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이상으로 북경지구 신석기시대 고고문화의 계보와 특징을 추출하여 그 변천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 그 변천 과정에 당시 기후 변화가 끼 친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이에 따르면 이 지역 신석기시대 고고문화의 특징은 토착의 전통을 갖춘 기존의 고고문화가 견지된 것이 아니라 외 부로부터 새롭게 유입된 문화가 일정 기간 존속하다가 각기 교체되는 점에 있었다. 북경지구 신석기시대 고고문화가 이처럼 외부로부터 유 입된 문화라는 점과 또 새롭게 교체되는 배경에는 북경의 지형적 특징 을 비롯하여 특히 이와 맞물려 기후의 변화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었다는 점도 살펴보았다. 이는 북경지구가 농목교착지대라는 점과 반습윤-반건조의 과도지대라는 점, 더욱이 극렬한 강온현상 시기에 오 히려 생존 공간을 더욱 확보할 수 있는 지형적 특징으로 인해 생존 공 간을 찾거나 혹은 세력 확산을 위해 遷徙하고자 하는 경우 북경지구는

슭에 위치하여 수성에 쉽고 공격에 쉽지 않은 방어적 성질이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는 사람들 간의 관계가 전례 없는 긴장의 관계였으며 원시적 전 쟁은 일상적이었음을 설명하는 것이다(韓建業, 「距今5000年和4000年氣候事件 對中國北方地區文化的影響」, 環境考古硏究 3, p.160).

외부 세력에게 매우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 한 범람평원이라는 북경지구의 지형적 특수성은 일반적으로 온난습윤 의 기후환경으로 바뀌게 될수록 오히려 이 지구의 생존환경은 극렬하 게 악화되어 문화의 공백이나 쇠락으로 이어지고 있었던 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과도지대에 위치한 북경지구에 출현한 고고문화는 비록 외 부로부터 유입되었을지라도 단지 잠시 통과하기 위해 거치는 것은 아 니었으며 이에 이들 지역에 형성된 고고문화는 장기간 그 지역에서 토 착문화 요소를 동시에 융합하여 새로운 문화적 전통을 견지해 나가고 있었던 것도 확인할 수 있다. 또 이들 문화의 전면적 교체는 생존환경 이 극렬하게 변하였을 때 오히려 북경지구는 좋은 공간으로 변하기 때 문에 오랫동안 거주하였고 따라서 이를 차지하기 위한 전면적 투쟁의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생각한다. 다만 설산1기문화와 설산2기문화는 당 시 중원과 동북방 뿐 아니라 서북지역과 토착의 요소를 모두 융합한 다원문화적 성격을 갖는다는 점에서 이들 간의 극렬한 충돌 뿐 아니라 공존과 융합의 가능성도 충분히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북경지구 고고문화 변천의 원인이 기후와 밀접하게 관 련되어있다는 점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가 생 존환경의 변화와 그로 인한 새로운 생존공간을 찾기 위한 대규모 천사 의 가능성, 그에 따라 고고문화도 변천한다는 점을 살펴보았고, 이에 기후가 인간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점을 다시 한 번 확인 해 볼 수 있었다. 다만 본고에서는 이를 기후변화에 집중하여 살펴보 았지만, 고고문화의 변천과정에서 대규모 천사를 야기하는 내외의 인 구압이나 정치사회적 요소 등이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은 분명할 것이며 이러한 다양한 요소 및 기후와의 보다 밀접한 연관성에 대한 검토는 향후 과제로 삼기로 한다.

<참고문헌>

拒馬河考古隊, 「河北易縣淶水古遺址試掘報告」 (考古學報 1988-4)

孔召宸, 「北京地區10000年以來植物群發展和氣候變化」 (植物學報 24, 1982-2) 鞏曉燕ㆍ魏明建ㆍ張玉華, 「華北地區全新世氣候時空變化特征研究述評」 (首都師範

大學學報(自然科學版) 27-4, 2006)

國家文物局 主編, 中國文物地圖集: 北京分冊(上) (科學出版社, 2007) 郭大順ㆍ張星德, 東北文化與幽燕文明 (江蘇敎育出版社, 2005)

靳桂雲ㆍ劉東生, 「華北北部中全新世降溫氣候事件與古文化變遷」 (科學通報 20, 2001)

內蒙古文物考古硏究所, 編, 岱海考古(一) -老虎山文化遺址發掘報告集 (科學出版 社, 2000)

內蒙古文物考古研究所, 「內蒙古什克騰旗南台子遺址」 (內蒙古文物考古文集 第二 輯,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1997)

內蒙古自治區文物考古硏究所, 白音長汗 -新石器時代遺址發掘簡報 (科學出版社, 2004)

段宏振, 「燕山南麓新石器時代文化初論」 (北方文物 1995-1)

段宏振, 「河北易縣七里莊遺址」 (2006中國重要考古發現, 文物出版社, 2006) 段宏振ㆍ任濤, 「河北易縣七里莊遺址發現大量夏商周時期文化遺存」 (中國文物報

2006年 12月 8日)

杜水生, 「從中國北方晩更新世末到全新世早期環境與文化的演變談農業起源問題」 (

環境考古硏究 2, 科學出版社, 2000)

鄧輝, 「全新世大暖期燕北地區人地關係的演變」 (侯仁之ㆍ鄧輝 主編, 中國北方幹旱

半幹旱地區歷史時期環境變遷硏究文集, 商務印書館, 2006) 廊坊地區文化局, 「河北三河縣孟各莊遺址」 (考古 1983-5) 文啓明, 「安新莊遺址再認識」 (考古 1998-8).

배진영, 고대 北京과 燕文化 (한국학술정보, 2009)

배진영, 「기후변화와 동북아시아 고고문화의 변천 -燕山南北지역을 중심으로」 (

동북아역사논총 37, 2012)

北京市平谷區文化委員會 編, 平谷文物志 (科學出版社, 2005)

北京市文物硏究所 等, 「北京平谷北埝頭新石器時代遺址調査與發掘」 (文物 1989 -8)

北京市文物研究所ㆍ北京市平谷縣文物管理所上宅考古隊, 「北京平谷上宅新石器時代 遺址發掘簡報」 (文物 1989-8)

北京市文物硏究所, 鎭江營與塔照-拒馬河流域先秦考古文化的類型與譜系 (中國大 百科全書出版社, 1999)

北京大學考古實習隊, 「河北唐山地區史前遺址調査」 (考古 1990-8)

索秀芬, 「燕山南北地區新石器時代的人地關係」 (環境考古硏究 4, 北京大學出版 社, 2007)

索秀芬ㆍ李少兵, 「燕山南北地区新石器时代考古学文化序列和格局」 (考古學報

2014-3)

索秀芬ㆍ李少兵, 「上宅文化初論」 (考古與文物 2009-1期)

承德縣文物保護管理所, 「河北省承德縣新石器時代遺址調査」 (考古 1992-6) 承德縣文物保護管理所ㆍ灤平縣博物館, 「河北灤平縣後台子遺址發掘簡報」 (文物

1994-3)

燕生東, 「全新世大溫暖期華北平原環境,文化與海岱文化區」 (環境考古硏究 3, 北 京大學出版社, 2006)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遼寧阜新縣査海遺址1987-1990年三次發掘」 (文物

1994-11)

劉東生ㆍ秦小光ㆍ蔡炳貴, 「北京東靈山的全新世黃土」 (第四紀硏究 23-6, 2003) 劉靜ㆍ夏正楷, 「齋堂盆地的河穀地貌結構及近萬年以來的水土流失槪況」 (水土保持

硏究 2005-4)

袁寶印ㆍ鄧成龍ㆍ呂金波 等, 「北京平原晩期第四期堆積期與史前大洪水」 (第四紀 研究 2002-5)

魏蘭英ㆍ彭貴ㆍ嚴富華 等, 「北京地區末次冰消期氣候環境變化的初步研究」 (第四 紀研究 1997-2)

李小光ㆍ吳金水ㆍ蔡炳貴 等, 「全新世時期北京 -張家口地區與黃土高原地區風成系 統的差異」 (第四紀研究 2004-4)

張佳華ㆍ孔昭宸ㆍ杜乃秋, 「北京房山東甘池15000年以來炭屑分析及對火發生可能性 的探討」 (植物生態學報 21, 1997-2)

張子斌, 「北京地區一萬三千年來自然環境的演變」 (地質科學 1981-3)

張之恒, 「生態環境對史前文化的影響和中國史前文化的三個過渡地帶」 (考古與文物

2008-2)

周昆叔, 「東胡林遺址環境考古信息」 (中國文物報 2003年12月12日) 周昆叔, 「北京環境考古」 (第四紀硏究 1989-1)

周昆叔, 「中國第四紀晚期環境與文化兩件大事」 (第四紀研究 1980-2) 周昆叔, 「上宅新石器文化遗址环境考古」 (中原文物 2007-2)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內蒙古工作隊, 「內蒙古敖漢旗小山遺址」 (考古 1987 -6)

中國社會科學院考古研究所內蒙古工作隊, 「內蒙古敖漢旗興隆窪聚落遺址1992年發 掘簡報」 (考古 1997-1)

秦小光ㆍ吳金水ㆍ蔡炳貴, 「全新世時期北京 -張家口地區與黃土高原地區風成系統的 差異」 (第四紀硏究 24-4, 2004)

陳勝前, 「燕山-長城南北地區史前文化的活應變」 (考古學報 2011-1) 天津市文物管理處考古隊, 「天津薊縣圍坊遺址發掘報告」 (考古 1983-10)

鄒衡, 「關于夏商時期北方地區諸隣境文化的初步探討」 (夏商周考古學論文集, 文物

出版社, 1980)

築可楨, 「中國近五千年來氣候變遷的初步硏究」 (人民日報 1973年6月19日) 湯卓煒ㆍ朱永剛ㆍ王立新, 「西拉木倫河流域夏家店上層文化人地關係初步硏究」 (

環境考古硏究 4, 北京大學出版社, 2007)

布雷特ㆍ辛斯基著ㆍ藍勇ㆍ劉建ㆍ鍾春來ㆍ嚴奇岩 譯, 「氣候變遷和中國歷史」 (中 國歷史地理論叢 2003-2)

河北省文物管理委員會, 「河北唐山市大城山遺址發掘報告」 (考古學報 1959-3 期)

河北省文物研究所, 「河北省遷西縣東寨遺址發掘簡報」 (文物春秋 1992 增刊本) 河北省文物硏究所, 「河北灤南縣東莊店遺址調査」 (考古 1983-9).

河北省文物研究所, 「遷西西寨遺址1988年發掘簡報」 (文物春秋 1992 增刊本) 河北省文物硏究所ㆍ滄州地區文物管理所, 「河北省任邱市啞叭莊遺址發掘報告」 (文

物春秋 1992 增刊本)

河北省文物硏究所ㆍ保定地區文管所ㆍ淶水縣文保所, 「河北淶水北封村遺址試掘簡報

(考古 1992-10期)

河北省文物硏究所 等, 「遷西西寨遺址1988年發掘報告」 (文物春秋 1992 增刊本) 河北省文物硏究所, 北福地 -易水流域史前遺址 (文物出版社, 2007)

韓建業, 「論雪山一期文化」 (華夏考古 2003-4)

韓建業, 「試論北京地區的新石器時代文化」 (文物春秋 2007-5) 韓建業, 「半山類型的形成與東部文化的西遷」 (考古與文物 2007-3) 韓建業, 北京先秦考古 (文物出版社, 2011)

韓建業, 「距今5000年和4000年氣候事件對中國北方地區文化的影響」 (環境考古硏 究 3, 北京大學出版社, 2006)

許淸海ㆍ楊振京ㆍ陽小蘭ㆍ劉志明ㆍ梁文棟, 「燕山地區花粉氣候響應面及其定量恢復 的氣候變化」 (環境考古硏究 3, 北京大學出版社, 2006)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