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D. 학급공동체의식이 생애목표에 미치는 영향
Ⅴ. 논의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광주지역 6개 고등학교 616명을 대상으로, 고등학생의 학급공동 체의식이 학생들의 기본심리욕구충족을 매개로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학급공 동체의식이 생애목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의 학급공동체의식의 평균은 3.1(4점 척도) 로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들이 전반적으로 학급공동체 안에서 학급 구성원끼리 관심과 배려를 통해서 구성원들 간에 기본 신뢰를 통한 충족감, 유대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기본심리욕구의 평균(5점 척도) 은 관계성 4.18, 유능성 3.88, 자율성 3.93로, 기본심리욕구 역시 대체적으로 충족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계성은 다른 욕구에 비해 평균이 높게 나타 나 고등학생들의 관계성욕구는 상대적으로 그 충족 정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 었다.
6점 척도로 측정된 안녕감은 평균 3.93으로, 사용된 척도의 구성에 비추어 볼 때, 학생들이 일반적으로 일주일에 2-3회 정도는 안녕감을 느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주요 연구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급공동체의식은 기본심리욕 구, 안녕감 모두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관계성 r=.34, p<.001; 유능 성 r=.24, p<.001; 자율성 r=.19, p<.001; 안녕감 r=.47, p<.001). 이는 학급 구성원 들과의 상호의존적인 관계, 유대감, 공동체 활동의 헌신을 통한 충족감으로 구성 된 학급공동체의식이 높을수록 유능성, 관계성, 자율성 욕구가 충족되며, 안녕감 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유의미한 타자(부모, 친구,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기본심리욕구 충족을 돕고 심리적 안녕감에도 긍정
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안도희 외, 2008; 김남희, 김종백, 2011)와 맥을 같 이 한다. 이는 학급의 또래 친구들과의 지지적 관계, 유대감, 연대의식을 나타내 는 학급공동체의식이 기본적 심리욕구와 안녕감에 대한 유의미한 타자들의 자율 성 지지와 유사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학급공동체의식과 생애목표와의 관계는 내재적 목표인 인간관계, 자기성장, 사 회공헌과는 비교적 높은 정적상관(r=.28-.47, p<.001)을 나타냈고, 외재적 목표인 명예와는 유의미하지만 낮은 정적관계(r=.12, p<.01)를, 물질적 부와의 관계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특히 내재적 목표인 자기성장(r=.47, p<.001)과 가 장 높은 상관을, 다음으로 사회적 공헌(r=.33, p<.001), 인간관계(r=.28, p<.001) 순으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급공동체 속에서 서로 돕고 배 려하며 소속감을 느낀 학생들일수록 스스로 성장하고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 공 헌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중요한 생애목표로 설정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이 결과는 학급공동체 속에서 서로 돕고 배려하며 소속감을 느낀 학생들일 수록 공동체가 지향하는 가치를 추구하고자 하는 동기를 가지며 자신이 속한 공 동체의 활동에 참여한다는 연구결과(Battistisch et al., 1992)와 맥을 같이한다.
반면, 학급공동체의식은 물질적 부를 추구하는 것과는 유의미한 관련이 없다 는 것을 드러낸다. 외재적 목표이지만 명예와의 상관이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나 타난 것은 자신의 분야에서 권위있는 사람이 되고 타인으로부터 인정받는 것을 중시하는 것은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위치를 바라본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급공동체의식과 외재적 목표 간의 유의미하지만 낮은 상관은 두 변인 의 의미 안에 구성원으로서 자신을 바라본다는 공통적인 측면이 존재한다는 점 을 시사한다.
기본심리욕구와 안녕감과의 상관관계는 다른 변인들과의 상관관계에 비해 비 교적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관계성-안녕감 r=.42, p<.001; 유능성-안녕감 r=.46, p<.001, 자율성-안녕감 r=.34, p<.001). 이는 기본심리욕구 충족이 청소년의 행복
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간과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청소년들이 과제나 새로운 도전 앞에서 경험하는 유능성은 자 신감과 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이명희, 김아영 2008; Ryan & Deci, 2002)는 결 과와 유능성 욕구를 충족한 개인은 환경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 할 수 있게 되 어, 긍정적인 동기를 내면화할 가능성도 높아지는 결과처럼(전성희, 유미숙 2010) 여러 선행연구들을 지지해준다. 이상의 상관관계에서 나타나는 학급공동체의식과 기본심리욕구, 안녕감 간의 유의미한 관계는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한 연구문제 검 증에서 보다 상세하게 논의하도록 하겠다.
다음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본 연구의 주된 연구문제인, 학급공동체의식, 기본심리욕구, 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급공동체의식은 기본 심리욕구에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관계성 β=.44, p<.001; 유능 성 β=.32, p<.001; 자율성, β=.28, p<.001), 안녕감에도 정적으로 유의미한 직접적 인 영향(β=.39,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심리욕구 중 관계성에 미 치는 학급공동체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은 학급공동체에 속해있 다는 소속감, 공동체의 활동에 참여하여 기여하고 있다는 충족감이 다른 욕구에 비해 다른 사람과 연결되고자 하는 관계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뿐만 아니라 학급공동체의식은 개인의 유능감을 향상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Bandura(1997)에 의하면 유능 감이나 자기 효능감의 중요한 원천으로 성공의 경험, 타인의 피드백과 격려, 모 델링이 있다. 학급공동체 속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활동과 상호작용에 참여하면서 성공의 경험을 할 수 있으며, 타인의 인정과 지지를 통해 자신의 수행에 대한 피 드백을 제공받고 자신이 따르고 싶은 또래를 모델로 삼을 수 있다. 즉, 학급공동 체는 유능감의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학생들의 유능감을 함양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학급공동체의식이 자율성에 미치는 유의미한 정적 영향은 학생들이 학급공동체 속에서 구성원으로서 인정받고 자신의 역할을 수행
하면서 충족감을 느낀다고 여길 때, 자신의 의사를 자유롭게 표현하고 자신의 인 생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는 자율성이 충족되는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말 해준다. 그러나 관계성이나 유능성에 비해 자율성에 미치는 학급공동체의식의 영 향력이 낮은 것은 자율성의 본질과 연결된다. Ryan와 Deci(2002)의 자율성의 본 질이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는 것이라면 학급공동체 안에서는 혼자 스스로 결정하는 부분보다 서로 소통하며 협력하는 분위기 더 중요하기에 학급공동체의식이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낮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학급공동체의식이 안녕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역시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β=.39, p<.001). 특히 학급공동체의식 척도에서 1점이 높아질수록 안녕 감 척도의 점수가 1.16점 높아진다는 것(B=1.16, p<.001)은 학급공동체의식이 고 등학생의 삶의 만족도인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이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라는 것 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의미한 타자들과의 관계의 질이 기본심리욕구 충족에 필수적인 요소라는 여러 선행연구를 지지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김남희, 김종백, 2011; 안도희 외, 2008).
기본심리욕구인 유능성, 관계성, 자율성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은 유능성, 관 계성욕구에서만 정적으로 유의미하였다(유능성 β=.31, p<.001; 관계성 β=.12, p<.001; 자율성, β=.09, n.s.). 안녕감과 기본심리욕구와의 상관관계와는 달리, 구 조방정식모형의 경로계수에서 드러난 안녕감에 미치는 유능성, 관계성, 자율성의 상대적 영향력의 편차는 비교적 컸으며, 유능성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 장 강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신이 유능한 존재임을 인식하고, 성취감을 느 낄 때, 삶에 대한 만족도, 안녕감이 가장 높아진다는 것이다. 관계성 욕구의 충족 정도도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주변 사람을 좋아하고, 서로 감 정을 나누며 돕고 배려하는 관계성의 정도가 높을수록 삶에 대한 만족감, 행복감 도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자율성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 미하지 않았다. 이는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자율성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이 자신의 삶에서 스스로 의사결정을 내리고 자신의 과제나 목표를 선 택 할 수 있는 자율적인 분위가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Reeve, 2009; Schunk;
Pintrich, & Meece, 2008). 그러나 현재 입시위주의 교육현실을 살아가는 청소년 들의 현실을 고려해본다면 이러한 자율성은 오히려 학생들의 현실과 자신이 놓 인 상황에 대한 불만족으로 연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자율성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추후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결과는 청소년들이 부모, 교사, 친구와의 관계와 같은 사회적 관계가 안 녕감 및, 삶의 만족도의 중요한 원천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청소년들은 유의미한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인정, 사랑, 존중, 도움(정성인, 1998)과 같은 긍정적인 심 리적 자원을 얻게 되고 이를 통해 기본심리욕구가 충족되는 경험을 하게 되고 (한유진, 최나야, 2004). 이를 통해 관계 속에서 유능성을 발휘하게 된다. 뿐만 아 니라, 사회적 관계를 통해 얻는 지지는 청소년들로 하여금 자신이 누구인지, 어 떤 사람인지를 지각하게 만들고, 자신의 삶 속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 자율적으 로 결정하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스로 자율적인 상태가 될 때 본인이 유능성이 강력하게 발휘되며 안녕감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 게 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소영, 신희천(2009)의 연구에서도 ‘관계성’이 ‘자율성’보다 삶의 만족과 정적 정서에 더 큰 영향을 끼쳤다. 학업 성취에 대한 압력이 높은 사회적 분위기에서 분위기가 부모-자녀간의 상호작용의 극대화를 불러오기에 자신의 자율적 행동을 선택하는 것보다 조화로운 관계 속에서 안정적인 관계를 맺고 싶은 욕구를 우선 적으로 선택했다고 결과로 확인할 수 있다.
Ryan과 Deci(2000)는 학생들의 유능감 욕구 충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은 유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 자신과 의미있는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의 언어적 피드백의 기능과 연결시킬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이는 청소년들이 공동 체를 통해 소속감을 느끼고 연대의식을 느낀다는 것은 학생들이 학급에서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