 않는 편이다 문7. 귀 사업장의 노사협의회는 전반적으로 어떻게 운영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 U_0217 )
① 원활하게 운영되고 있다 ② 별다른 효과가 없다
③ 분쟁의 소지만 생긴다 ④ 자주 개최되지 않아 잘 모르겠다
문8. 귀 사업장은 지난해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기업경영설명회를 몇 회 개최하였습니까?(없으면 0 기입) ( U_0208 )회 ※ 기업경영설명회는 사업장의 경영계획 전반 및 실적, 생산계획 및 실적, 인력계획, 기업의 경제적・재정적 사항 등을 근로자들에게 직접 설명하는 자리입니다.
문9. 귀 사업장은 지난해 종업원의 고충이나 의견 등을 청취하는 종업원간담회를 몇 번 실시하였습니까?
(없으면 0 기입) ( U_0209 )회 문10. 귀 사업장의 근로자대표(노조 위원장 또는 노사협의회 근로자측 대표)는 회사의 이사회에 참석하고 있습니까? ( U_0216 )
① 매번 참석 ② 가끔 참석 ③ 전혀 참석하지 않음 문10-1. [이사회에 참석하는 경우] 이사회에 참석하는 근로자대표의 권한은 무엇입니까? ( U_02161 )
① 다른 이사와 동일하게 투표권을 갖고 있다
② 투표권은 없지만 발언권을 갖고 있다
③ 투표권과 발언권 없이 그냥 참관만 할 수 있다
문11. 귀 사업장의 근로자대표(노조간부 및 대의원 또는 노사협의회 근로자측 위원)가 사업장의 주요 회의에 배석하 고 있습니까? ( U_0210 )
① 항상 배석한다
② 가끔 배석한다
③ 전혀 배석하지 않는다
문12. 다음과 같은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실시 여부에
<보기> ① 현재 실시 ② 실시하지 않음 으로 답하여 주십시오.
( U_021101 ) 1. 근로자의 의견/태도를 파악하는 정기적 근로자 설문조사 ( U_021102 ) 2. 경영관련정보를 제공하는 정기적인 소식지 발간
( U_021103 ) 3. 사내외 관련정보를 제공하는 사내전자게시판 설치 ( U_021104 ) 4. 경영자가 정기적으로 현장을 순시하면서 근로자와 대화
- 5 -
( U_021105 ) 5. 경영자와 직접 의사소통 할 수 있는 핫 라인의 운영
( U_021106 ) 6. 직제라인(부서,과, 팀/반)별 정기적 회합을 통한 경영정보 공유 문13. 귀사업장 근로자들은 불만이나 애로사항을 주로 어떤 통로를 통해서 해결하고 있습니까?
U_0212, U_02121, U_02122, U_02123, U_02124 = 더미변수
① 직제라인(부서, 팀/반장)
② 노조간부
③ 노사협의회
④ 동료나 상사
⑤ 기타 ______________
문14. 귀 사업장은 고충처리위원회와 같은 공식적인 고충처리제도(기관)를 운영하고 있습니까? ( U_0213 )
① 예 ② 아니오 ( ==> 문 16 로 가십시오.) 문15. 귀 사업장의 근로자들은 공식적인 고충처리제도를 얼마나 활용하고 있습니까? ( U_0214 )
① 적극 활용하고 있다
② 어느 정도 활용하고 있다
③ 별로 활용하고 있지 않다
④ 전혀 활용하고 있지 않다
문16. 전체적으로 보아 귀 사업장의 근로자들은 각종 통로(노동조합, 노사협의회, 각종 위원회, 직제라인, 비공식적인 통로 등)를 통해서 다음의 사안에 대해서 어느 정도 관여하고 있습니까? 해당 란에 각각 체크(✔)하여
주십시오.
사전에 정보도 없음
사전에 정보만 제공 받음
사전 정보제공 및
의견개진 할 수 있음
사전정보제 공, 의견개진 및
의견이 의사결정에
고려됨
사전정보제공, 의견개진, 의사결정에 고려됨과 함께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음
노사간 합의에 의한
공동결정
변수명
( 1) 경영계획(투자,인력,생산) 1 2 3 4 5 6 U_021501
( 2) 회사 조직 개편 1 2 3 4 5 6 U_021502
( 3) 경영혁신운동 1 2 3 4 5 6 U_021503
( 4) 생산성 향상 운동 1 2 3 4 5 6 U_021504
( 5) 신기계 및 설비의 도입 1 2 3 4 5 6 U_021505
( 6) 공정 및 작업조직 개편 1 2 3 4 5 6 U_021506
( 7) 각종 소집단 활동 1 2 3 4 5 6 U_021507
( 8) 인사노무 제도 개선 1 2 3 4 5 6 U_021508
( 9) 근로자 훈련 1 2 3 4 5 6 U_021509
(10) 성과배분 1 2 3 4 5 6 U_021510
(11) 복리후생 1 2 3 4 5 6 U_021511
(12) 분사나 하청의 결정 1 2 3 4 5 6 U_021512
(13) 감원 등 고용조정 1 2 3 4 5 6 U_021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