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 장
3. 마이크로네시아와 폴리네시아 흑진주조개의 번식량 비교
가. Chuuk State와 Tahiti에서 채집된 흑진주조개 암컷의 번식량 비교
1차년도 연구에서 흑진주조개 난 단백질 특이적인 항체의 개발이 이루어졌고, 2차년 도 연구에서 Chuuk State에서 채집된 암컷 흑진주조개의 번식량 측정이 이루어 졌다. 3차 년도 연구 수행 중 2010년 5월 Tahiti에서 20개체의 흑진주조개 채집이 이루어졌고, 이
중 9개체가 암컷이였다. 9개체의 암컷 흑진주조개의 크기는 130~150 mm 였다. 따라서 2
차년도에 측정된 Chuuk State에서 채집된 암컷 흑진주조개 개체 중 동일한 크기의 흑진 주조개의 번식량 측정값을 선별하여 Tahiti 흑진주조개 번식량 측정값과 비교하였다. Tahiti에서 채집된 9개의 암컷 개체 중 6개체가 성숙기 (Ripe stage)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때 흑진주조개의 성성숙지수 (GSI, %)는 건중량의 16.0%의 알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그림 3-2-19).
그림 3-2-19. 마이크로네시아와 폴리네시아에 서식하는 흑진주조개 암컷의 개체 및 성성숙 지수의 비교
나. 흑진주조개 수컷의 성성숙 단계
흑진주조개의 번식량 측정에 앞서 조직학적인 방법을 이용해 성성숙 단계를 관찰하 였다. 2009년 12월 Chuuk State에서 채집된 100개체의 수컷 흑진주조개는 다양한 성성숙 단계를 관찰할 수 있었다. 전체 수컷의 54 %가 발달단계 (Development stage)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 성숙기 (Ripe stage)가 28 %, 부분 산란기 (Spawning / partly spawn stage)가 9 %, 소모기 (Spent stage)가 9 % 관찰되었다. 반면, 2010년 5월 Tahiti에서 채집 된 11개체의 수컷 흑진주조개에서는 90.9 % (10개체)가 발달단계 (Development stage)로 관찰되었으며, 성숙기 (Ripe stage)는 9.1 % (1개체)만 관찰되었다 (그림 3-2-20).
그림 3-2-20. 마이크로네시아와 폴리네시아에 서식하는 흑진주조개 수컷의 성성숙 지수의 비교
-67-
다. 항체면역효소법 (ELISA)을 이용한 번식량 (Reproductive effort) 측정
2 ~ 3차년도에 걸쳐 개발된 흑진주조개 정자 단백질 특이적인 항체를 이용해 흑진주 조개 수컷의 번식량을 측정하였다. Western blotting을 이용한 특이성 검사에서 개발된 흑 진주조개 정자 단백질 특이적인 항체는 오로지 약 27.5 kDa의 정자 단백질과만 반응하였
으나 (그림 3-2-17B), ELISA를 이용한 민감도 검사에서는 미약한 교차반응이 남아 있었
다 (Fig. 그림 3-2-18B). 따라서 미약하게 남아 있는 기타 조직 단백질과의 반응을 번식량 측정 시 negative control로 사용하여 번식량 측정 값의 과평가 현상을 방지하였고, 측정된 O.D 값에서 negative control 값을 뺀 후의 값을 환산하여 번식량을 측정하였다. 조직학적 인 성성숙 발달 단계와 함께 나타낸 결과, Chuuk State의 경우, 발달단계의 흑진주조개는 습중량의 평균 3.1 %를 정자의 무게를 포함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숙기에는 평균
8.5 %, 부분산란기에는 평균 5.7 %, 소모기에는 평균 0.8 %의 정자를 포함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숙기에 해당하는 흑진주조개는 최대 습중량의 15.9 %의 정자를 포함
하였다. 반면, Tahiti에서 채집된 흑진주조개의 경우, 발달단계의 흑진주조개가 습중량의
평균 4.8 %의 정자 무게를 포함하고 있었고, 성숙기에 해당하는 1개체의 흑진주조개 수
컷은 습중량의 평균 7.5 %를 정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3-2-21).
그림 3-2-21. 마이크로네시아와 폴리네시아에 서식하는 흑진주조개 암컷의 발달단계에
따른 번식량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