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다변량 잠재성장 연구모형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65-70)

(그림 3-1) 잠재 성장모형 선형변화모형

서 요구되는 비현실적인 가정 ‘변화의 개인차가 없다’와 ‘측정오차는 0이다’와 같은 것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자아존중감, 건강문제, 경제변화 추이, 가족과 또래역학 관계, 운동, 우울증, 심리치료분야 등의 종단적인자료 분석에 폭넓게 적용이 가능한 방법이다(Suhr, 2000). 잠재성장모형이 변화를 보기위한 종단적 인자료를 분석하는데 있어 유용한 방법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변화를 분석 하기위해서는 자료가 다 변량 정규분포여야 하고, 측정변인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개인의 변화가 체계적인 관련성을 가져야하며, 반복측정치들은 결측치가 없고, 측정은 동일한 시점에서 되어야 한다(이가봉 외, 2001).

본 연구에서 주목할 것은 선행연구에서는 횡단적인 연구로 변수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우울과 공격성이 종단적으로 학교생활적응에 매개 하는지 발달궤적을 살펴봄으로써 그 동안의 선행연구와는 달리 차별 있는 연구 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진행한 종단 연구를 통해 청소년 의 학교생활적응의 사전예방 및 사후대처에 활용할 수 있는 좋은 기초자료를 획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본 연구에 서는 한국정책연구원이 조사 발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데이터 중 초4 패널데 이터로 독립변수인 부모의 양육방식을 4차년도 데이터에서 긍정· 부정적인 양 육방식으로 나누었고, 종속변수인 학교생활적응과 매개변수인 우울, 공격성은 5,6,7차로 잠재성장모형으로 종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면 개인변화의 유의미성과, 개인차의 직접이나 간접 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과 한 변수와 다른 변수관계의 변화사이를 파악할 수 있다(Mason, 2001). 변수가 다수인 경우 다 변량 잠재성장모형은 각 변수에 대 한 잠재성장모형을 개발하고 관련성 있는 그 모형사이를 검증할 수 있다. 다 변량 잠재성장모형은 변수간의 관련성을 검증하는 것 뿐 만 아니라 변수들의 변화사이의 관련성검증도 가능하다(MacCallum et al., 1997; 김주환 외, 2009).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경로를 보면, 독립변수의절편이 종속변수의 절편과 기 울기에 그리고 독립과 종속변수의 기울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김주환 외, 2009). 본 연구는 7차 시점으로 측정된 자료 중 3차 시점으로 측정

된 종단적 자료를 사용하여 청소년이 인식하는 부모의 긍정적, 부정적인 양육 방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변화와 각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 기 위하여 다 변량 잠재 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인식하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과 부정적 양 육방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의 변화궤적 및 변화궤적 간 관계를 검증 하고, 또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과 부정적 양육방식이 우울과 공격성의 변 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내는데 이러한 연구목적에 적합한 통계적 분석방법으로 잠재 성장모형(Latent Growth Curve Model, LGM)을 사용하였 다.

잠재성장모형은 개인 시간의 흐름을 추정하여 평균적 변화와 개인 간 차이 를 설명하는 변화의 예측요인의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분석방법이다. 이 분석 방법을 이용하면 개인차 변화의 유의미성 정도, 변화에서의 개인차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상호영향관계를 잠재변수 간 체계적으로 파악 할 수 있다 (Duncan et al., 1999; Hofer et al., 2002; Hussong et al., 2004; 홍세희 외, 2007; Hardy er al., 2009). 잠재성장모형은 청소년이 인식하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과 부정적 양육방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변화궤적과 변화궤적 간 관계를 검증하고, 영향을 미치는 이들 관계의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에서 찾는 적합한 목적의 분석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림 3-2) 다변량 잠재성장 연구모형

제 2 절 연구가설

(그림 3-2)의 연구모형에 제시한 바와 같이, 검증하고자 하는 연구가설을 설 정하였다. 이를 세분하면, 본 연구의 가설들은 변수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가 설과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가설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가설의 내용은 다 음과 같다.

가설 1. 학교생활적응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추세를 보일 것이다.

가설 2. 청소년의 우울, 공격성, 학교생활적응은 개인차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은 우울, 공격성 및 학교생활적응의 변화궤적 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1.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은 우울의 변화궤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2.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은 공격성의 변화궤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3.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은 학교생활적응의 변화궤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4.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은 우울, 공격성, 학교생활적응의 변화궤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4-1.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은 우울의 변화궤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4-2.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은 공격성의 변화궤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4-3.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은 학교생활적응의 변화궤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5. 청소년의 우울과 공격성은 부모의 양육방식과 학교생활적응의 변화 궤적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가설 5-1. 청소년의 우울과 부모의 양육방식이 학교생활적응의 변화궤적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가설 5-2. 청소년의 공격성은 양육방식과 학교생활적응의 변화궤적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제 3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설문지 구성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6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