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화 표지의 특징을 밝히는 작업은 담화 표지의 범위와 식별 기준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실제 발화에서 담화 표지를 식별하는 데에 가장 기본적인 틀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담화 표지의 특성을 정리한 연구로는 임규홍(1996)과 전 영옥(2002)가 대표적이다. 이들 연구에서 논의한 담화 표지의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5> 담화 표지의 특징
사용 범위 쓰임에서 공간적·계층적 보편성을 가
져야 함 -
<표 5>에 제시된 특징들은 다양한 측면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이 가운데 실현 환 경, 형태·통사·의미적 측면, 그리고 담화·화용적 측면에서 나타나는 특징이 공통적으로 제시되었다. 여기에서 실현 형식과 의미적 특성에 관한 것은 이전 절에서 간략하게 언 급한 바 있다. 또한 담화·화용적 특성은 기존의 어휘적 의미에서 벗어나 하나의 언어 적 형식에도 담화의 상황이나 맥락에 따라 둘 이상의 기능을 지닌다는 것으로, 이는 다음 장의 내용과 연관된다. 따라서 이 절에서는 <표 5>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된 특징 가운데 실현 형식과 의미적 특성, 그리고 담화·화용적 특성을 제외한 실현 환경, 형태·
통사적 특성, 그리고 그 외의 특성에 해당하는 운율적 특성을 중심으로 고찰하겠다 먼저 실현 환경에 관한 특징은 언어가 기원적으로 입말에서 비롯되었으며, 의사소 통의 수단이라는 언어의 특성이 입말에서 가장 잘 실현된다는 점이 전제되어 있는 것 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영옥(2002: 120)에서는 글말 담화에 청자의 체면을 고려한 표현이나 중단되려는 발화를 잇는 표현들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언급한 바 있 다. 일반적으로 글말이 계획적이고 정제된 성격을 지닌 데에 반하여 입말은 대체로 비 계획적이고 즉흥적이라는 특징을 지니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형태적 측면에서 고정성이 높다는 특징은 곧 담화 표지가 곡용이나 활용 을 하지 않기 때문에 그러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즉 담화 표지는 다른 문법 형태소와 결합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이 그 예이다.
(2) ㄱ. 베를 먼 [인자/*인자는] 저 베 나라가꼬 한 노미 또 이리 네로옴스러 자꾸 네 루게 오게 함스러 올림서 또 거그다는 이르케 가머. (베를 무슨 이제 저 베 날 아가지고 한 것이 또 이리 내려오면서 자꾸 내려오게 오게 하면서 올리면서 또 거기다는 이렇게 감아.) 《2012보고서-신안: 29》
ㄴ. 그런디 여그 옹게는 읍:24)뜨만. 사네도 취도 업:꼬 꼬사리도 업:꼬 근디 인자는 꼬사리가 나. (그런데 여기 오니까는 없더구먼. 산에도 취도 없고 고사리도 없 고. 그런데 이제는 고사리가 나.) 《영광: 228〜229》
24) ‘:’은 전사 자료에서 장음을 나타내는 부호이다.
(2)는 모두 전사 자료에서 나타난 ‘이제(인자)’에 대한 용례이다. (2ㄱ)은 담화 표지
‘인자’에 대한 예로, 조사가 붙으면 의미가 상당히 어색해진다. 반면, (2ㄴ)의 ‘인자’는
‘인자는’으로 나타나 있어 시간적으로 현재의 상황을 나타내는 시간 부사에 해당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기갑(1995: 267〜268)과 임규홍(1996: 10)에서는 담화 표지 ‘인자’와 시간 부사 ‘인자’를 구별하는 기준으로, ‘-는’, ‘-까지’, ‘-부터’ 등의 조사 결합 여부로 보았다.
그러나 모든 담화 표지가 형태적으로 고정성이 높은 것은 아니다. 예컨대 ‘말이다’,
‘있잖아’, ‘뭐냐’ 등은 예외적으로 어미 활용이 일어나기도 한다. ‘말이다’는 ‘말입니다’,
‘말이지’, ‘말이야’, ‘있잖아’는 ‘있잖아요’, ‘있잖습니까’, 그리고 ‘뭐냐’는 ‘뭐죠’와 같이 실 현되기도 한다. 이러한 종결어미의 교체는 담화 내에서 화자가 청자와의 관계를 고려 하여 나타나는 것이다.
통사적 측면에서 담화 표지는 문장의 다른 성분과 어떠한 수식 관계도 맺지 않기 때문에 독립성이 높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점에서 담화 표지는 문장이나 발화의 명제적 의미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수의적인 요소에 해당한다. 그 예는 아래와 같다.
(3) ㄱ. 거따가 인자 머 거석 그걸 가꼬 마:니 해. 저:얻 닥 날:개 거 킁 거 킁 거 거 빼:다가 (거기에다가 이제 뭐 거시기 그걸 가지고 많이 해. 저 닭 날개 그 큰
것 큰 것 그 빼어다가,) 《광양: 316〜317》
ㄴ. 거따가 그걸 가꼬 마:니 해. 닥 날:개 거 킁 거 킁 거 빼:다가 (거기에다가 그 걸 가지고 많이 해. 닭 날개 큰 것 빼어다가,) 《광양: 316〜317》
(3ㄱ)은 발언권 유지 기능에 관한 담화 표지 ‘인자(이제)’, ‘머(뭐)’, ‘거석(거시기)’,
‘그’가 함께 실현되어 있는 예이다. 그러나 (3ㄴ)과 같이 담화 표지를 생략하면 더욱 명 료한 발화가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원인은 발화에 실현된 여러 형태가 기원형 의 어휘적 의미와 통사적 제약에서 벗어나 화자의 의도 및 태도를 드러내는 기능으로 발달하였기 때문에 발화의 명제적 의미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3)과 같이 생략해도 자연스러운 담화 표지의 유형이 있는 반면, 그렇지 않은 유형도 존재한다25).
25) 이는 전영옥(2002: 132)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이 연구에서 제시한 구체적인 예는 아래와 같다.
ㄱ. 근까(그까, 그러니까), 근데(그런데), 그리고, 그래서, 그래가지고(그래가지구, 그래갖구), 그 담에
생략이 부자연스러운 담화 표지는 그 의미적 특성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전영옥 (2002)는 ‘어휘 의미적 기능 - 중간 단계 - 담화 표지’의 과정 가운데 중간 단계에 있 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한편 운율적 특징은 억양 단위(intonation unit) 내에서 담화 표지가 실현되는 위치 와 관련이 있다. 억양 단위는 Chafe(1988: 2)에서 화자가 어떠한 순간에 자신의 의식 내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특정 정보를 나타내는 언어 표현(linguistic expression of the particular information on which a speaker is focusing his or her consciousness at a particular moment)이라 정의하였다. 전영옥(2002: 123)에 따르면 억양 단위는 화자의 의식에 떠오른 생각이 발화된 단위로, 상승, 하강의 억양 굴곡이나 휴지 등의 초분절적 요소에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억양 단위는 곧 발화의 단위이자 정보의 단위라 할 수 있다. 담화 표지는 이러한 억양 단위의 시작이나 끝에 나타나는데, 이러한 분포적 양상은 담화 내에서 화자가 말을 이어나가는 것과 연관되어 있다. 예컨대 억양 단위의 첫 부분에 실현된 담화 표지는 화자가 청자의 주의를 집중시켜 발화를 시작하겠다는 의도를 청자에게 알리며, 끝 부분에 실현된 것은 발화를 지속할 목적으로 다음 발화를 준비하거나, 발화를 마무리하는 기능을 한다26). 그 예는 다음에 제시하였다.
(4) # [그 사람드른 기양] [완:저니 기양] [몰쌀지:경당 주거부러꼬,] (그 사람들은 그냥 완전히 그냥 몰살지경 죽어 버렸고,)
@ 애. (예.)
# [하가꼬 아치개 가서봉깨] [막 시:채가] [막 들파내고] [지서아내고 늘비핸는디 머] [정시니 한나도 읍써요.] (그래 가지고 아침에 가서 보니까 막 시체가 막 들 판이고 지서 안이고 늘비했는데 뭐 정신이 하나도 없어요.) 《보성: 434〜435》
(4)에 실현된 담화 표지 가운데 ‘기양(그냥)’과 ‘뭐’는 후행 발화 내용을 생각할 시간 을 버는 기능을 한다. 이는 곧 자신의 발화를 지속하려는 의도를 청자에게 알리는 것
ㄴ. 어쨌든, 하여튼, 아무튼 ㄷ. -어 가지고, 말이야, 있잖아 ㄹ. 자, 저, 아니, 글쎄
ㅁ. 응, 아, 음, 어, 예, 네, 에
26) 이에 관하여 황병순(2010)에서는 담화 표지가 모든 억양 단위의 앞뒤에 실현된다고 보았다. 다만 담화 표지는 그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더 적절한 위치에 결합되는 정도의 제약이 있을 뿐이라 언 급한 바 있다.
분류 기준 관련 연구 세부 유형
실현 형식
임규홍 (1996)
어휘적 담화 표지(반복 정보 담화 표지, 어휘 담화 표지) 비어휘적 담화 표지(지시어·감탄사·초분절음 담화 표지) 김태엽
(2000)
본디 담화 표지(감탄사, 부사어, 지시어, 운소)
전성 담화 표지(내용어→기능어, 기능어→담화적 기능어) 전영옥
(2002)
어휘 담화 표지(부사, 감탄사, 대명사, 용언, 관형사, 조사 등) 구절 담화 표지(동사구, 문장 등)
담화 기능 안주호 (1992)
부름표지(담화를 시작하기 전에 대상을 부르는 기능) 시발표지(도입부에서 담화를 시작하는 기능)
전환표지(화제부에서 화제를 바꾸는 기능)
으로, 억양 단위의 끝에 실현된다. 한편 ‘하가꼬(그래 가지고)’는 여기에서 화제 전환의 기능을 수행하는 담화 표지로, 억양 단위의 처음에 실현된다. 마찬가지로 ‘막’ 또한 예 문에서는 뒤따르는 말의 내용을 강조하는 기능에 해당하기 때문에 억양 단위의 앞에 발화되었다27). 비록 (4)의 용례가 입말 담화를 전사한 자료이기에 억양 단위가 어떠한 지를 구체적으로 알 수는 없으나, 억양 단위는 끝 부분의 변화에 따라 화자가 강조하 는 정보나 발화를 계속할 의도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단서가 된다.
또한 담화 표지는 공간적·계층적으로 보편성을 지니며 사용된다. 임규홍(1996: 3)에 서는 담화 표지가 담화의 특성상 개별적인 특성도 지닐 수 있지만, 담화 문법적으로는 공간적, 혹은 계층적으로 상당한 보편성을 지녀야 함을 전제하였다. 이는 국가적 단위 의 언어 공동체뿐 아니라 그 언어에서 분화된 변종을 사용하는 지역 공동체에도 적용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담화 표지의 유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현재까지 일정한 기준을 바탕으로 담화 표지에 대한 분류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 가운데 실현 형식과 담화 기능에 따른 유형화가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억양 단위 내 실현 위치 및 생략 가능성과 기원형의 유형 및 의미를 기준으로 담화 표지를 분류하기도 하였는데, 자세한 것은 <표 6>에 정리하였다.
<표 6> 담화 표지 분류 기준에 따른 세부 유형
27) 이러한 강조 기능은 청자의 주의를 집중시키는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억양 단위의 처음에 실현되는 담화 표지의 특징과 일부 유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