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논의

Dalam dokumen PDF 학부교육 실태진단 (Halaman 101-112)

III. 연구결과

Ⅳ. 논의

1 2013년 3차년도 종단 분석의 의의

❍ 2010년부터 시작된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 지원 사업 (ACE 사업)’은 우리고등교 육 사회에 학부교육의 중요성과 지원의 필요성을 불러일으켰음

- 교육중심 발전 전략을 성공의 가능성과 잠재력을 보인 대학 모델이 창출되면서 이제는 많은 대학들이(특히 지방중소규모 대학) 연구보다 교육에서 비교우위를 찾기 시작했고, 잘 가르치기 경쟁을 벌이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고등교육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새롭게 대두된 학부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은 이제 학부교육의 질과 성과를 어떻 게 진단하고 분석할 것인가로 확대되고 있음

- 그 동안 대학의 연구력과 성과에 대한 진단과 분석은 다양한 기관에서 비교적 객 관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졌고, 비록 모든 대학을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서열화한다 는 비판도 있지만, 우리나라 대학의 연구 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는 점도 부인하기 어려움

- 그러나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의 질과 경쟁력에 대한 평가는 제대로 이루어지 지 못한 측면이 있음

- 또한 그동안 고등교육 정책 또는 재정지원 사업에 대하여 이루어졌던 성과 평가의 경우도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집된 실증 자료에 대한 분석에 토대를 두지 못하 였음

❍ 본 연구는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학부교육의 질과 성과를 진단함에 있어 ‘학생중심의 ’학 습참여’ 관점을 적용하여, 배상훈・김혜정이 제시한 ‘학습참여 6요인’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으며, 4년에 걸친 종단 연구 중 3년차 연구임 (2011년 1차 조사, 2012년 2차 조사)

- 3차 조사에는 전국에서 총 52개 대학이 참여하였으며(ACE 참여대학 25개, 비참 여 27개 대학), 총 17,065명의 자료가 분석되었음

* 1년차 32개 대학 → 2년차 37개 대학 → 3년차 52개 대학

❍ 본 연구는 과거 고등교육 정책 또는 재정지원 사업에 대한 성과 평가가 정책 또는 사업의 시작과 함께 자료를 수집하여 변화를 추적하고 성과를 진단하려는 노력이 부 족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3년에 걸친 종단 연구를 실시하여 각 대학 유형별 변 화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음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대학유형별 (소재지와 규모), 설립 유형별, 재정지원사 업 참여 여부(ACE 사업) 학부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맞춤형 정책 제안을 도출할 수 있음

2 2013년 분석 결과 : 3차년도 참여대학의 특징

❍ 2013년 수행된 3차년도 진단 조사 결과, 대학의 위치(수도권/비수도권)와 규모에 따 른 학부교육의 패턴은 큰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었음

❍ 수도권 대학의 경우, 학생들의 학업도전과 능동적, 협동적 수업참여 태도는 높았지 만, 교우관계와 교수-학생 교류는 상대적으로 낮았음

- 수도권 대학에서 교우관계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것과 관련하여 향후 미래사회 가 요구하는 창의인재가 협동정신과 참여적 리더십을 요구한다고 볼 때, 교과 및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및 학생지도와 관련하여 시사하는 바가 크다하겠음 - 또한 수도권대학에서 교수-학생 사이의 교류가 낮은 것은 본 조사에 참여한 대부

분의 수도권 대학들이 연구중심 대학으로 대학교수들에 대한 연구성과 압력이 큰 데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음

- 대학의 중요한 사명 중의 하나가 ‘교육’이라는 점과 교수-학생 사이의 적극적이고 활발한 상호작용이 학생들의 능동적, 협동적 수업 참여와 학업 도전에 정적인 영 향을 미치고(배상훈・김혜정, 2013; 배상훈・장환영, 2011), 학생의 진로성숙 및 인

성 함양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음

- 따라서 수도권 대학의 경우 비록 연구중심 대학을 지향하더라도 교수와 학생의 교류가 보다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대학 수준이 정책적 노력과 지원이 필요함

❍ 지방 대학의 경우는 대학 공동체의 인간관계 (교우관계, 교수-학생 관계)는 상대적 으로 양호하였지만,

- 학생 수준에서 학업에 대한 노력과 투자, 적극적인 수업 참여가 상대적으로 저조 하다는 특징을 보였음

- 이는 지방대학으로 진학한 학생들의 경우, 많은 경우 대학입시에서 낮은 성적을 받아 비자발적으로 지방소재 대학에 진학함에 따른 학습동기의 저하와 자존감의 상실에서 기인한 바가 클 것으로 추론됨

- 교육을 통한 지식・기술의 습득 및 역량의 개발이 학습을 통해 일어남을 고려할 때, 지방대학의 경우 학생의 자아 존중감과 학습동기를 유발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선제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음

- 한편 지방대학에서 교수-학생의 상호작용이 활발하다는 점은 지방대학이 더욱 심 화되는 대학 간 경쟁에서 생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이며, 향후 이러한 경 향이 대학생의 학습량 제고와 능동적, 적극적 학습참여로 이어지도록 노력할 필요 가 있음

*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추가 분석한 바에 따르면, 교수-학생 교류정도는 대학생의 학업도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지방대학일수록, 사립대일수록 높음을 알 수 있었음

- 마지막으로 수도권대학과 비교하여 지방대학의 경우는 대학에 대한 소속감과 자 부심이 낮음을 볼 수 있으며, 대학에 대한 몰입이 긍정적인 대학생활의 영위에 영 향을 미침을 고려할 때,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됨

❍ 한편, 대학 공동체 간(교우 관계, 교수-학생 관계) 인간관계를 나타내는 요인에 있어 서는 대규모 대학 보다는 중소규모 대학이 상대적으로 유리함을 보여주고 있음 - 따라서 대규모 대학의 경우, 대학 내부 구성원 사이에서 긍정적인 인간관계가 형

성되고 정서적 지지가 일어나도록 하는 정책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음

3 2011년 대비 2013년 성장 분석 결과

❍ 학본 연구는 학습참여 6요인과 관련하여, 1차 조사가 이루어진 2011년(기준연도) 대비 2013년의 성장치(3년간 성장률)을 분석하였음

- 대부분의 요인에서 ACE 대학집단의 성장률이 높음을 알 수 있었음

- 이는 ACE 대학들이 정부의 재정지원과 대학의 노력을 통하여 학부교육의 질과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음

- 아울러 본 연구의 결과는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 지원사업(ACE 사업)에 참여 하는 대학의 책무성을 일정 부분 실증적으로 확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음

❍ 반면, 대학의 소재지(수도권/비수도권)와 규모(대규모/중소규모), 설립 유형(국공립/

사립)은 ‘학습참여 6요인’에 대한 일정한 집단적 패턴을 보이고 있지 않았음

- 이는 결국 대학의 학부교육 경쟁력 강화는 대학 차원의 정책적 노력과 투자가 중 요함을 간접적으로 보여줌

4 후속 연구

❍ 본 연구는 학부교육의 질과 성과를 대학생의 인식에 기반을 둔 ‘학습참여’라는 요인 을 통하여 살펴보았으며,

- 배상훈・김혜정(2011)이 미국의 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NSSE) 모델을 한국적 맥락에 맞게 타당화하여 제시한 6요인 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음 - 그 결과, 각 6 요인별로 다른 집단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한 대학 또는 대학집

단을 확인할 수 있었음

❍ 향후에는 이와 같이 높은 성과를 보인 대학들 (ACE 대학 등)의 사례를 심층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 대학별로 이루어진 어떠한 정책적 조치와 노력이 그러한 결과를 가져왔는지를 심 층 분석하고 이를 다른 대학으로 확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후속 연구가 이 루어질 필요가 있음

❍ 마지막으로 대학 학부교육의 질과 성과를 중장기적으로 진단하고 분석할 수 있는 연 구 인프라의 구축이 필요하며,

- 이는 대교협 또는 전국기획처장협의회와 같은 대학 자율협의체가 수행하는 것이 바 람직하며, 구체적인 연구조사 인프라 구축 방안에 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음

<참고문헌>

배상훈 외(2011).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 지원사업 성과분석 종단연구. 정책연구 RR 2010-48.

배상훈 외(2012).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 지원사업 성과평가 종단연구. 한국교양기 초교육원 NRF 2011-55035.

배상훈 외(2012). 교수-학습체제 개선을 통한 대학유형별 학부교육 강화방안. 국가교 육과학기술자문회의, 정책연구 RR 2012-7.

배상훈, 김혜정(2012). 대학생의 학습참여 측정 모델의 타당성 검증. 교육행정학연구.

30(1), 503-527.

배상훈, 김혜정(2013). 대학의 학업지원, 교수학생교류, 능동적협동적학습 및 학업도전 의 구조적 관계분석. 열린교육연구, 21(4), 1-25.

배상훈, 장환영(2012). 대학생의 학습투자시간 및 교수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개인 변인 및 대학 변인을 중심으로, 13(4), 아시아교육연구, 163-187.

최정윤 외(2007). 한국 대학의 질적 수준 분석 연구(Ⅰ).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7-13.

Kuh, G. D.(2003). What we're learning about student engagement from NSSE.

Change. 35(2), 24-32.

Kuh, G. D., Kinzie, J., Buckley, J. A., Bridges, B. K., & Hayek, J. C.(2007).

Piecing together the student success puzzle: Research, propositions, and recommendations. ASHE Higher Education Report, 32(5). San Francisco:

Jossey-Bass.

Hox J. (2002). Multilevel analysi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Mahwah, NJ:

Lawrence Erlbaum

Muthen, B. O. (1994). Multilevel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Sociological

Methods and Research 22, 376–398.

Muthen, B., Asparouhov, T. (2010). Beyond multilevel regression modeling:multilevel analysis in a general latent variable framework. In: Hox, J., Roberts,J.K. (Eds.), The Handbook of Advanced Multilevel Analysis. Taylor and Francis.

2013년 11월 인쇄 2013년 11월 발행

발 행 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서거석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153-719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지식산업센터 A-23층 전화 02) 6919-3951~4

인 쇄 처 경성문화사 Tel. 02) 786-2999 I S B N 978-89-6609-623-7 93370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

Copyright(C) KCUE. All Rights Reserved.

Dalam dokumen PDF 학부교육 실태진단 (Halaman 101-112)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