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학교생활적응의 주요이론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35-39)

1). 자기통제이론

범죄의 원인을 설명하기 위해 개발된 자기통제이론(Self-control Theory)을 개발한 Gottfredson & Hirschi(1990)의 주장에 의하면, 가정은 자기 통제력을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기관이며, 7-8세 정도의 어린시기에 가정에서 개인의 자

기 통제력은 형성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자녀양육과정에서 부모는 자녀의 자 기 통제력의 형성에 다음과 같은 4가지 이유로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첫째, 자 녀의 행동에 대한 감독(monitoring), 둘째, 잘못에 대한 행동 인지(recognition), 셋째, 부모와의 애착(attachment), 넷째, 잘못한 행동의 적절한 처벌 (punishment)등이다. 개인의 자기통제력은 이러한 자녀양육과정을 통하여 형성 된 가장 중요한 범죄나 유사행위의 밀접한 원인이라고 제시하였다. 자기 통제 력이 낮은 사람들은 장기적인 이해를 고려하지 못하고 즉각적인 만족을 추구하 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이다.

낮은 자기 통제력을 구성하는 6가지의 요인을 다음과 같다. ① 욕구충족이 즉각적 이여야 하고, ② 손쉽고 단순한 욕구충족 ③ 위험하며 짜릿하고 흥분되 는 행동선호 ④ 장기적인 이익에 대해 노력하지 않고 무관심하다 ⑤ 지식습득 을 위한 계획이나 기술이 부족하다. ⑥ 자기중심적인 경향이 있다. 자기 통제력 이 낮은 사람은 흥분하기 쉽고 화를 잘 내며, 정신적 인 것 보다는 육체적인 활동을 좋아하며, 위험스러운 행위나 단순하고 쉬운 일을 즐겨하며, 자기중심적 이고 충동적 욕구를 억제하지 못하는 성향이 강한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즉각적인 욕구나 자신의 만족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기만이나 폭력등 사 회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범죄행위를 저지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자기 통제력이 높은 사람들은 화를 잘 참고, 위험성을 추구하 지 않고, 다소 복잡해도 진취적이고 정신적인 활동을 선호하며, 즉각적인 욕구 를 잘 억제하는 등의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경향이 강한 편이라고 한다. 이러 한 개인들은 타인의 의도와 기대를 이해하게 된다. 자기통제이론의 일반성은 모든 공간과 시간적, 다양한 집단의 범죄유형의 설명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 한다. 즉, 범죄에 시간이나 공간적으로 자기 통제력이 미치는 효과는 성별, 연 령 구분 없이 모든 집단에게도 동일한 양상으로 나타나 가장 중요한 범죄발생 의 요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학교생활적응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자기통제이론도 있지만 학교생활적응을 잘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은 다음의 일반 긴장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2) 일반긴장이론

본 연구에서는(Agnew, 1992)의 일반긴장이론(general strain theory)을 주목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방식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고 있 다는 시각을 견지하고 일반긴장이론에 틀을 적용하면 부모양육태도에 의한 우 울과 공격성, 부정적 감정, 조건요인, 대처전략이라는 핵심 요소로 영향관계를 잘 설명할 수 있다.

일반긴장이론의 세 가지 핵심으로 긴장요인, 부정적 감정, 조건요인의 개념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청소년의 비행요인으로 이어지는 경로의 출발점이 긴장 요인이다. 일반긴장이론에서의 긴장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으로부터 대우받기 를 원하는데 대우 받지 못하는 관계”라고 정의되어 있다(Agnew, 1992). 일반긴 장이론의 3가지 핵심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긴장요인의 3가지는 ① ‘긍정적으로 가치를 갖는 목적달성의 실패’이 다. 이에 대한 긴장의 예로는 또래친구로부터 인정을 받지 못하거나 학교 성적 을 좋게 얻지 못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② 긍정적 가치를 갖는 자극이나 소 멸, 긴장의 예로는, 친구나 친척의 상실, 좋은 관계의 종결, 다른 학교로의 전학 등을 들 수 있다. ③ 부정적 자극경험의 예로는, 부모에 의한 방임이나 학대, 범죄피해경험, 신체적 체벌경험등과(김재엽 외 2008, 송아영·임혜진·왕정희, 2011). 학교·또래·부모긴장(심현진외, 2014)등이다.

둘째, 긴장에 노출된 청소년들이 부정적 감정을 경험한다고 하여 모두 비행 을 저지르는 것은 아니지만 청소년의 비행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조건적 상황을 규명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다. 긴장이 비행으로 이어질 것인지 아 니면 건전하게 해소될 것인지 적절한 과정을 통해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조건요인이라고 한다. 일반긴장이론은 단순히 부정적 감정이나 긴장만을 영향요인으로 비행을 간주하지는 않으며, 조건변수로 사회학습이론과 사회통제 이론을 비행의 원인변수로 요인들을 투입하여 이론적으로 통합하려고 시도한다 (김재엽외, 2008). 조건요인의 대표적인 예로는 자긍심, 도덕적 신념, 자기통제

력,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부모애착, 사회적 통제, 비행친구와의 접촉 등을 들 수 있다(문병욱·황혜원, 2006).

셋째, 부정적 감정의 긴장에 대응하는 정서적 반응의 대표적인 예로는 우울 이나 좌절, 공격성, 분노, 스트레스, 심리적 위축, 절망감 등을 들 수 있다. 이러 한 부정적 감정을 어떻게 대응하는가에 따라 다음 비행의 발생여부가 결정된 다.

본 연구가 첫 번째로 관심을 갖는 요인은 청소년의 우울이다. 청소년의 우 울은 짜증스럽고 공허한 기분과 함께 수반되는 인지·신체적 기능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개인의 부적응 적 증상이라고 하며, 개인의 삶을 매우 고통스럽게 만드는 정신장애중 하나이다. 특히 청소년의 초기 우울증 증상은 슬픈 모습과 달리 오히려 과도하게 명랑한 모습, 가슴 두근거림, 예민하게 굴거나 식욕부진, 무력감이나 우울한 기분, 과잉행동 등을 보이고, 피로감, 복통 등의 검사 상 이 상소견이 없는 신체적인 문제를 호소하기도 한다는데 이게 바로 이른바 가면우 울증일 수 있다. 십 대 시절에 감정의 기복을 겪으면서 일정 기간 기분이 나빠 지거나 우울해질 수 있는데, 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그러나 우울증은 다르 다. 십 대 청소년이 우울해지는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예를 들어 학교 성적이 좋지 않아 자신이 무가치한 존재로 느껴진다거나, 친구 관계에 어려움 을 겪고 있다거나, 가족 관계가 좋지 않은 것 등은 우울증의 원인이 된다. 성 지향성, 환경적인 스트레스, 가족이나 친구들로부터의 고립감 또한 우울증의 원 인이 된다. 따라서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우울의 결과변수와 영향요인 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가 관심을 갖는 두 번째 요인은 청소년의 공격성이다. 청소년의 공 격성은 대인관계 문제, 품행장애 뿐만 아니라 학교생활적응 등 다양한 유형의 반사회적인 형태로 나타나는데(채진영, 2012) 문제는 몇몇 선행연구가 지적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 청소년의 심각한 수준의 공격적 행동이 점점 지능화 되고, 그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는 점은 공격성 문제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을 시 사한다. 청소년의 공격성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문제를 해

결하기 위해서는 결과변수나 영향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 다.

일반긴장이론의 관점에서 본 연구가 주목하는 학교생활적응의 영향요인은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긍정적, 부정적 양육방식과 우울, 공격성이다. 즉 부 모로부터 부정적 양육방식을 받는 청소년은 부정적 감정에 해당하는 우울과 공 격성을 유발하고, 우울과 공격성으로 인해 학교생활적응을 잘 하지 못하는 상 태에 이르게 될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우울과 공격성연구는 부 모의 양육방식에 따라 우울, 공격성과 학교생활적응의 영향관계를 일반긴장이 론의 시각에서 설명이 가능하다고 본다. 청소년에게 있어 긴장요인인 학교생활 적응, 우울과 공격성은 긴장을 유발시키고 부정적인 감정을 일으키며.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부정적 결과를 나타낸다고 해석 할 수 있다.

제 3 절 우울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3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