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唐의 太平과 수리시설 건설의 연관성을 강조한 顧炎武에 훨씬 앞서 南唐시기 潤州 丹陽令 呂延禎은 練湖의 興廢가 마치 唐의 興衰와 유사 하다고121) 회고하고 수리시설의 중요성과 정상적인 관리를 강조하였 다. 실제 安史亂 이후 唐朝의 재정이 長江유역에 의존하면서 長江유역 개발이 본격적으로 진행되었고 수리시설 건설이 수반되었다. 이런 까 닭에 장강유역에 수리시설을 건설하여 재원을 확보하고 이를 정상적으 로 관리하는 것이야말로 唐朝의 興衰와 직결된 문제였다.

新唐書 「地理志」

등을 비롯한 많은 史書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장강유역의 수리시설은 大曆연간(766-779)에서 咸通연간(869-873)까 지 꾸준히 건설되었고 그 주체는 唐朝의 의지가 반영된 刺史ㆍ縣令 등 을 중심으로 한 지방관들이었다. 수리시설이 대규모로 건설되었고 많 은 인력이 동원되었던 사실은 唐朝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임을 증명해 준다. 지방관들은 관할 지역의 기존 수리시설을 복구하거나 새로 건설 하여 관개와 경지 개발에 노력하였고 이는 장강유역의 농업발전에 기 여하였다. 이러한 지방관들의 노력은 백성들에게 혜택을 주는 것이었 고 德政으로 인식되어 칭송되었다.

수리시설이 지속적으로 건설되었던 것은 唐朝의 행정력이 장강유역

121) 全唐文 卷871, 呂延禎, 「練湖碑銘」, p.9117.

에 관철되었던 것을 반영하는 것인데 그 관리도 대체로 정상적으로 유 지되었던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장강유역 수리시설의 관리 실상은 杭州 錢塘湖의 운용 방침에서 엿볼 수 있다. 이곳의 관리 역시 關中 등지처럼 정식 행정절차에 따라 운용되었고 공평한 관개가 이루어지도 록 도모되었다. 실제 업무는 軍吏ㆍ所由가 맡아 방류량 등을 감시하게 하였고 所由는 關中의 渠長과 斗門長과 유사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어 떤 수리시설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 일이지만 錢塘湖에도 수리권 독점 과 호수가의 경지를 면세시키는 등의 부정이 있었다. 이런 점에서 수 리시설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방장관을 비롯한 담당 자의 관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져야 했고 그 미비는 지역유력자의 대 두를 촉발시킬 수 있었다.

唐朝의 행정이 정상적으로 작동될 때조차 장강유역 지역유력자들은 수리권을 독점하고 소농과의 갈등을 초래하였다. 潤州 練湖가 대표적 인데 근처의 지역유력자와 소농들은 오래 동안 소송을 진행하였고 운 하 방류 문제로 唐朝도 개입할 정도였다. 또한 지역유력자들은 각지에 서 소규모 수리시설을 건설하여 관리하였다. 越州의 邑民 葉再榮은 銅 山湖를 건설하였고 ‘호수의 주인’으로 관리도 맡았다. 그는 處士를 자 임하여 사환하지 못한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윤색하였고 사원에도 막 대한 재물을 기부할 정도의 경제력을 갖추었다. 蘇州의 陸龜蒙도 甫里 莊 근처에 있던 자신의 제방에 위기가 닥치자 직접 보수하는 등 그 관 리에 적극적이었다. 陸龜蒙 역시 隱逸을 표방하였고 적지 않은 장원을 소유하고 있던 莊主였다.

결국 唐朝의 수리 행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 여부가 수리시설의 건설과 관리의 주체를 결정하는 관건이었다. 咸通연간 이 후 唐朝의 권위가 실추되자 장강유역 지역유력자들이 본격적으로 대두 하였고 이들이 수리시설 건설과 관리에 주도권을 행사하였다. 이런 추 세 속에 唐末 江南開發의 주체는 唐朝에서 점차 지역유력자로 변화되 고 있었다.

<參考文獻目錄>

史記ㆍ舊唐書ㆍ新唐書ㆍ宋史 (正史, 北京: 中華書局 標點校勘本)

嘉泰會稽志ㆍ琴川志 (宋元方志叢刊, 北京: 中華書局, 1990)

權德輿詩文集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2009)

南唐書(宋, 馬令) (四部叢刊正編,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1)

唐大詔令集 (臺北: 鼎文書局, 1972)

唐六典 (北京: 中華書局, 1992)

唐語林校證 (北京: 中華書局, 1987)

唐律疏議 (北京: 中華書局, 1993)

唐會要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1991)

讀史方輿紀要 (北京: 中華書局, 2005)

文苑英華 (北京: 中華書局, 1990)

白居易集 (北京: 中華書局, 1988)

樊川文集 (北京: 中華書局, 2007)

甫里先生文集 (四部叢刊正編,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1)

元豐類稿 (四部叢刊正編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1)

越中金石記 (石刻史料新編, 臺北: 新文豊出版公司, 1977)

劉禹錫集上 (北京: 中華書局, 1990)

日知錄 (香港: 中文出版社, 1978)

資治通鑑 (北京: 中華書局, 1987)

全唐文 (北京: 中華書局, 1982)

全唐詩 (北京: 中華書局, 1985)

冊府元龜 (北京: 中華書局, 1986)

通典 (北京: 中華書局, 1988)

韓昌黎文集校注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1998)

天一閣博物館 등, 天一閣藏明鈔本天聖令校證 下冊 (北京: 中華書局, 2006) 唐耕耦ㆍ陸宏基 編, 敦煌社會經濟文獻眞蹟釋錄 (北京: 書目文獻出版社, 1986) 金鐸敏 등 主編, 譯註 唐律疏議ㆍ各則上ㆍ各則下 (서울: 한국법제연구원, 1997,

1998)

김택민 주편, 역주 당육전 상ㆍ하 (서울: 신서원, 2003, 2008) 李俊衡,「唐代 水利 시설의 營繕」 (中國古中世史硏究 33, 2014) 鄭淳模, 「唐代 葬祭 습속과 ‘家寺’」 (中國史硏究 81, 2012)

鄭淳模, 「唐 후반기 城隍神 신앙과 江南開發」 (中國史硏究 31, 2004) 鄭淳模, 「唐代 處士의 地位와 그 性格」 (大丘史學 96, 2009) 鄭淳模, 「唐末 陸龜蒙의 莊園과 鄕村生活」 (東洋史學硏究 92, 2005)

屈弓, 「水利與唐朝後期政權」 (西南師範大學學報 1991-2) 唐長孺, 魏晉南北朝隋唐史三論 (武昌: 武漢大學出版社, 1992) 陶希聖, 「唐代管理水流的法令」 (食貨 4-7, 1936)

凍國棟, 唐代人口問題硏究 (武昌: 武漢大學出版社, 1993) 牟發松, 唐代長江中游的經濟與社會 (武昌: 武漢大學出版社, 1989) 汪家倫ㆍ張芳, 中國農田水利史 (北京: 農業出版社, 1990) 王仲犖, 隋唐五代史 上冊,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1988) 李伯重, 唐代江南農業的發展 (北京: 農業出版社, 1990)

張弓, 「中國古代的治水與水利農業文明 -評魏特夫的“治水專制主義”論」 (史學理論

硏究 1993-4)

中國農業科學院ㆍ南京農業大學 編著, 太湖地區農業史稿 (北京: 農業出版社, 1990)

陳勇, 「唐代長江下游大地産的發展」 (四川師範學院學報 1996-4) 陳勇, 唐代長江下游經濟發展硏究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2006)

那波利貞, 「唐代の農田水利に關する規定に就きて」 1ㆍ2ㆍ3 (史學雜誌 54-1ㆍ2 ㆍ3, 1943)

大澤正昭, 「唐代江南の水稻作と經營」 (中國史硏究會編, 中國史像の再構成 -國家 と農民, 東京: 文理閣, 1983)

斯波義信, 「江西宜春の李渠」 (東洋史硏究 36-3, 1976)

西岡弘晃, 「唐代の灌漑水利施設とその管理」 (中村學園硏究紀要 6, 1974) 西山武一, 「中國における水稻農業の發達」, アジア的農法と農業社會 (東京:  東

京大學出版會, 1969)

船越泰次, 「五代節度使體制下に於ける末端支配の考察-所由ㆍ節級考-」 (集刊東洋 學 13, 1965)

仁井田陞, 「敦煌發見唐水部式の硏究」 (中國法制史硏究 -法と慣習, 法と道德-, 東京: 東京大學 東洋文化硏究所, 1964)

佐藤武敏, 「唐代地方における水利設施の管理」 (中國水利史研究 3, 1967) 佐藤武敏, 「唐宋時代の練湖」 (中國水利史研究 5, 1969)

佐藤武敏, 「敦煌発見のいわゆる唐水部式残巻について」 (東洋研究 73, 1985) 佐藤武敏, 「新唐書地理志に見える農業水利記事」 (中國水利史研究 1, 1965) 周藤吉之, 「吐魯蕃出土の佃人文書硏究」, 唐宋社會經濟史硏究 (東京: 東京大學出

版會, 1965)

靑山定雄, 「唐代の水路工事について」 (東亞論叢 5, 1941)

靑山定雄, 「唐代の治水水利工事について」 上ㆍ下, (東方學報15-1ㆍ2, 東京, 1944)

築山治三郞, 唐代政治制度の硏究 (大阪: 創元社, 1967)

Chi, Ch'ao-ting, Key economic areas in Chinese history: As revealed in the development of public works for water-control, 2nd ed. (New York:

Paragon Bk. Reprint Corp, 1963<1936>); 冀朝鼎, 中國歷史上的基本經濟區

與水利事業的發展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81)

Denis Twitchett, “The Fragment of the T‘ang Ordinances of the Department of Waterways Discovered at Tun-Huang” (Asia Major, New Series Vol.Ⅵ Part1, 1957)

Denis Twitchett, “Some Remarks on Irrigation under the T'ang”, (T'oung Pao, Second Series, Vol.48, 1960)

Karl A. Wittfogel, Oriental Despotism - A comparative study of total power -,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57); 칼 A. 비트포겔 저, 具宗書 역, 東洋的專制主義 (서울: 法文社, 1991)

Robert M. Hartwell, Demographic, “Political, and Social transformations of China, 750-1550” (HJAS 42-2, 1982)

(Abstract)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Water Conservancy Facilities in the latter

half of the Tang Dynasty

– focusing on the change of the leaders -

Chung, Soon Mo

This paper examined the change of the leaders who constructed water conservancy facilities and who managed them in the Changjiang(長江) area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Tang Dynasty.

After Anlushan(安祿山) rebellion, the Tang regime started to financially depend on Changjiang area. There was a considerable development in agriculture and irrigation, which led to the increase of irrigation and drainage facilities, and to the importance of Grand Canal. The Tang regime had actively encouraged local officials, such as governors of county and prefecture, to construct a lot of irrigation and drainage facilities, waterway and watergate, and to manage them well. This trend had lasted until Xiantong(860-873). Therefore, this made local officials who performed the will of the Tang regime as the leaders of water conservancy construction and management in Changjiang area.

Administrative management of water control was very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