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Copied!
160
0
0

Teks penuh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교육학석사 학위논문

중학교 음악과 민요 가창

실기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

2 0 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의 표현 영역을 중심으로

2 0 1 6 년 2 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차 동 주

(3)

중학교 음악과 민요 가창

실기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

2 00 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의 표현 영역을 중심으로

지도교수 Hi l a r yV.Fi nc hum- Sung

이 논문을 교육학 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 0 1 6 년 2 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차 동 주

차동주의 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2 0 1 5 년 1 2 월

위 원 장 김 경 아 ( 인)

부위원장 박 지 현 ( 인)

위 원 Hi l ar y V.Fi nchum-Sung ( 인)

(4)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에서 민요 가창 제재곡을 대상으로 실기 평가가 시행될 때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일반적 루브릭을 개발하는 것이다.개발된 루브릭은 중학교 민요 가창 제제곡 전반 에 대해 두루 적용할 수 있으므로 평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민요가 가진 고유의 음악적 특징을 평가에 충실히 반 영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연구 범위는 2 0 0 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의 표현 영역과 중학교 음악 1 8 종 인정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다.이 를 기반으로 민요 가창 실기평가의 루브릭의 주요 요소인 성취 기 준,평가 준거,성취 수준을 개발하였다.

연구 방법은 2 0 0 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과 중학교 음악 18종 인정 교과서의 분석,전문가 및 음악교사와의 면담 방식을 활용하였다.교육과정의 분석을 통해 성취 기준과 평 가 준거를 도출하고,1 8 종 인정 교과서 분석과 국악 전문가 면담 을 거쳐 평가 준거의 일반적 특성을 정리하였다.마지막으로 현직 중등 음악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학생들의 성취 수준을 기술하였 다.

연구 결과로는 네 개의 성취 기준과 다섯 개의 평가 준거( 자

세와 호흡,발음,여러 가지 시김새,말붙임새,한배의 변화)그리

고 각 평가 준거에 대한 세 단계의 성취 수준을 제시하였다.특히

성취 수준은 실제 중학교 학생들이 성취 가능한 정도를 반영하였

으며,최종적으로 현장 적합성을 검토하여 본 루브릭을 개발하였

다.

(5)

주요어 :민요,가창 실기평가,루브릭,중학교 1∼3학년군, 2009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학 번 :2014-21001

(6)

목 차

Ⅰ.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연구의 제한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3.용어의 정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Ⅱ.이론적 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1.수행평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1)수행평가의 개념 ··· 10

2)수행평가의 특징 ··· 13

3)음악과 수행평가 ··· 15

2.루브릭( r ubr i 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1)루브릭의 개념과 특징 ··· 24

2)루브릭의 종류 ··· 29

3)루브릭의 개발 ··· 33

3.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 · · · · · · · · · 38

1)음악과의 평가 ··· 38

2)중학교 1∼3학년군 성취기준 ··· 45

3)음악 요소 및 개념 체계표 ··· 47

4.선행연구 고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

Ⅲ.연구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4

1.연구 대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4

2.연구 절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7

3.면담 조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

1)면담 대상자 선정 ··· 59

(7)

2)면담 내용 ··· 61

4.현장 적합성 검토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Ⅳ.연구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8

1.1차 루브릭 개발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8

1)성취 기준의 분석 결과 ··· 68

2)평가 준거의 분석 결과 ··· 69

3)성취 수준의 분석 결과 ··· 95

4)민요 가창 실기평가를 위한 1차 루브릭 결과 ···124

5)루브릭 개발의 기대효과 ···125

2.현장 적합성 검토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9

1)성취 수준 ‘하’의 재설정 필요 ···131

2)루브릭 활용의 긍정적 효과 ···133

3.최종 루브릭 개발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4

Ⅴ.요약 및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6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9

부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5

Abst r ac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8

(8)

표 목 차

<표 Ⅱ-1 > 수행평가에 대한 학자별 정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3

<표 Ⅱ-2 > 수행평가의 본질을 구현하는 정도에 따른

평가 방법의 분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0

<표 Ⅱ-3 > 수행평가 실시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2

<표 Ⅱ-4 > 가창 영역의 수행평가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2

<표 Ⅱ-5 > 학자별 루브릭의 정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표 Ⅱ-6 > 리코더 실기연주에 대한 총체적 루브릭의 예 2 9

<표 Ⅱ-7 > 창작활동에 대한 분석적 루브릭의 예 · · · · · · · · · · · · · · 3 1

<표 Ⅱ-8 > 루브릭 제작 시 고려해야 할 점 · · · · · · · · · · · · · · · · · · · · · · · · 3 4

<표 Ⅱ-9 > 루브릭 개발을 위한 절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6

<표 Ⅱ-1 0 > 교육과정에 제시된 평가 방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3 9

<표 Ⅱ-1 1 > 교육과정에 제시된 평가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4 1

<표 Ⅱ-1 2 > 평가 방법과 관련된 기초 기능,표현,태도의 의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2

<표 Ⅱ-1 3 > 국가 수준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 성취 수준 분석 일부 발췌 · · · · · · · · · · · · · 4 3

<표 Ⅱ-1 4 > 교육과정에 제시된 평가 결과 활용 · · · · · · · · · · · · · · · · 4 4

<표 Ⅱ-1 5 > 표현 영역의 중학교 1

∼3

학년군 성취 기준 · · 4 5

<표 Ⅱ-1 6 > 음악 개념의 제시 방식 비교 일부 발췌 · · · · · · · · 4 8

<표 Ⅱ-1 7 > 음악 요소 및 개념 체계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9

<표 Ⅲ-1 > 중학교 음악 1 8 종 인정 교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5 6

<표 Ⅲ-2 > 면담 조사 연구 대상자 선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0

<표 Ⅲ-3 > 면담 대상에 따른 면담 일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1

<표 Ⅲ-4 > 루브릭 구성에 관한 면담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6 1

<표 Ⅲ-5 > 메타루브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6

(9)

<표 Ⅲ-6 > 현장 적합성 검토 일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7

<표 Ⅳ-1 > 민요 가창 실기평가의 성취 기준 · · · · · · · · · · · · · · · · · · · · · · 6 9

<표 Ⅳ-2 > 민요 가창 실기평가를 위한 평가 준거 · · · · · · · · · · · · 6 9

<표 Ⅳ-3> 중학교 1

∼3학년군에 따른 음악 요소 및

개념 체계표 일부 발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0

<표 Ⅳ-4 > 국악 전문가들이 선정한 성취 기준에 따른

평가 준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2

<표 Ⅳ-5 > 1 8 종 교과서에 따른 자세와 호흡의 일반적

특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5

<표 Ⅳ-6 > 1 8 종 교과서에 따른 발음의 일반적 특징 · · · · · · · · 7 8

<표 Ⅳ-7 > 1 8 종 교과서에 따른 여러 가지 시김새의

일반적 특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0

<표 Ⅳ-8 > 1 8 종 교과서에 따른 말붙임새의 일반적 특징 8 9

<표 Ⅳ-9 > 1 8 종 교과서에 따른 한배의 변화의 일반적

특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3

<표 Ⅳ-1 0 > 평가 준거에 따른 일반적 특징 · · · · · · · · · · · · · · · · · · · · · · · · 9 5

<표 Ⅳ-1 1 > 중등 음악교사들의 진술에 따른 ‘ 자세와 호흡’ 의 성취 수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7

<표 Ⅳ-1 2 > ‘ 자세와 호흡’ 의 성취 수준 종합 결과 · · · · · · · · · · · ·1 0 1

<표 Ⅳ-1 3 > 중등 음악교사들의 진술에 따른 ‘ 발음’ 의

성취 수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0 2

<표 Ⅳ-1 4 > ‘ 발음’ 의 성취 수준 종합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1 0 5

<표 Ⅳ-1 5 > 중등 음악교사들의 진술에 따른

‘ 여러 가지 시김새’ 의 성취 수준 · · · · · · · · · · · · · · · · · · · · · ·1 0 6

<표 Ⅳ-1 6 > 각 지역별 시김새에 따른 평가 가능한 특징 1 1 4

<표 Ⅳ-1 7 > ‘ 여러 가지 시김새’ 의 성취 수준 종합 결과 · ·1 1 5

<표 Ⅳ-1 8 > 중등 음악교사의 진술에 따른 ‘ 말붙임새’ 의

(10)

성취 수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6

<표 Ⅳ-1 9 > ‘ 말붙임새’ 의 성취 수준 종합 결과 · · · · · · · · · · · · · · · · · ·1 1 9

<표 Ⅳ-2 0 > 중등 음악교사의 진술에 따른 ‘ 한배의 변화’ 의 성취 수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0

<표 Ⅳ-2 1 > ‘ 한배의 변화’ 의 성취 수준 종합 결과 · · · · · · · · · · · ·1 2 3

<표 Ⅳ-2 2 > 민요 가창 실기평가를 위한 1 차 루브릭 · · · · · · · ·1 2 4

<표 Ⅳ-2 3 > 중등 음악교사 5 명의 메타루브릭 결과 · · · · · · · · · ·1 3 0

<표 Ⅳ-2 4 > 민요 가창 실기평가를 위한 최종 루브릭 · · · · · ·1 3 5

그 림 목 차

[ 그림 Ⅱ-1 ]수행평가의 유기적 관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9 [ 그림 Ⅱ-2 ]루브릭의 긍정적 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8 [ 그림 Ⅲ-1 ]연구 대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4 [ 그림 Ⅲ-2 ]민요 가창 실기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절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7

악 보 목 차

[ 악보 Ⅳ-1 ]한강수 타령 말붙임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0

(11)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Madeus1)는 “점차 무엇을 가르쳐져야 하는지,어떻게 가르칠지,무 엇이 학습되며 어떻게 학습되는지에 대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공식적 교육과정’(officialcurriculum)이 아닌 바로 평가(testing)에 있 다.“고 공언한 바 있다.교육평가는 교육의 일부분을 구성하지만 실제로 는 교육의 전반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다.어떠한 평가를 하느냐 에 따라 교수 및 학습 방법이 새롭게 재편되며,이는 다시 학생의 이해 정도와 학습의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이처럼 평가가 교육에 미치는 영 향은 ‘조형(shaping)’기능이라고 지칭되기도 한다2).

최근 들어서 평가의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도입되어 시행 중인 평가방식은 수행평가이다.수행평가는 학생의 실제적인 수행능력에 초점을 두어 평가를 하는 방식으로,1980년대에 직무능력이나 예체능분 야에서 활용되다가 1990년대에 들어 전통적 평가방식인 선택형 문항과 대비되는 서술형,논술형,실기시험으로 확장되어 교육활동에 적용되었 다3).수행평가는 학생의 성취를 보여주는 결과뿐만 아니라 활용 능력이 나 기술을 다룰 수 있는 과정까지 평가하는 방식으로 인간의 인지적 및 정의적 행동 특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는 장점이 있다4).

음악과 교육과정은 제7차 교육과정(1997)에서 수행평가가 도입된 이후5),2007및 2009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까지 평가의 방식으로서 수행 평가가 꾸준히 강조되어 왔다.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1997)에서 ‘타당성

1)Madaus,G.F.CriticalIssuesinCurriculum:Eighty-SeventhYearbookofthe NationalSociety for the Study ofEducation(PartI),ed,Tanner,LaurelN (Chicago:UniversityofChicago,1988),33.

2)김성훈,교육평가는 교육을 교육답게 하는가?.”교육원리연구 13,no.1 (2008): 77-78.

3)백순근,수행평가의 원리 (서울:교육과학사,2003),47.

4)김석우,교육평가의 이해 (서울:학지사,2011),194.

5) 현경실,“중학교 음악과의 수행평가 실태조사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6,no.4 (2012):982.

(12)

있는 음악과 평가’라는 실천 방향이 제시되었다면6),이후 2007및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생의 수준이나 학교 상 황을 고려한 다양한 평가 도구와 평가 방법의 활용을 제시하고 있어 평 가의 부분이 점차 구체화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7).

음악교육 분야에 수행평가가 도입된 지 오랜 시간이 흘렀으나,학 교 현장에서 수행평가를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평가도구 개발에 대한 연구는 중학교 2학년 가창 수행평가를 위한 평가도구 개발8),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 교 1학년 민요 평가도구 개발9),초등학교 3학년 음악과 평가도구를 가 창․기악․창작․감상 영역별로 제시한 연구10)등이 있다.실기평가와 관련한 연구로는 교사들이 임의적으로 개발한 루브릭의 실태를 조사하여 이를 보완․개선한 루브릭의 개발11),학습자 참여 루브릭 개발 및 루브 릭의 사용이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12)등을 연구한 바가 있다.지금까 지의 수행평가에 대한 연구는 현재의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학 년군별 구분이 아닌 학년별로 나누어 평가도구 개발이 이루어진 측면이 크다.물론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이외에도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 른 음악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등이 현장에 보급되어 활용될 수 있게 연구되었으나13),민요 가창 실기평가에 직접 적용할만한 구체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특히 수행평가의 유형 중 음악과에서 큰

6)권덕원,석문주,최은식 등,음악교육의 기초 (서울:교육과학사,2015),283.

7)정재은,“중등음악교재에 제시된 평가 도구의 비교 및 분석,” 교원교육 26,no.1 (2010):22.

8)박미성,“중학교 2학년 가창 수행평가를 위한 교사용 루브릭 개발”(석사학위논문,한 양대학교 교육대학원,2012).

9)정연우,“민요수업을 위한 평가기준 및 평가도구 개발 연구”(석사학위논문,한국교원 대학교 대학원,2011).

10)서정애,“국가수준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현장 적용을 위한 음악과 평가도구의 개 발 :3학년 음악과 제재곡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2001). 11)박주만,“국악교육의 수행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연구:초등학교 3,4학년 제재곡을

중심으로,”국악교육 33,(2012).

12)나현정,“학습자 참여 루브릭이 음악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경 인교육대학교 대학원,2011).

13)이경언,장근주,박지현 등,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성취기준 및 성취 수준 개발 연구 (서울:교육과학기술부,2012).

(13)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실기평가는 직접적으로 연구된 바가 적은 편이다.

교육과정에서는 평가 방향,평가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단위 학 교별 상황을 고려하여 평가를 시행하도록 되어 있어 학교 현장에서 교사 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평가를 실시해야 하는지 평가 형태를 즉각적으로 이끌어 내기 어렵다.설령 교육과정이 제시한 평가의 방향과 방법을 포 괄적으로 고려하여 평가 도구를 제작하려해도 일선 학교에서 이를 시행 하기에는 상당한 시간적 제한을 겪을 수 있다.본 연구에서는 국가 교육 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를 실제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 시하고자 한다.

학교 현장에서 수행평가를 실시할 때 그 중 가장 많이 활용되는 유 형은 실기평가 방식으로 좁혀진다.실기평가는 교사가 학생이 실제로 하 는 것을 여러 번 관찰하여 학생의 실제 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평가 방식 으로14),현재 중학교 1∼3학년군에 적용되고 있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도 각 영역에 맞는 수행평가의 방법(실기평가, 실음지필평가,관찰평가,포트폴리오,보고서 등)으로 명시되어 활용이 권고되고 있다15).이중 음악과 수행평가 실태조사의 연구에 따르면 현재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수행평가 방법은 실기평가의 방식이다16).

실기평가가 교수-학습 과정에서 폭넓게 쓰이고 있지만 이미 시행 과정에서 몇몇 문제점을 드러내었다.실기평가는 교수-학습 과정에서 교 사가 학생들이 습득한 음악적 개념을 활용하는 순간을 포착하여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17),실제 학교에서 교사가 이를 사용하여 평가 를 진행하는 것은 쉽지 않다.우선 음악교사들은 학생의 발전된 정도를 적절히 평가할 만큼의 충분한 시간을 평가에 할애하기 어렵고18),채점기

14)백순근,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백순근 편,(대전:한국교육평가연구회,1997),29.

15)교육과학기술부,음악과 교육과정 (서울:교육과학기술부,2011),10,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16) 현경실,“중학교 음악과의 수행평가 실태조사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6,no.4 (2012):986.

17)LauraDunbar,"PerformanceAssessmentoftheMassesin 30SecondsorLess,"

GeneralMusicToday25.2(2012):34.

18)Adam Belland Mary Bell,"Developing Authentic AssessmentMethods from a MultipleIntelligencesPerspective,"(2003).16.

(14)

준의 설정이 명료하지 않아 오류를 저지를 가능성이 있으며,평가 도구 의 개발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19).

실기평가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평가의 과정에서 성취목표에 따른 타당한 평가 준거가 제시되어야 하며20),음악과 평가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수행 과정과 결과의 성취수준 또한 적절히 제시되어야 한다21). 이러한 장점을 가지며 실기평가의 수행을 돕는 채점가이드가 바로 루브 릭(rubric)이다.루브릭은 수행평가에서 수량화하기 힘든 학생의 지적 능 력과 학습 성취 결과를 제공하는 서술식 채점 방법을 가리키는 것으 로22),학생의 수행이나 결과물의 질적 측면을 판단할 수 있는 수행 준거 를 제시한다23).특히 음악과 평가는 과목의 특성상 실기평가가 사용되는 빈도가 다른 수행평가의 유형에 비해 현저히 높다.학생의 음악적 활동 에 대한 교사의 정확한 판단이 전제될 때,평가의 타당성과 신뢰성 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24)이를 위해 교사는 실제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 이 달성할 수 있는 수준을 고려하여 평가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루브릭의 실효성을 고려한다면 민요 가창 실기평가 개발에 적합한 루브릭은 일반적 루브릭(genericrubric)의 형태가 될 수 있다.현재 중학 교 1∼3학년군에 적용되고 있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 과정은 평가의 방향에 있어 학생들에게 과제 선택권의 부여할 것을 명시 하고 있다25).또한 Arter와 McTighe26)는 단위학교의 수행평가에서 교수

19)채로이아,민경훈,“음악과 수행평가 준거에 관한 연구,”교원교육 29,no.3(2013): 92.

20)민경훈,김신영,김용희 등,음악교육학 총론 (서울:학지사,2013),310.

21)박주만,“국악교육의 수행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연구:초등학교 3,4학년 제재곡을 중심으로,”국악교육 33,(2012):72.

22)김영천,현장 교사를 위한 교육평가 (서울:문음사,2007),197.

23) Judith Arter."Rubrics,Scoring Guides,and Performance Criteria:Classroom Tools for Assessing and Improving StudentLearning" (paper presented atthe annualmeeting ofthe American EducationalResearch Association,New Orleans, LA,April24-28,2000),3.

24)이경언,“음악과 교육과정 평가 방법 분석 연구,”교원연구 21,no.4(2005):85.

25)교육과학기술부,음악과 교육과정 (서울:교육과학기술부,2011),10,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26) Judith Arter and McTighe,Scoring Rubrics in the Classroom: Using Performance Criteria for Assessing and Improving Student Performance, (ThousandOaks,Calif.:CorwinPress,c2001),24.

(15)

와 학습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세한 피드백이 가능한 분석적 루브릭 을 활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학생들이 평가 상황에서 자신이 수행해 야 할 과제를 자율성을 가지고 선택할 수 있으며,평가의 궁극적인 기능 이 교수․학습의 질 향상임을 고려할 때,루브릭의 형태는 평가 상황에 두루 적용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현재 우리나라 교실 상황에서 고질 적인 문제로 지적되어 온 음악 수업 시수의 부족 및 교사 한명 당 학생 수의 과다 등이 아직 충분히 해결되지 않은데다가27),교사가 각 제재곡 마다 새로운 루브릭을 개발해야 하는 특정 과제 루브릭(task-specific rubric)은 실제 시행 가능성이 매우 낮다.일반적 루브릭은 동일한 루브 릭을 목적에 맞게 약간의 변형을 거쳐 동일한 과제에 적용할 수 있기 때 문에 평가에 할애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28).

평가의 영역은 현재 우리나라의 음악 수업에서 실기평가가 주로 활 용되는 영역인 가창영역으로 한정하여 논의를 전개할 것이다29).가창은 학생의 음악적 성장에 필요한 기초적인 음악적 활동이며30),가창 활동은 초·중등학교의 음악 수업의 매우 중요한 교수-학습 방법의 도구이다31). 특히 교과서를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제재곡을 중점적으로 학습하도록 수 업이 진행되는 한국의 음악수업 형태에서,가창활동은 학생들이 음악적 인 개념을 이해하도록 하는 안내하는 핵심적 역할을 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32).

가창활동에서는 다양한 곡이 다루어지고 있으나,민요는 특히 그 특성상 다른 곡들과 구분되는 점이 있어 루브릭의 적용범위는 가창영역 중에서도 민요 제재곡으로 한정하였다.다수의 곡 가운데서 민요는 가창

27)이경언,“음악과 교육과정 평가 방법 분석 연구,”교원연구 21,no.4(2005):82.

28) Judith Arter and McTighe,Scoring Rubrics in the Classroom: Using Performance Criteria for Assessing and Improving Student Performance, (ThousandOaks,Calif.:CorwinPress,c2001),26-28.

29) 현경실,“중학교 음악과의 수행평가 실태조사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6,no.4 (2012):986.

30)석문주,송명섭,이명숙 등,학습을 위한 수행평가 (서울:교육과학사,1999),158.

31)류미해,정재은,“초・중등 교사의 음악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한 시사점 도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no.5(2014):158.

32)정재은,“음악과 영역별 수행평가 방법 및 규준에 대한 분석,”과학과 문화 6,no.4 (2009):13.

(16)

의 특성상 여타 곡들과 달리 평가에서 특징적으로 고려해야 할 고유의 요소를 가지고 있음에도 가창 평가에서 이 부분이 간과되어 왔다.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국악의 비중이 확대된 이후,2007개정 음악과 교 육과정에서는 ‘국악 교육의 질적 제고’가 처음 언급되었다33).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에도 이러한 방향은 이어져 있는데,아 직 평가의 영역에서 민요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시행하는 방안의 제시는 아직 더딘 편이다.

위의 논의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것 은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중학교 민요 가창 실기평가를 위한 일반적 루브릭이다.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를 실 시할 수 있도록 가창활동의 민요 실기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형태를 루브 릭의 형태로 제시하고자 한다.개발된 루브릭이 실제 교실에서 사용될 때,교사는 평가 계획을 학생들에게 사전에 공지하고,학생들에게 과제선 택권을 부여하며,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 평가에 충실히 반영되어 평가 에서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이후 내용에서 다루고자하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연구문제 1.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민요 가창 실기평가와 관련된 요소는 무엇인가?

연구문제 2.민요 가창 실기평가에 적합한 성취 기준(achievement standards)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3.민요 가창 실기평가에는 어떠한 평가 준거(criteria)가 포 함되어야 하는가?

연구문제 4. 실제 중학교 학생들이 달성할 수 있는 성취 수준 (achievementlevel)은 어떠한 것이 있으며,어떻게 언어적으로 기술

33)성기련,“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민요 관련 지도내용 고찰,”한국민요학 25, (2009):220.

(17)

될 수 있는가?

2.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첫째,본 연구는 중학교 1∼3학년에 적용 가능한 민요 가창 실기평 가의 루브릭을 개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2009개정 교육과정의 개정 중점 사항 중 하나는 학년군에 따른 교육과정을 편성하는 것이다.본 연 구에서는 이에 알맞게 중학교의 특정 학년에 적용할 수 있는 루브릭이 아닌 중학교 1∼3학년군에 모두 적용 가능한 루브릭을 개발하도록 한다.

둘째,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과 가창 실기평가 중 우리나라 민요 가창 실기평가에 활용될 수 있는 일반적 루브릭(genericrubric)을 개발 하는 것이다.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의 방향을 고려하여 대다수의 민요의 제재곡에 적용 가능한 일 반적 루브릭을 개발한다.

셋째,본 연구는 모든 민요 가창 실기평가에 적용 가능한 일반적 루브릭을 분석적 루브릭(analyticrubric)형태로 제작한다.학생의 수행 의 전반적 측면을 포괄적으로 서술하여 결과물에 대한 상세한 분석이 불 가능한 총체적 루브릭과는 달리,분석적 루브릭은 학생이 보완해야할 점 과 강점에 대한 정보를 상세히 제공한다.본 연구에서는 평가 준거들을 세부적으로 제시한 형태의 분석적 루브릭을 제작하고자 한다.

넷째,본 연구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 용을 바탕으로 루브릭 개발에 필요한 민요 가창 실기평가의 요소인 성취 기준,평가 준거와 성취 수준을 마련한다.이는 교육과정 중에서 평가의 방향과 관련하여 “평가는 교육과정의 범위와 수준에 근거하여 시행한 다.34)”라고 언급하고 있는 것에 바탕을 두고 있다.

34)교육과학기술부,음악과 교육과정 (서울:교육과학기술부,2011),10,교육과학기술부

(18)

다섯째,성취 기준은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 의 표현 영역을 중심으로 제한한다.표현 영역 가운데 민요 가창 실기평 가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 성취 기준들로 제한하여 재진술한 형태로 루브릭에 활용한다.

여섯째,평가 준거의 구체적인 특징에 대해서는 일차적으로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살펴보고,미흡한 부분에 대해서 18종 인정교과서의 서술을 참조한다.

일곱째,성취 수준은 실제 민요 가창 실기평가를 경험한 중등 음악 교사와의 면담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달성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나누어 제 시한다.루브릭을 사용하여 시행한 평가가 학생들의 성취에 긍정적인 영 향을 줄 수 있도록 성취 수준을 긍정적인 언어로 서술하여 학생들의 동 기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또한,시김새의 경우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가르칠 수 있는 범위와 학생들을 평가할 수 있는 특징을 제한하여 성취 수준에 반영한다.

여덟째,본 연구에서 개발된 루브릭은 메타루브릭(metarubric)을 통 해 현장 적합성을 검증받았으나 이 결과를 모든 학습상황에 일반화 시키 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3.용어의 정의

■ 루브릭(rubric):루브릭이란 평가를 실시하기 이전에 학생들에게 미리 제시하는 채점 기준표로 학생의 교육적 성장 정도를 파악하는 평가 도구이다.본 연구에서는 루브릭에 포함되는 요소로써 성취기준,평가준 거,성취수준을 구체적으로 명시해 놓은 채점기준표로 정의한다.

루브릭의 종류는 크게 4가지로,피드백 형태에 따라 총체적 루브릭 (holisticrubric)과 분석적 루브릭(analyticrubric)으로 나뉘며,과제의 적

고시 제2011-361호.

(19)

용 범위에 따라 일반적 루브릭(generic rubric)과 특정 과제 루브릭 (task-specificrubric)으로 구분할 수 있다.한편,메타루브릭(metarubric) 은 개발된 루브릭을 평가하는 도구로 정의한다.

■ 성취 기준(achievementstandards):성취 기준이란 평가의 대상 이 되는 학생들의 측면에서 서술된 용어로써,학생들이 학습을 통해 길 러야 할 지식,기능 태도의 특성을 기술한 것이다35).교육과정에서 제시 한 성취 기준은 교사들이 단위학교별 학년 단위의 성취 기준,학기 단위 의 성취 기준의 거시적인 관점에서 분류되며,이러한 성취 기준은 각각 의 학습활동 및 과제에 따라 다르게 기술 될 수 있다.

■ 평가 준거(criteria):평가 준거는 교사가 학생들의 수행을 분석 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기준이다.본 연구에서는 평가 준거를 각 과제에 따른 학생의 수행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항목으로 정의한다.

■ 성취 수준(achievementlevel):성취 수준은 기존의 평가 기준을 대체하는 용어로써,성취 기준에 비추어 학생의 성취 정도 및 특성을 나 타내는 용어이다36).성취 수준은 학생들이 성취기준에 얼마만큼의 성장 을 하였는지 보여주는 지표로써,교수-학습과정에서 학생들이 취득한 능 력의 단계별 정도를 명시적으로 보여준다37).이러한 성취 수준은 교육과 정에 제시된 성취 기준에 따라 교사들이 자율성을 가지고 단위학교별 학 년 단위의 성취 수준,학기 단위의 성취 수준과 각각의 제재곡의 성취기 준에 따른 성취 수준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본 연구에서는 성취 수준을 평가 준거에 따라 학생들이 성취 가능한 정도를 ‘상,중,하’의 평가 척도 (scale)로 기술한 질적인 형태의 수행 수준으로 정의한다.

35)이경언,장근주,박지현 등,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성취기준 및 성취 수준 개발 연구 (서울:교육과학기술부,2012),19.

36)홍미영,박제윤,문진 등,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연구 (서울:교육과학기술부,2012),13.

37)이경언,장근주,박지현 등,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성취기준 및 성취 수준 개발 연구 (서울:교육과학기술부,2012),30.

(20)

Ⅱ.이론적 배경

본 장에서는 음악과 실기평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루브릭 개발을 위해 필요한 주요 핵심 이론들을 살펴보고자 한다.루브 릭의 근간이 되는 수행평가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본 뒤,수행평가의 하 위 유형인 실기평가를 논의한다.기본적인 이론에 덧붙여 현재 우리나라 의 수행평가 및 실기평가 실시현황에 대한 정보도 포함하였다.최종적으 로는 실기평가의 한계와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루브릭을 제시 하여 루브릭의 개념과 종류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평가가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그 다음으로 살 펴봐야 할 내용은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이다.여기 에는 평가방향과 평가방법이 제시되어 있을 뿐 아니라,교수-학습을 통 해 달성될 수 있는 학년군별 성취 기준이 제시되어 있다.성취 기준은 민요 가창 실기평가를 위한 루브릭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평가 준거의 근거가 되므로 이를 자세히 살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가창 활동과 직 접적으로 관련을 맺고 있는 표현영역의 성취 기준을 차례로 살펴보도록 한다.

1.수행평가

1)수행평가의 개념

수행평가는 1980년대에 직업관련 분야의 시험이나 예체능 분야에서 활용하는 실기시험을 일컫는 용어였다.이 시기의 실기시험은 음악,미 술,체육 분야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능력,혹은 특정한 기술을 요하는 기술자 자격시험과 의사나 간호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역량 을 평가하는 시험을 의미한다38).이러한 수행평가는 학생들의 실제적인 수행을 판단하는 평가로서 예체능계의 실기평가와 과학 실험 평가,그리 고 의과대학의 실습 등이 실기평가의 요소가 담겨져 있는 대표적인 수행

38)백순근,수행평가의 원리 (서울:교육과학사,2003),47.

(21)

평가라 할 수 있다39).

이후 1990년대에 들어 수행평가의 의미는 더욱 확장되어 기존의 전 통적인 평가 체제인 선택형(객관식)에 대비되는 서술형이나 논술형,실기 시험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40).수행평가는 본래 음악이나 체 육과 같은 분야에서 심동적 행동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방법이었으 나,근래에 들어 성취 결과뿐 아니라 활용 능력이나 기술을 다룰 수 있 는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부각되면서 인지적 행동 특성과 정 의적 행동 특성 등의 인간의 모든 특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으로 적용이 확대되었다41).

수행평가에 대한 국·내외 학자들의 정의는 다양하며,이를 정리하 면 다음과 같다.백순근42)은 수행평가는 학생 스스로 자신의 지식을 기 능이나 태도로 표현하여 산출물이나 행동으로 나타내는 평가의 방법이 며,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계획하며 준비하는 단계를 모두 포함하는 방법으로 정의한다.성태제43)는 수행평가를 “습득한 지식,기능이나 기술 을 실제 상황이나 인위적 평가 상황에서 얼마나 잘 수행하는지(doing, performing),또는 최소한 어떻게 수행할 것인지(how to do,how to perform)를 관찰,면접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평가방법으로서 지식이나 기능에 의한 정답 여부나 결과물에만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 수행과정과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으로 정 의하고 있다.권대훈44)은 수행평가를 “실제로 행동을 하는 과정이나 행 동의 결과를 관찰해서 판단하는 평가”라고 정의하고 있다.

Mehrens45)에 따르면,수행평가는 피평가자로 하여금 개별적 반응 (originalresponse)을 구성하도록 요구하는 것으로,이러한 과정에서 평

39)남명호,“수행평가 타당성 연구,”교육평가연구 8,no.2(1995):118.

40)박도순,권순달,김명화 등,교육평가 (서울:교육과학사,2008),242.

41)김석우,교육평가의 이해 (서울:학지사,2011),194.

42)백순근,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백순근 편,(대전:한국교육평가연구회,1997),34.

43) 성태제,“수행평가의 본질과 장단점,” (제5차 교육개혁대토론회,한국교원대학교, 1999),42.

44)권대훈,교육평가 (서울:학지사,2008),355.

45) William A. Mehrens, "Using Performance Assessment for Accountability Purposes,"EducationalMeasurement:IssuesandPractice11.1(1992):3.

(22)

가자의 전문적인 판단(professionaljudgement)을 중시하는 평가 방식이 라 정의한다.

Wiggins46)는 수행평가의 본질에 대해 두 가지의 개념을 설명하고 있다.첫 번째로 참 평가(authentic assessments)로서의 수행평가는 작 가.과학자,정치인,디자이너,혹은 역사가들과 같은 일을 수행하는 상황 에서 그들이 직면하고 있는 도전적 수행과정들을 포함한다.수행과정은 개인적인 수행과 집단적 수행으로 분류되며,실제적으로 주어진 과제 (task)를 해결해 나가는 능력의 평가를 의미한다.두 번째로 타당한 평가 (legitimateassessments)로서의 수행평가는 학생의 개별성과 학교의 실 정을 고려하고자 하는 방법이다.특히 교사의 평가를 학생과 함께 공유 할 때 평가의 공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피 평가자가 자신의 점수에 대 해 질적인 설명을 요구할 수 있어야 한다.

Linn,Baker와 Dunbar는47)에 따르면,수행평가는 학습자로 하여금 문제 해결력과 이해력,비판적 사고력,추론 능력,그리고 메타 인지 과 정을 목표로 하는 평가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수행평가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를 정리하면 <표 Ⅱ -1>과 같다.

46)GrantWiggins,"A TrueTest,"PhiDeltaKappan70.9(1989):82.

47) Robert L. Linn, Eva L. Baker, and Stephen B. Dunbar, "Complex, Performance-based Assessment:Expectationsand Validation Criteria,"Educational researcher20.8(1991):19.

(23)

학자 정의

백순근 편(1997)

ú 학생 스스로 자신의 지식을 기능이나 태도로 표현하여 산출물이나 행동으로 나타내는 평가의 방법이며,수행과 정과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법

성태제(1999)

ú 습득한 지식,기능이나 기술을 실제 상황이나 인위적 평가 상황에서 얼마나 잘 수행하는지(doing, performing),또는 최소한 어떻게 수행할 것인지(how todo,how toperform)를 관찰,면접 등의 다양한 방법 을 통해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평가

권대훈(2008) ú 실제로 행동을 하는 과정이나 행동의 결과를 관찰해서 판단하는 평가

Mehrens(1992)

ú 피평가자의 반응(response)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평가 자의 전문적인 판단(professionaljudgement)을 중시하 는 평가

Wiggins(1989)

ú 참 평가로서의 수행평가 :실제적으로 주어진 과제 (task)를 해결해 나가는 능력의 평가

ú 타당한 평가(legitimateassessments)로서의 수행평 가 :개별적 학생들과 학교의 실정을 고려하고자 하는 방 법

Linn,Baker&

Dunbar(1991)

ú 학습자로 하여금 문제 해결력과 이해력,비판적 사고 력,추론 능력,그리고 메타 인지 과정을 목표로 하는 평 가

<표 Ⅱ-1> 수행평가에 대한 학자별 정의

2)수행평가의 특징

학생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등 고등 사고기능을 측정하려는 수행 평가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48).첫째,수행평가는 학생 스 스로 지식을 구성하여 행동으로 구체화하여 이를 평가하는 방식이다.이 러한 학생의 인지 구조의 변화 과정을 거치면서,학생은 문제 해결력을 기를 수 있게 된다.

48)백순근.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백순근 편.대전:한국교육평가연구회,1997.18.

(24)

둘째,수행평가는 실제 상황의 맥락 속에서 교육목표를 달성하는지 파악하는 역할을 한다.통제되거나 강요된 상황에서 학생의 지적 능력수 준을 파악하는 전통적 평가방식에서 벗어나 수행평가는 실제적인 상황에 서 학생들이 습득한 지식을 구현할 수 있는지 관찰하는 특성을 지닌다.

셋째,수행평가는 교수-학습의 결과뿐만 아니라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방식이다.학생이 단순히 지식을 습득한 것에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절차적 지식,즉 ‘어떻게 하는지 알고 있는지’를 살펴보아 그 원리와 방 법을 직접 실천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수행평가는 학생 개개인의 지속적이고 전체적인 성장과 발달 을 강조한다.이는 단편적·일회성을 지닌 평가 방식이 아니라 교사가 학 생의 변화 및 발달과정을 수시로 관찰하여 평가함으로써 학생의 성장 정 도를 파악하는 것을 통해 가능하다.

다섯째,수행평가는 개인에 대한 평가뿐만 아니라 집단 평가도 중 시한다.한 가지의 과제를 집단별로 해결해 나갈 때 학생들은 상호작용 을 통해 협동성을 기를 수 있게 되며,수행평가에서는 절대평가를 통해 이를 평가하게 된다.

여섯째,수행평가는 학생의 학습과정에 대한 진단과 개별 학습을 촉진하는데 목적이 있다.수행평가는 일반적인 평가가 지니는 특징인 선 발·분류의 기능으로서 역할을 하기 보다는 학생의 지적 수준을 진단하고 학생이 학습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수행평가는 학생의 인지적 영역·정의적 영역·신체적 영 역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전인적 평가를 지향한다.창의성과 문제해결 력 등의 인지적 영역과,학습에 대한 흥미·태도와 같은 정의적 영역 그 리고 운동 기능,신체 활동 등의 신체적 영역까지 세 영역에 대한 성장·

발달을 촉진하는데 초점을 둔다.

(25)

3)음악과 수행평가

( 1)음악과 수행평가의 개념

1990년대 수행평가가 도입이 되면서,비판력과 창의력 등 실제 상 황에서 학생들이 학습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고등정신 능력의 계발을 강 조하고 있다49).이에 따라 음악과에서도 제7차 교육과정(1997)부터 수행 평가의 실천을 강조하였다50).제7차 교육과정(1997)에서 새롭게 수행평 가의 활용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평가 도구가 제시되었으며,이 기조는 이후에도 유지되고 있다.이후 2007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도 수행평 가의 활용이 강조되었고,학생의 수준이나 학교 상황을 고려한 다양한 평가 도구와 평가 방법의 활용이 제시되었다51).이처럼 제7차 음악과 교 육과정(1997)에서 ‘타당성 있는 음악과 평가’의 방향으로 수행평가를 강 조한 것을 시작으로,2009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도 수행평가는 지속적으 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52).

수행평가가 음악과에서 강조되는 이유는 음악 수업에서의 평가가 학생에게 평가에서 목표한 최종생산물을 만들어 내는데 있어 음악적 지 식과 기술을 드러낼 것을 요구하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53).Leonhardt54) 에 따르면,음악과에서 수행평가는 학생들이 무언가를 창작하거나 음악 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그들 스스로 음악적 결정을 내릴 것을 요구 하기도 한다.수행평가가 이렇게 학생들을 음악적 결정에 끌어들임으로 서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높이고,음악적 성장의 주도권이 학습자 자신 에게 있도록 한다.이에 더해서 학생들이 동일한 음악적 과제를 각기 다 른 방식으로 접근하는 과정에서 개별 학생들은 스스로에게 의미 있는 음 악적 결정을 내리게 된다.

49)김희라,“국악 가창 영역의 평가 적용 방안,”국악교육연구 5,no.2(2011):67. 50) 현경실,“중학교 음악과의 수행평가 실태조사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6,no.4

(2012):982.

51)정재은,“중등음악교재에 제시된 평가 도구의 비교 및 분석,”교원교육 26,no.1 (2010):22.

52)권덕원,석문주,최은식 등,음악교육의 기초 (서울:교육과학사,2015),283.

53)Angela Leonhardt,"Using Rubrics as an AssessmentToolin YourClassroom,"

GeneralMusicToday19,1(2005):10.

54)Ibid.

(26)

음악과에서 수행평가는 학생들에게 학습 동기를 높일 수 있으며, 교사에게는 평가의 결과를 활용하여 수업을 개선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 공하는 다양한 이점을 지닌다55).수행평가는 학생들이 학습한 음악 지식 이 양적,질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을 전제하여 시행되며,학생들이 음악 을 학습하는 데 있어 학습 수준과 이해의 정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학생들의 음악적 활동을 관찰하면서 내면세계를 측정하는 것으로서,음 악을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학습하였는가와 음악적 능력의 성장을 드러 내는 결과물과 그에 대한 과정도 고려하는 활동이다56).뿐만 아니라 음 악과의 평가는 학생의 음악적 행동이 판단의 대상이 되므로 음악적 행동 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근거하여 판단을 내리는 활동이다.이러 한 과정은 ‘수업의 계획 - 수업의 실행 - 수업 결과의 평가’로 이어지는 일련의 순환적 과정의 부분이라 할 수 있다57).

앞서 살펴본 수행평가의 일반적인 특징을 고려해 볼 때,음악과 수 행평가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제시 할 수 있다58).

첫째,음악 수행평가는 음악 행위의 과정 및 결과를 모두 중시한다.

둘째,음악 수행평가는 음악적 표현행위의 결과 뿐 아니라,그 표현 행위의 출발점이 되는 ‘음악에 대한 학생의 이해와 느낌’을 드러낼 수 있 는 방식을 선택한다.

셋째,음악과 수행평가는 음악에 대한 학생의 체험의 유형(kind of experience)과 질적 수준(degreeofquality)을 포함한다.

넷째,음악과 수행평가는 음악 행위의 수준(음악 행위를 잘 했는가) 과 음악 행위의 근거(왜 그러한 음악 행위를 했는가)를 포함한다.

다섯째,음악수업에서 학생의 ‘수행’에는 음악,신체,언어,그림 등 이 다 포함되지만,그 중에 가장 근본적인 것은 ‘음악적 수행’이다.

55) 현경실,“중학교 음악과의 수행평가 실태조사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6,no.4 (2012):981.

56)이영미,“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한 미국 국가교육향상평가 틀(NAEP,2009)의 음 악과 평가 진술에 관한 고찰,”문화예술교육연구 6,no.4(2011):134.

57)권덕원,석문주,최은식 등,음악교육의 기초 (서울:교육과학사,2015),265.

58)권덕원,“초등학교 음악과 수행평가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음악교육연구 42, no.3(2013):6.

(27)

( 2)음악과 수행평가의 시행

음악과에서의 평가는 학생이 수업의 과정에서 보여주는 모든 음악 행위를 측정한다59).특히 수행평가는 학생이 실제 수업에서의 음악적 활 동 과정을 직접 드러내고,표현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방식이다.이는 단 순한 지식을 암기하고 이해하는 것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학생 스스로 음악을 구성하여 음악적 행동으로 보여주고 교사가 직접 이러한 과정을 평가하는 것이다.이 과정은 학생들의 내면세계를 음악으로 표현하는 것 을 평가의 대상으로 강조하므로,수행평가는 총체적인 평가로서 학생이 음악을 이해하고,느끼고 있는 것을 어떻게 표현하는지에 대한 모든 과 정을 평가의 대상으로 삼는다60).

Nutter61)는 음악과 수행평가는 음악 수업에서 기악 실기평가를 시 행할 때와 같이 학생으로 하여금 실제 연주 할 수 있는 방식으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학생들에게 운지법,손의 위치,독보력을 묻는 질문에 답하도록 하는 방식은 지양해야 한다고 지적한다.교사는 음악과 수행평 가를 시행할 때 어떤 방법이 학생의 음악적 실기 역량을 드러낼 수 있는 지를 고려하여 수행평가의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음악과 수행평가는 학 생이 지닌 능력을 측정하는 것으로,학생의 가창과 기악 및 창작에 대해 기술하고 분석하고 평가하는 다각적인 목표들이 결합되어 있는 평가 방 식임을 알 수 있다62).

이러한 평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음악과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평가도구와 평가방법의 활용을 위한 연구 및 프로젝트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2004년 음악과에서 각

59)권덕원,석문주,최은식 등,음악교육의 기초 (서울:교육과학사,2015),284.

60)권덕원,“초등학교 음악과 수행평가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음악교육연구 42, no.3(2013):2.

61)Kelly Nutter,"Managing Assessmentin Music Education,"Teaching Music7.1 (1999):30.

62)SheilaScott,"Evaluating TasksforPerformance-based Assessments:Advicefor MusicTeachers,"GeneralMusicToday17.2(2004):17.

(28)

학년별 평가문항을 가창,기악,창작,감상 영역으로 구분하여 개발한

‘중·고등학교 음악과 평가도구 자료집’을 발간하였다.이 자료집에는 음 악과의 평가 문항을 가창,기악,창작,감상영역으로 나눈 영역별 평가문 항이 수록되어 있어 교육현장에 있는 교사들이 실제 음악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를 포함하고 있다63).

미국의 경우 Harvard Project Zero에서 교육평가 서비스 (EducationalTesting Service)기관 및 피츠버그의 공립학교(Pittsburgh) 와 협력하여 예술분야에서 수행평가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를 개발 중이다.두 가지 방향의 연구과제로서 음악분야에서의 수행,포트폴 리오 및 창의적 활동을 위한 수행평가에 대한 연구와,학생의 작곡 학습 에 대한 평가 연구를 위해 “다방면적인 평가의 측면”(Encyclopedia of AssessmentDimensions)이 고려되어 실시되고 있다64).

이러한 교육적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음악과 수행평가의 시행 원칙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65).

첫째,음악교육의 본질을 추구하는 내용을 평가해야 한다.

둘째,교수·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

셋째,평가 결과는 유의미하게 산출되어야 한다.

넷째,학습자의 성취도를 다양한 관점에서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집단 평가를 위한 평가 체제를 모색해야 한다.

여섯째,다양한 방법과 매체를 활용해야 한다.

일곱째,학습자의 창의력을 중시해야 한다.

여덟째,결과뿐만 아니라 과정 역시 중시되어야 한다.

아홉째,학습자로 하여금 음악에 대한 태도와 가치관 형성을 중시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학습자의 전인적 발달을 추구해야 한다.

63)정재은,“중등음악교재에 제시된 평가 도구의 비교 및 분석,”교원교육 26,no.1 (2010):22.

64)Maud Hickey,"AssessmentRubrics for Music Composition,"Music Educators Journal(1999):32.

65)양종모,이경언,장기범 등,중학교 음악과 수행평가 시행 방안 및 자료 개발 연구 (서울:한국교육과정평가원,1999),22.

(29)

[그림 Ⅱ-1]수행평가의 유기적 관계

이상과 같은 음악과 수행평가의 시행 원칙은 앞서 살펴본 수행평가 의 개념과 특징을 토대로 음악교과의 특성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음악교과에서 잘 구조화된 수행평가는 평가와 교수를 일치시키는 역할을 한다66).Scott67)에 따르면,교사가 교실에서 가르치고자 하는 목 표는 평가에 반영되고,평가 이후에는 다시 교수(teaching)학습의 개선에 도움을 준다.Leonhardt68)는 음악과에서 학생을 평가하는 이유에 대해서 평가가 학생 뿐 만 아니라 교사에게 학생의 학습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 하는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점을 종합해 볼 때,학습목표는 교수학습에 영향을 미치며, 교수학습은 다시 평가에 반영되고,평가 결과는 다음의 교수·학습을 설 계하는데 활용되는 ‘순환 고리’가 있음을 알 수 있다.학습목표,교수학 습,수행평가의 세 영역은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어 교사에게는 수업의 설계에 도움을 주고,학생에게는 학습을 촉진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이에 따른 교수학습과 평가,목표의 관계를 [그림 Ⅱ -1]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66)SheilaScott,"Evaluating TasksforPerformance-based Assessments:Advicefor MusicTeachers,"GeneralMusicToday17.2(2004):17.

67)Ibid.,17.

68)Angela Leonhardt,"Using Rubrics as an AssessmentToolin YourClassroom,"

GeneralMusicToday19,1(2005):10.

(30)

( 3)음악과 실기평가

수행평가의 하위에는 다양한 평가 방법이 있고,각 방법마다 수행 평가의 본질을 구현하는 정도가 다르다.수행평가의 본질이란 교육의 목 적을 학습자 개개인의 성장·발달에 두고,평가 역시 학습자에게 지도·조 언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조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69).수행평가의 방 법에는 서술형 평가,자기평가 및 동료평가,토론법,관찰법,실험·실습 법,실기평가,포트폴리오 등이 있으며,이 중 실기평가는 <표 Ⅱ-2>70) 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수행평가의 다양한 방법들 중 가장 수행평가의 본질의 구현하는 정도가 높은 방법이다.

수행평가 본질의 구현 정도 평가 방법

매우 높음

매우 낮음

실제 상황에서의 평가 실기평가,실험 ·실습법,관찰법

면접법,구두시험,토론법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 보고서법

포트폴리오 연구보고서,프로젝트법

논술형 서술형 단답형 완성형(괄호형)

선다형 연결형(줄긋기형)

진위형(O,X형)

<표 Ⅱ-2> 수행평가의 본질을 구현하는 정도에 따른 평가 방법의 분류

실기평가는 교수-학습과정에서 교사의 지도하에 학생들이 음악적 개념을 활용하는 순간적인 장면을 포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강점을 지 닌다71).음악교과에서 ‘수행’은 학생이 직접 음악적 행위를 통해 표현하

69)백순근,수행평가의 원리 (서울:교육과학사,2003),68. 70)Ibid.

71)LauraDunbar,"PerformanceAssessmentoftheMassesin 30SecondsorLess,"

Gener

Gambar

표 목 차

Referensi

Dokumen terkait

20 Abstract Bone remodeling of proximal and distal segments in gonial region after intraoral vertico- sagittal ramus osteotomy mandibular setback EUN-JEONG LEE Department of

공학석사학위논문 LSM-tree 기반 키 -밸류 스토어에 최적화된 사용자 수준 파일 시스템 User-level File System Optimized for LSM-tree Based Key-Value Store 2022년 8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컴퓨터공학부 정 선 민... 공학석사학위논문 LSM-tree 기반 키

초임계 아세틸레이션은 비록 미세하게 한지의 색깔 변화를 일으켰지만 기존의 아세틸레이션 방법에 비해 한지의 인장 지수를 향상 시켰고 적은 양의 무수아세트산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한지에 보다 균일한 내수성을 부여하여 젖지 않는 한지를 만들 수 있게 했다.. 초임계 아세틸레이션의 최적조건을 찾기 위해 온도와 몰분율을

Abstract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Elderly’s Life Skills and the Development of Scale HyoJung Kwo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첫 번째로 ‘완물상지’에 대한 문제는 조선의 완물 문화를 이야기하기 위한 출 발점임에도 불구하고, 그간에 이를 중점화하여 총괄적으로 다룬 연구는 미진한 채로 완물을 즐기는 현상에 보다 많은 관심이 집중되어 왔다.21 그런데 『서 경』의 ‘완물상지’의 쟁점을 분석하면 완물이 ‘상지’가 되는 전제 조건을 파악할 수 있어서 사대부

NGL회수공정으로 GSP를 선택하고, 액화공정으로 PRICO SMR을 선택하여, 두 공정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독립구성을 마련하고,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통합구성을 이용하여 Lean Gas를 Feed Gas로 적용하고 LNG와 NGL의 가격에 따라 각각 경제성을 계산하였다.. 경제성 계산에는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화 과정을

서론 나는 사회의 여러 양상을 관찰하고 그 과정에서 내가 느끼는 의문과 못마땅함, 그리고 그에 대한 비판을 작품을 통해 표현함으로써 나의 의 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내가 주로 주목하는 대상은 특히 사회적 규범, 정 치, 대중에 관한 대상에 주목하며, 이것을 소재로

부분 재구성 영역 내의 사용자 지갑은 에이전트로부터 시드를 받으면 키 생성 모듈을 통해 암호화폐 개 인 키, 공개 키를 생성하고 사용자 인증 키와 함께 지갑 내부의 사용자 스토리지에 저장된다.. 이때, 지갑 비트스트림이 최초로 설치된 후 일정 시간내로 시드와 인증키가 전송되지 않는다면 에이전트는 사용자 지갑을 부분 재구성 영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