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5. 선택적 실재론

5.3. 두 가지 질문에 대한 답변

이 사례는 선택적 실재론자에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비커스의 지적을 반영하여, 성공에 진정으로 기여한 부분을 식별하는 기준을 재서술하면 다음과 같다(밑줄 친 부분이 비커스의 지적을 받아들 여 수정한 부분에 해당한다).

이론의 일부분인 가설 H가 다른 가설의 집합 H'과 몇몇 보조가설 A와 함께 예측 P를 함축한다고 하자. 만약 H'과 A만으로는 P를 만들어내지 못하고, H' 및 A와 양립 가능한 다른 어떤 사용 가능한 가설 H*도 P의 적절한 도출에 있 어서 손실 없이 H를 대체하지 못할 때 H 자체나 H가 함축하는 어떤 가설 H†

는 P의 생산에 대체 불가능하게 기여한 것이다.

고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이론이 현재에 기각된 이유는 다른 부분 이 거짓임이 드러났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2-2)를 살펴보자. 레이는 거짓인 이론이 참인 이론과 과거 에 동등한 수준의 성공을 거둔 경우를 실재론자들이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런 경우도 선택적 실재론자들에게 문제가 되지 않는 다. 성공에 기여하는 참인 부분을 두 이론이 공유하고 있다면, 그 부분이 참인 덕분에 거짓인 이론이 성공적이었다고 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레이가 예로 들었던 천문학 사례에도 이와 같은 반박이 성립한다. 레 이의 설명대로, 현재 거짓으로 밝혀져 기각된 지구 중심 체계는 하늘에 보이는 행성들의 위치에 대해서 상당히 정확한 예측을 했다. 고대 천문 학자들은 하늘에서 관측된 행성들의 위치 변화를 지구를 중심으로 하는 원 궤도인 주원(deferent)과, 주원 위의 한 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 궤도 인 주전원(epicycle)을 통해 설명했다. 행성은 주전원을 움직이는데, 천문 학자들은 행성마다 주원과 주전원의 크기 및 회전 주기를 조절하여 행성 운동의 정성적인 면을 설명하였다. 여기에 이심원(eccentric), 대심 (equant) 등을 추가적으로 도입하여 행성의 위치를 정량적으로도 정확하 게 설명할 수 있었다(Kuhn 1957, 번역본 pp. 120-133).

지구 중심 체계의 정확성은 후행 이론인 태양 중심 체계와 비교해도 전혀 뒤떨어지지 않는 수준이었다. 태양 중심 체계를 제안한 코페르니쿠 스도 지구 중심 체계를 통해 행성의 위치를 매우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 음을 인정했다(Hoskin and Gingerich 1997). 쿤 역시 코페르니쿠스의 태 양 중심 체계가 지구 중심 체계보다 더 정확하지는 않았다고 말한다 (Kuhn 1957, 번역본 p. 330).

이처럼 지구 중심 체계는 거짓임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이었지만, 선택 적 실재론자들은 이러한 성공을 모순 없이 설명할 수 있다. 지구 중심 체계의 성공, 즉 행성의 위치에 대한 정확한 예측에 기여한 부분은 태양 중심 체계와 공유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마텐스(Rhonda Martens)에 따르면, 코페르니쿠스의 지구 중심 체계는 기본적으로 태양 중심 체계를 변형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Martens 2000, pp. 26-27). 이 점은 다음 그 림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그림 1. 지구 중심 체계와 태양 중심 체계의 기하학적 동등성(Martens 2000, p. 27). (a) 외행성 궤도의 경우. (b) 내행성 궤도의 경우.

그림 (1a)는 외행성의 경우이다. 지구는 O에 있고 행성은 P에 있다.

지구 중심 체계에서 O는 고정되어 있고, 태양은 선 OS’ 상에 있다. 또 한, 지구와 주전원의 중심 C 사이의 거리는 R’이며, 주전원의 반지름은 r’이다. 태양 중심 체계에서, O는 태양이 위치한 고정된 점 S를 반지름 r 로 돌며, 태양과 행성 사이의 거리는 R이다. 그림의 네 선이 평행사변형 을 이루고, 지구와 행성을 잇는 선 OP는 대각선이므로, 태양 중심 체계 는 행성의 주전원을 지구의 연주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그림 (1b)는 내행성의 경우이다. 행성의 주전원은 태양을 중심으로 한 궤도로 변환될 수 있으며, 주원의 반지름은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로 변환될 수 있다. (1b)에서 지구는 O에 있고 행성은 P에 있으며, 태양은 선 OS’ 상에 있다. 주전원의 반지름은 r’이고 지구와 주전원의 중심 사이 의 거리는 R‘이다. 태양 중심 체계에서 태양은 S에 있고 지구와 태양 사 이의 거리는 R’이며, 태양과 행성 사이의 거리는 r’이다.

지구 중심 체계가 매우 정확한 예측을 할 수 있었던 이유, 그리고 그 예측의 정확성이 후행 이론인 태양 중심 체계와 동등한 수준이었던 이유 는 두 체계의 기하학적 동등성 때문이었다. 다시 말해, 지구 중심 체계에 서 행성의 위치 예측에 기여하는 부분이 태양 중심 체계와 같았기 때문 이다. 따라서 실재론자들은 태양 중심 체계의 성공에 대해 태양 중심 체

계가 과거에 참이었으나 현재에는 거짓이라는 모순된 설명을 할 필요가 없다. 실재론자들은 이 문제에 대해 두 체계가 기하학적 측면을 공유하 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실재론자들은 태양 중심 체계가 과거에 성공을 거두었음에도 결 국 폐기된 이유는 성공에 기여한 부분이 아니라 다른 부분이 거짓이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레이 본인이 언급하듯이, 갈릴레오 갈릴레이 가 목성의 위성을 발견한 일은 지구 중심 체계에 심대한 타격을 가했다.

쿤은 목성의 위성 발견 외에도 달이 완전한 구형이 아니라 표면에 산과 구덩이가 존재한다는 점, 태양에 흑점이 존재한다는 점, 금성의 위상 변 화 등이 태양 중심 체계를 지지했다고 말한다(Kuhn 1957, 번역본 pp.

432-436). 이와 같은 증거들은 지구 중심 체계의 성공, 즉 행성의 위치에 대한 정확한 예측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실재론자들은 두 체계의 동 등한 성공이 두 체계가 성공에 기여한 부분만을 공유하기 때문이라고 설 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