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차 루브릭 개발 결과 1)성취 기준의 분석 결과1)성취 기준의 분석 결과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78-160)

Ⅲ. 연구 방법

1.1 차 루브릭 개발 결과 1)성취 기준의 분석 결과1)성취 기준의 분석 결과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 중 표현 영역의 성취 기준은 가창,기악,창작 활동이 고루 제시되어 있다.이 가운데 민요 가 창 실기평가의 특성을 감안하여 이와 직접적인 관련을 맺고 있는 내용체 계는 “1-1.바른 자세로 표현하기”와 “1-2.악곡의 특징을 살려 표현하 기”만으로 좁혀진다.여기에 속하는 중학교 1∼3학년군의 성취 기준에는 가창활동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바른 자세와 호흡 및 정확한 발음으로 노래 부를 수 있다”,“1∼3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 및 개념을 이해하며 노래 부를 수 있다”,“악곡의 특징을 살려 개성 있게 노래 부를 수 있 다”,“민요를 듣고 부르거나 보고 부를 수 있다”등이 있다.다만 “악곡 의 종류에 어울리는 신체 표현을 할 수 있다”는 창작 활동에 속하는 것 으로 가창 활동과 관련성이 매우 낮아 제외시켰다.

또한,“1-3.창의적으로 음악 만들어 표현하기"의 내용체계는 민요 가창 실기평가와 연관성이 매우 낮다.예를 들어 1-3의 내용체계에 속한

“(2)주제에 맞는 노랫말과 극본을 만들어 음악극으로 표현할 수 있다”

는 창작활동이므로,사전에 몇몇 민요곡이 정해지고 학생이 이를 부르는 민요 가창 실기평가와 큰 관련이 없다.이러한 연관성이 상당히 낮은 성 취기준을 제거하고,민요 가창 실기평가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맺고 있는 내용 체계는 <표 Ⅱ-14>에서 내용 체계 “1-1.바른 자세로 표현하기”와

“1-2.악곡의 특징을 살려 표현하기”이며,이에 해당하는 성취 기준을 민 요 가창 실기평가와 연관성이 있는 것들로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영역 내용체계 성취 기준 평가 준거

표현

1-1.바른 자세로 표현하기

ú 바른 자세와 호흡 및 정확한 발음으로 노래 부

를 수 있다. 자세와 호흡,발음

1-2.악곡의 특징 을 살려 표현하기

ú 1∼3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 및 개념을 이해하 며 노래 부를 수 있다.

여러 가지 시김새, 말붙임새, 한배의 변화 ú 악곡의 특징을 이해하며 노래 부를 수 있다.

ú 민요를 듣고 부르거나 보고 부를 수 있다.

<표 Ⅳ-2> 민요 가창 실기평가를 위한 평가 준거

영역 내용 체계 중학교 1∼3학년군

표현

1-1.바른 자세로 표현

하기 ú 바른 자세와 호흡 및 정확한 발음으로 노래 부를 수 있다.

1-2.악곡의 특징을 살 려 표현하기

ú 1∼3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 및 개념을 이해하며 노래 부를 수 있다.

ú 악곡의 특징을 살려 개성 있게 노래 부를 수 있다.

ú 민요를 듣고 부르거나 보고 부를 수 있다.

<표 Ⅳ-1> 민요 가창 실기평가의 성취 기준

2)평가 준거의 분석 결과 ( 1)평가 준거의 도출

민요 가창 실기평가에 적용 가능한 성취 기준은 “바른 자세와 호흡 및 정확한 발음으로 노래 부를 수 있다”와 “1∼3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 및 개념을 이해하며 노래 부를 수 있다”,“악곡의 특징을 이해하며 노래 부를 수 있다”,“민요를 듣고 부르거나 보고 부를 수 있다”이다.총 4개 의 성취 기준에 부합하는 5개의 평가 준거를 도출해 내었으며,그 결과 는 다음 <표 Ⅳ-2>와 같다.

중학교 1∼3학년군

여러 가지 박자

장단(중모리,엇모리,가곡),장단의 세

여러 가지 박자의 리듬꼴

여러 가지 장단의 장단꼴

말붙임새

여러 가지 음계

여러 지역의 토리

여러 가지 시김새

딸림 7화음

다양한 소리의 어울림,종지

형식(연음 형식,엮음 형식,한배에 따른 형식,푸가,론도,소나타,변주곡,ABA 등)

셈여림의 변화

빠르기의 변화/한배의 변화

여러 가지 음색

<표 Ⅳ-3> 중학교 1∼3학년군에 따른 음악 요소 및 개념 체계표 일부 발췌

<표 Ⅳ-2>는 각각의 성취 기준과 그로부터 도출 가능한 평가 준 거를 나타내었는데,이는 자세와 호흡,발음,여러 가지 시김새,말붙임 새,한배의 변화이다.먼저,“바른 자세로 표현하기”에 해당하는 평가 준 거로 볼 수 있는 ‘자세와 호흡’및 ‘발음’은 가창의 기본적인 수행 과제이 다.서양 음악과 국악의 구분 없이 일반적인 가창 영역을 평가 시에 적 용할 수 있는 평가 준거로,성취 기준에서 직접적으로 도출되는 것들이 다.

다음으로 “악곡의 특징을 살려 표현하기”의 세 가지 성취 기준은 모두 ‘민요’라는 악곡의 특징에 따라 민요가 가진 특수한 측면에 특징지 어 살펴볼 수 있다.여기에서 “1∼3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 및 개념”은

<표 Ⅳ-3>의 음영 처리된 부분들과 같이 민요 가창과 직결되는 요소들 로 구성해 볼 수 있으며,‘악곡의 특징’역시 민요 가창 제재곡이 담고 있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중학교 1∼3학년군에 해당하는 ‘음악 요소 및 개념’중 어떤 것이 평가의 대상이 될 것인지는 가창 실기평가에서 제시된 제재곡이 서양음 악 혹은 국악에 속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서양음악 중 예술가곡 의 경우,리듬,셈여림,빠르기의 변화 등으로 평가가 가능하지만,국악의 경우 서양음악의 평가 준거를 그대로 적용하는데 무리가 따른다.예를 들어,국악은 서양음악의 리듬 대신 장단에 따라 변하는 말붙임새를 평 가할 수 있으며,빠르기의 변화 대신 한배의 변화라는 용어로 장단의 속 도에 맞추어 부를 수 있는 학생의 역량을 평가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음악 요소 및 개념들 중에 가창에 한하여 서양음악의 개념과 국악의 개념이 일대일로 상응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셈여림의 변화는 서양음악이 ‘pp’에서 ‘ff’에 이르기까지 역동적인 표현을 담은 기호를 악보 상에 표기하는 것과 달리,국악의 민요나 판소리와 같은 장 르는 기보체계가 따로 존재하지 않아 셈여림의 기능을 따로 표시하지 않 았다.이 때문에 현재 중학교 교과서에서 민요는 오선보로 수록되어 있 으나 가창을 위한 셈여림의 표현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그 결과 교육과 정에 제시된 음악 요소 및 개념 체계표에도 셈여림의 변화에 준하는 국 악의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다.

음악 요소 및 개념 체계표에서 주목할 점은 바로 시김새이다.시김 새는 서양음악과 구별되는 국악만의 독특한 음악적 요소로,음을 장식하 여 꾸며주는 기능을 하는 음악요소이다.각 지역별 민요에 따라 시김새 가 달라 음악적 특색을 확연히 보여준다.<표 Ⅳ-3>을 보면 시김새는 서양음악의 음계와 같은 범주 안에 있는 요소로 이 범주에는 여러 가지 음계,여러 지역의 토리,여러 가지 시김새가 위치해 있다.

시김새가 토리와 같은 범주 안에 있으면서도 별개의 요소로 존재하 는 이유는 다음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이보형161)에 따르면,토리 는 서양 음악의 음계나 선법과 관련된 용어로 쓰이지만 모든 지역의 선 법을 지칭하는 용어로 쓰일 수 없다고 설명한다.특히 ‘토리’는 선법보다 는 각 지역의 특징적인 시김새로 구별되는 음악적 특징이라고 설명한다.

161)이보형,“조(調)가 지시하는 선법과 토리의 개념,”한국음악연구 51.no.- (2012) 262.

영역 내용체계 중학교 1∼3학년군 평가 준거

이OO 유OO 권OO

표현

1-1.바른 자 세로 표현하 기

ú 바른 자세와 호흡 및 정확한 발 음으로 노래 부를 수 있다.

자세와 호흡,발음

자세와 호흡,발음

자세와 호흡,발음

1-2.악곡의 특징을 살려 표현하기

ú 1∼3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 및 개념을 이해하며 노래 부를 수 있다.

ú 악곡의 특징을 살려 개성 있게 노래 부를 수 있다.

ú 민요를 듣고 부르거나 보고 부 를 수 있다.

말붙임새, 여러 가지

시김새, 한배의

변화

말붙임새, 여러 가지

시김새, 한배의

변화

말붙임새, 여러 가지

시김새, 한배의

변화

<표 Ⅳ-4> 국악 전문가들이 선정한 성취 기준에 따른 평가 준거

그렇기 때문에 음악 요소 및 개념 체계표 상에서 음계와 토리가 함께 위 치하고,토리는 각 지역의 시김새로 구별될 수 있는 요소이므로 토리와 시김새가 함께 제시된 것이다.이러한 이유로 결과적으로 한 범주 내에 여러 가지 음계,여러 지역의 토리,여러 가지 시김새가 함께 위치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따라서 이와 같은 분석을 종합해보면,민요 가창 실기평가의 “악곡의 특징을 살려 표현하기”에 포함될 수 있는 평가 준거 는 ‘말붙임새’,‘한배의 변화’,‘시김새’등의 세 가지이다.

평가 준거의 도출과 관련한 국악 전문가와의 면담결과도 위와 동일 한 양상을 보인다.<표 Ⅳ-4>는 국악 전문가에게 성취 기준과 개념 요 소 및 체계표를 제시하고,각 성취기준에 대해 어떠한 요소들이 해당하 는지를 묻고 그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국악 전문가들은 <표 Ⅳ-4>와 같이 ‘자세와 호흡’,‘발음’,‘말붙임 새’,‘여러 가지 시김새’,‘한배의 변화’등을 민요 가창 실기평가에서 중 요하다고 보았으며,이러한 결과는 앞서 성취 기준의 분석을 통해 마련 한 ‘자세와 호흡’,‘발음’,‘여러 가지 시김새’,‘말붙임새’,‘한배의 변화’등 의 5가지 평가 준거와 일치한다.이중 ‘바른 자세와 호흡’의 경우 평가 준거에 가치판단이 내제되어 있으므로,‘바른 자세와 호흡’을 ‘자세와 호

음색은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색깔을 얘기하는 거기 때문에 그 사람이 맑고 투명 한 색깔이냐 구성진 색깔이냐 애원진 색깔이냐 이게 소리하는 사람에 따라 다르지.그 래서 뭐가 좋다 나쁘다 평을 하기 어려워요.각 사람의 개성에 맞춰서 인정을 해줘야지 그 사람이 투명하고 맑은 것만 쫓아서 얘길 한다면 목소리가 탁하고 한스럽고 구성 있 는 그런 목소리 가진 사람은 예를 들어 평을 할 수 없잖아 그니까 그 사람 나름의 색깔 을 논할 수는 없지.음색은 잘 한다 못 한다로 평가할 수 없어요.자기가 타고난 색깔이 기 때문에..-OO

이건 뭐라 말할 수 없는 부분인데,일단은 맑고,곱고,높고가 가장 이상적인 거라 고 보는데,음색이 사람에 따라 예를 들어 허스키한데 구성지게 할 수 있는 것처럼 개 성을 살려서 자신만의 음색을 만들어 나갈 수 있는데..그러니까 딱히 음색은 어떤 것 이 좋다 라고 볼 수는 없을 거 같아.-OO

음색은 중학생이라 너무 민요의 음색을 강조하지 않는 게 좋을 거 같아.-OO

흡’으로 수정하였다.

‘음색’역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음악 요소 및 개념 체계표에 제시된 개념으로 민요 가창 실기평가와 연관성은 있으나 타당한 평가 준거가 되기는 어려워 평가 준거에 포함되지 않는다.음색 은 “1∼3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 및 개념을 이해하며 노래 부를 수 있다”

의 성취 기준과 연관이 있다.민요 전문가들이 음색과 관련한 일반적 특 징을 언급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음색은 개인마다 타고난 색깔이 각각 달라 단선적인 평가 기준을 정하여 개인의 음색을 평가하는 데 무리가 있다.이OO와 유OO은 각각 의 사람들이 지닌 음색은 서로 상이하며,따라서 개성 있는 음색을 인정 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특히 맑고 고운 높은 음을 내는 것과,구성진 소리를 내는 것은 교육을 통해 변화될 수 있는 것이 아닌,다소 선천적 인 것이기 때문에 가치평가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보았다.권OO 역시 일반 음악교육을 통해 중학생들에게 민요의 전문적인 음색을 강조할 것 을 지양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더욱이 변성기와 같은 신체적 변화를 겪 는 중학생들에 신체적 발달을 고려해봤을 때,이러한 평가 준거는 민요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78-160)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