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천계연간 누르하치의 침입으로 동북지방의 강토는 회복되지 않았고, 서남지역에서는 소수민족의 반란이 발생하였으나 뜻대로 진압은 이루 어지지 않았다. 패전의 소식과 군향 공급의 요구는 계속해서 들려왔다.

재정 지출은 날로 확대되자 명조는 加派와

括·鹽課·鼓鑄·捐助·贓罰銀 등의 다양한 재원을 찾아내는데 심혈을 기울였다. 그 결과 민인의 곳 97)明 熹宗實錄卷70, 천계 6년 4월 정유조.

98)明 熹宗實錄卷77, 천계 6년 10월 무오조.

간은 텅 비어버렸다. 더욱이 水旱의 재난도 끊이지 않아 閭閻은 10室 에 9가 비었다.

명조는 遼餉을 공급하기 위해 토지를 丈量하여 세량을 加派하니 그 액수는 은 501만 냥에 달하였다. 그러나 한 해 兵馬의 비용으로 626만 냥이나 지출되어 125만 냥이 부족하였다. 이에 호부는 正賦 이외에 거 두어들인 雜項銀 180만 냥을 각 省直에 할당하였으나 撫按官이 불응하 여 재정 확보는 호부의 의도대로 진행되지 않았다. 잡항은도 유명무실 이었고, 가파도 수십 만 냥이 완납되지 못하여 호부의 실질적인 세입 은 400만 냥에 불과하였다. 이에 황제는 內帑金에서 440~500만 냥을 군향으로 공급해주었다.

호부 관할의 太倉庫는 공허하고 九邊鎭에 보내는 舊餉의 누적된 부 족액은 400여 만냥에 달하였다. 楡關의 新餉도 한 해 200여 만 냥이 부족하였다. 遼餉의 수입이 지출보다 200만 냥이 적은 와중에 귀주와 사천에서 安奢의 난이 발생하여 호부의 수입 중에서 1/3을 보내 결국 은 300여 만 냥이나 부족하게 되었다. 이 무렵 운남은 매년 은 50만 냥을, 귀주는 은 130만 냥의 지원을 요청하였다. 결국 요향과 安奢의 난 진압 군비 지출로 인해 호부는 은 400~500만 냥의 수입으로 1,000 만 냥을 지출해야 하는 난처한 지경에 빠졌다.

호부는 재정 부족을 타개하기 위해 이전 왕조에서 실시했던 개납사 례, 즉 연납제를 시행하였다. 동시에 공부도 태창제의 능묘와 三殿 조 영 비용을 위해, 호부는 요향과 安奢의 난 진압 비용 조달을 위해 연 납을 시행하였다. 연납액을 명확히 제시할 수 는 없지만, 단편적인 사 료를 통해 그 액수를 도출할 수는 있다. 천계 원년 태창고의 原額은 333만 2,700여 냥으로, 事例·缺官 등 정액이 없는 은이 대략 110여 만 냥이었다. 이 해 工部 四司의 外解·料價 등 항목 및 事例銀 등으로 거 두어들이는 액수는 56만 7,400여 냥으로, 지출은 68만 9,100여 냥이었 다. 이듬해 9월부터 천계 5년 말까지 남경호부에서 실시한 연납에 의 해 거두어들인 은은 41만 9,994여 냥이었다. 남경에서만 1년에 10여 만 냥 정도의 성과를 올린 셈이다. 그렇다고 한다면 전국적으로 추산하면

다액을 거두어들였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호부와 공부는 재정을 공급하기 위해 어떻게 하든 다수가 응할 수 있도록 연납액을 경감시키는 조치를 취하였고, 관품이 없는 未入流자 들에게 액수에 따라 典史 등을 제수할 때 加納이라는 虛銜을 주었던 것도 이 시대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명조는 재정을 중앙에서 일괄적으로 컨트롤하는 기구가 없었다. 물 론 호부가 재정을 입안하고 집행하는 중심 부서였지만, 병부·공부도 각각 재정을 조달하고 집행하였다. 호부는 병부·공부와도 재정 분할 문제로 언쟁을 벌였다. 만력 48년(1620) 요향 공급을 목적으로 토지를 장량하여 1畝 당 9厘를 가파하였다. 이 중에서 2리를 병부와 공부에 分給하여 병부는 은 94만 냥, 공부는 은 20만 냥을 수령하게 되었다.

천계제가 즉위하기 전까지 순조롭게 배분되던 문제는 병부가 召募를 중지하면서 논쟁의 대상으로 떠올랐다. 병부는 新兵들에게 지급하던 安家費의 지출, 아울러 공부도 新兵의 器械 제조 항목이 필요 없게 되 었다. 이에 호부는 즉각 遼餉의 부족을 이유로 가파 전액을 호부에 귀 속시킬 것을 상주하였다.

능묘와 삼전 조성으로 다급해진 공부는 가파의 분급만이 아니라 다 양한 항목의 요구를 둘러싸고 호부와 다툼을 벌였다. 천계 원년에 탕 은 100만 냥을 호부와 공부에 각 20만 냥, 병부에 60만 냥을 지급하였 다. 연납에 의해 징수된 은은 본래 戶7, 工3으로 분배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공부는 織造 비용의 조달에 있어서도 호부 4, 공부 6을 부담한 다는 규정을 들이대고 호부를 압박하였다. 이처럼 호부와 공부의 논쟁 이 계속되자 천계제는 大工이 급하지만 군향의 부족에 비할 바가 아니 라며 차입한 은냥에 대해서는 大工이 완료된 후 서로 상환하라고 중재 하였다.

호부는 “천하의 財는 황제의 財요, 호부와 공부(水衡)는 모두 황제의 理財의 人이다. 남음이 있고 부족이 있으면 權宜로 이를 사용하며 선 후와 완급을 참작하여 이를 상환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재정을 집행하 였다.99) 그러나 호부의 의도대로 예산 집행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황제가 중재에 나섰다.

본고에서 安奢의 난이 귀주·사천과 인접지역인 호광의 재정 부담을 강요하여 호광의 황폐를 불러일으켰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호광의 逋 負, 즉 세량의 납부가 적체되자 호부는 지방의 督撫·巡按御史에게 문 서를 보내 세량 징수를 독촉하는 형태를 취하였다. 이 점에서 볼 때 재정 문제를 중앙과 지방을 연동시켜 파악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또한 만력연간 張居正이 실시한 考成法이 천계연간에도 실시되었다.

이 점은 재정 확보에 행정 체제를 어떻게 이용했는가 하는 점을 규명 할 수 있는 좋은 실마리가 될 것이다.

〈참고문헌〉

1. 사료

李起元,計部奏疏, 姜亞沙·經莉·陳湛綺 主編, (北京: 全國圖書館文獻縮微復制中 心, 2007)

度支主議(上海: 上海古籍出版社, 2008)

明 熹宗實錄

明史

兩朝從信錄汪應蛟,計部主議李珍,明季水西記略

中國明朝檔案總匯(廣西: 廣西師範大學出版社, 2001) 2. 저서

王海姸,明代捐納硏究(天津: 南開大學博士學位論文, 2005) 寺田隆信,山西商人の硏究(京都: 同朋舍, 1972)

黃仁宇, Taxation and Governmental Finance in Sixteenth Century Ming China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4; 阿風 등十六世紀明代中国之財 政與税收, 台北: 2001)

3. 논문

99)계부주소卷3, 新餉司 大工緊急借銀宜還疏 , 천계 5년 5월 24일 奉聖旨, pp.567-575.

김홍길, 명대의 彛族 정권과 토사 (중국과 한국, 서울: 서해문집, 2005) 서인범, 明代 胥吏의 選充과 捐納 (중국사연구32, 2004)

서인범, 명 중기 捐納入監에 대하여 (역사학보185, 2005)

서인범, 明 天啓年間의 陵工과 殿工 재원 조달 (동양사학연구125, 2013) 劉秀蘭, 論明末川黔少數民族土司安·奢之亂 (西南民族學院學報哲學社會科學

版19, 1998)

徐明德, 論 奢安事件 之其因及其影響 (貴州文化史叢刊1996-4) 東人達, 明末奢安事件的起引與作用 (貴州民族硏究25-106, 2005)

李良品, 明代貴州水西“安氏之亂”的其因·性質與處置 (貴州社會科學218, 2008)

(Abstract)

The Juanna system and the fiscal

administration during the Tianqi reign of the Ming dynasty

Seo, In Beom

During the Tianqi reign, north-eastern districts were not recovered from Nurhachi's invasion and the southwestern region was under the severe strain of financial expenditure due to the revolts in Sichuan(四川) and Guizhou(貴州). Military conflicts in those places drove the Ministry of Revenue into the corner so that it was compelled to cover the war cost of 10 million silver nyang with the income of only 4 to 5 million silver nyang.

Thus, the Ministry of Revenue introduced the Juanna system(捐納 制) to overcome the financial crisis and the Ministry of Works also employed it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for the construction of Tianqi Emperor's tomb and three palace buildings. The Ministry of Revenue in Nanking local government collected 419,994 silver nyang between September of the second year and the end of Tianqi reign on the basis of the Juanna system.

Meanwhile, the Ministry of Revenue and the Ministry of Works tried to cover a drop in the tax revenue in various ways. They alleviated the amount of overdue payment on the one hand and gave the public office in name(虛銜) to those who did not have any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