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戶部·兵部·工部의 알력
그렇다면 천계연간에 연납을 통해 어느 정도의 재정을 확보하였을 까? 회계록이 남아 있는 것이 아니어서 그 수치를 명확하게 제시할 수 는 없다. 다만 단편적인 사료를 통해 그 액수를 추정할 뿐이다. 필자는 74) 계부주소 卷6, 福建司 鄕紳輸粟賑饑疏 , 천계 5년 6월 10일 具題, 6월 23
일 奉聖旨, pp.1183-1188.
75) 계부주소 卷3, 新餉司 懇恩解餉詳部疏 , 천계 5년 6월 5일 具題, 8일 奉聖 旨, pp.615-618.
嘉靖연간(1522~1566)의 연납제 문제를 다루었을 때도 호부와 병부·공 부가 재정 조달을 둘러싸고 대립되고 있는 점을 확인한 적이 있었 다.76) 명조는 遼餉·궁궐조영·소수민족 반란 진압에 필요한 재정을 공 급하기 위해 다양한 재원을 찾는 노력을 경주하였다. 그 사이에 중앙 부처인 호부·병부·공부의 재정 운용 정책은 원활하게 진행되었는지의 여부를 다루어보고자 한다.
천계 원년 태창고의 原額은 333만 2,700여 냥으로, 事例·缺官 등 定 額이 없는 은이 대략 110여 만 냥이었다.77) 이 해 工部 四司의 外解·
料價 등의 항목 및 事例銀 등으로 거두어들인 액수는 56만 7,400여 냥, 지출은 68만 9,100여 냥이었다.78) 천계 2년 9월부터 천계 5년 말까지 남경호부에서 실시한 연납에 의해 은 41만 9,994여 냥을 거두어들였 다.79) 남경에서만 1년에 10여 만 냥 정도의 성과를 올린 셈이다. 명 중 기에 연납으로 평균 40만 냥 이상을 거두어들였다. 천계연간에도 그 액수는 다액이었을 것이라 추정된다. 왜냐하면 이기원이 生員의 연납 을 제기하면서 大縣은 25명, 小縣은 17·18명으로 입안한 적이 있기 때 문이다. 당시 생원의 납부액은 은 120냥이었고, 전국에 縣은 1,171곳이 었다.80) 이를 일괄적으로 縣마다 20명으로 계산하면 은 281여 만 냥이 된다. 물론 이는 각 縣에서 이 숫자를 채웠다고 보고 계산한 추정치에 불과하다. 그렇다고는 하더라도 남경에서만 10만 냥을 거두었다고 하
76) 명대의 재정에 대해서 黃仁宇, Taxation and Governmental Finance in Sixteenth Century Ming China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4) 를 참조. 이를 阿風 등이 十六世紀明代中国之財政與税收 (台北: 2001)로 번 역하여 출간하였다.
77) 부족의 원인의 하나는 逋賦, 즉 체납한 세량이었다. 戶科給事中 尹同臯는 考 成法 시행을 엄히 시행하여 군향 부족을 해결하자고 청하였다. 明 熹宗實錄 卷36, 천계 3년 7월 임진조.
78) 明 熹宗實錄 卷12, 천계 원년 7월 임자조. 당시 병부가 매년 소비한 금전은 수백 만 냥으로, 천계 2년부터 5년까지 사용한 군향은 1,000만 냥에 달했다 79) 계부주소 권10, 山西司 國計匱極嚴催事例疏 , 천계 6년 2월 2일 具題, 5일
奉聖旨, pp.2043-2046.
80) 명사 卷75, 職官志 4.
면 다른 각 省直에서도 연납을 실시하였기에, 연납으로 확보한 액수는 다액이었다고 보아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이듬해 천계 6년에 御史 李懋芳의 상주에 의하면, 天下의 加派는 300만 냥, 事例·
摉
括로 세량을 거두어 중앙으로 보낸 액수는 100만 냥 에 달했다.81) 이듬해 3월 南直隷·浙江撫按에게 공사에 사용할 事例銀 6만 8,200여 냥을 南直隷에서 납부한 事例銀과 합쳐 10만 냥을 荆州로 보내 銅을 구매하여 북경으로 보내 저장하도록 한 적도 있다.82)그런데 앞에서도 제시하였듯이(<표2>를 참조), 연납은 호부와 공부 가 서로 실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 재정 운영에 있어 북경호부와 남경 호부 사이에서도 손발이 잘 맞지 않은 듯하다. 북경호부상서 이기원은 자신들과 남경호부는 남북을 나누어 國計를 담당하는 부서로 같은 배 에 탔으니 재정 부족이라는 곤란한 상황을 함께 타개해 나가자고 역설 하였다. 이기원은 남경호부가 연납에 의해 거두어들인 은냥의 총액을 29만 820냥으로 파악하고 이를 북경호부로 보내라고 독촉하였다. 그는 남경호부가 자신들의 요구에 잘 응하지 않는다고 불평하였다.83) 원래 남경호부의 事例는 遼餉을 공급할 목적으로 시작한 것으로 납부된 은 냥은 모두 북경으로 보내 군향에 충당해야 마땅하였다. 그런데 이기원 이 파악한 액수와는 달리 남경호부상서 畢自嚴이 조사한 결과 연납액 은 은 41만 9,994여 냥으로 북경 호부가 독촉한 액수보다 무려 12만 냥이나 더 많았다. 이 액수 중에서 북경호부로 보낸 액수는 24만 5,450 냥이었고, 銅 구입에 2만 3,510냥을 사용하였다. 천계 2년(1622)에 은 2 만 냥, 천계 4년(1624)에 은 3만 냥, 천계 6년에 은 4만 냥, 鑄本銀 13 만 1,940냥 등을 북경으로 보냈다.84)
81) 明 熹宗實錄 卷68, 천계 6년 2월 을해조.
82) 明 熹宗實錄 卷82, 천계 7년 3월 기묘조.
83) 계부주소 권10, 산서사 國計匱極嚴催事例疏 , 천계 6년 2월 2일 具題, 5일 奉聖旨, pp.2043-2046.
84) 이 은냥 중에서 천계 2년 요동지역의 모병에 지출한 은은 4만 9,374여 냥, 천 계 3년 蜀餉으로 보낸 은은 4만 냥, 水陸 신병에 은 2만 냥을 지출하였다. 계 부주소 卷5, 淸査事例銀兩疏 , 천계 6년 6월 29일, 具題. 윤 6월 2일 奉聖旨,
북경호부와 남경호부 사이의 불통만이 아니라 호부는 병부·공부와도 재정 분할 문제로 언쟁을 벌였다. 만력 48년(1620) 요향 공급을 위해 토지를 장량하여 가파를 행할 때, 1畝 당 9厘를 加派하자 전국의 增賦 는 은 520만 냥에 이르렀다. 이 당시 호부는 9리 중에서 2리를 병부와 공부에 分給한 결과, 병부는 은 94만 냥, 공부는 은 20만 냥을 할당받 게 되었다. 이후 천계제가 즉위하기 전까지 병부와 공부는 이 액수를 각 省에서 지급받았고, 호부는 일절 관계하지 않았다. 그런데 후에 병 부는 召募를 중지하여 新兵들에게 지급하는 安家費가 들지 않게 되었 고, 아울러 공부도 新兵의 器械 제조비용이 필요 없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이 전개되자 호부상서 汪應蛟는 遼餉의 부족을 이유로 가파 전액 을 호부에 귀속시킬 것을 상주하였다. 이 의견을 받아들인 천계제는 병부·공부에 나주어 주던 은냥을 호부에 귀속시켜 요향에 사용하라고 지시하였다. 이 조치는 천계 4년에 다시 한 번 추인을 받았다. 戶科·工 科 및 공부 소속의 虞衡司가 회의한 결과, 이후 어떠한 다른 요인이 발생하더라도 공부는 地畝에 대해 다시는 언급하지 않을 것이며, 병부 도 신병의 모집을 중지한 만큼 황제의 뜻에 따르겠다고 결정하였다.
그런데 천계 6년에 이르러 병부·공부는 만력 48년(1620)의 회의를 들추어내고는 2厘를 재차 요구하였다. 이 당시 서남지역 奢安의 반란 이 한창이라 호광 등 5省의 가파은 91만 냥, 가파를 면제한 北直隸 8 府 및 호광 潞府의 50여 만 냥을 합한 143만 여냥을 제외하면 호부에 축적된 은은 단지 360여 만 냥에 불과하였다. 호부는 매년 은 570여 만 냥을 지출하고 있어 212만 냥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병부·공부에 2厘를 분급하면 호부 손에는 단지 230만 냥밖에 남지 않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부족액은 340만 냥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전에는 매해 帑金으로 요향을 구제하였는데 그 액수는 무려 600여 만 냥에 달했다.
그러나 천계 말이 되면 탕금도 고갈된 데다, 사천·귀주·운남에서도 pp.1143-1147.
서로 재정 지원을 요청하였다. 이기원은 호부의 군향 공급의 긴박 정 도는 병부·공부의 100배라고 탄식하였다. 호부는 공부가 자신들의 고 통을 헤아리지 못한다며, 천계 4년의 논의에 따라 병부와 공부가 정한 안을 준수할 것을 강력히 피력하였다.85) 호부는 군향과 말의 건량은 가파로, 병부는 犒賞과 安家費를 병부 소속의 太僕寺에서 조달하면 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에 대해 천계제는 호부와 병부는 서로 배척 봉박하지 말고 軍需에 착오가 생기지 않도록 하라는 어중간한 입장을 취하였다.86)
한편 공부는 寧遠城 軍需의 부족을 이유로 호부에 은 20만 냥을 요 구하였다. 호부의 지출액이 200여 만 냥이나 부족한 상태에서 공부가 가파 2리를 재론한 것이다. 호부는 寧遠건은 은 14만 냥이면 충족된다 고 파악하고 있었는데, 공부는 도리어 호부가 은 6만 냥을 축냈다고 몰아붙였다. 이에 이기원은 遼事가 시작되자 공부가 호부를 공부의 外 部로, 호부 신료를 공부의 屬官으로 여긴다고 불만을 토로하였다.87)
이러한 논의가 벌어지고 있는 상황 하에서 遼東·山海巡撫 袁崇煥이 은 45만 냥을 청하자 호부는 난감하였다. 각 省直에서 가파한 은은 아 직 도착하지 않고 있는데다, 內庫는 부족하여 손을 쓸 여력이 없었다.
게다가 공부가 요구하고 있는 20만 냥도 공부와 논쟁을 벌이고 있어 기일이 40일간이나 지연되고 있었다. 그러자 천계제는 分數를 정해 공 부는 6만 냥, 호부는 4만 냥을 제공하고, 나머지 10만 냥은 外解를 독 촉하라고 명하였다.88) 이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閣部의 諸臣과 회의한 결과 關門에 보내는 餉銀을 잠시 중지시키고, 그 군향 중에서 10만 냥 85) 계부주소 卷5, 新餉司 軍需設措無計疏 , 천계 6년 2월 6일 具題, 9일 奉聖 旨, pp.969-973. 더군다나 黔蜀·偏沅·滇南은 餉 100만 냥을 증가시켜 줄 것을 청하고 있었다.
86) 계부주소 卷5, 新餉司 軍興有需部入無額疏 , 천계 6년 2월 29일 具題, 3월 3일 奉聖旨, pp.965-968; 권1, 堂稿 遼餉缺額過半疏 , 천계 6년 3월 11일 具題, 3월 14일 奉聖旨, pp.203-206 등에 보인다.
87) 계부주소 卷1, 堂稿 邊計必不可稽疏 , 천계 6년 4월 9일 具題, 4월 12일 奉聖旨, pp.207-211.
88) 明 熹宗實錄 卷69, 천계 6년 3월 기미조.
을 공부에 보내도록 하였다. 호부는 천계제가 공부에 칙서를 내려 호 부가 挪移, 즉 타 항목에 流用한 10만 냥을 수령하고, 나머지 10만 냥 은 공부 스스로 조치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에 대해 천계제는 호부는 4만 냥을, 공부는 6만 냥을 준비하여 20만 냥을 맞추라고 지시하였 다.89)
이처럼 호부와 공부 사이에 가파은의 分給만이 아니라 다양한 항목 의 전용 요구를 둘러싸고도 논쟁이 벌어졌다. 천계 원년 병부의 상주 로 탕은 100만 냥 중에서 호부와 공부에 각 20만 냥, 병부에 60만 냥 을 지급하였다.90) 事例 開納의 旨는 본래 戶 7, 工 3으로 분배하는 것 이었다. 이 규정에 대해 어사 謝文錦은 封簿의 庫司(호부)는 어찌 戶 3 工 791)뿐이겠는가 라고 반문하고, 援例員役에 행문하여 모두 順天府로 가서 上納케 하고, 별도로 一庫에 저축하여 분기별로 분수를 정하자고 제안하였다. 즉, 新餉 얼마, 太倉 얼마, 工部 얼마로 나누고, 緩急과 多 寡를 헤아려 황제의 旨를 청해 결정하자는 것이었다.92) 이듬해 大婚鋪 設에 7만 냥,
魫
燈棕薦에 2만 냥, 鹵簿大駕에 5,000냥, 鐵葉氊襖에 6만 냥, 諸王袍服에 3만 냥, 文武誥軸에 4만 냥이 소요되었다. 또 門殿을 傳造함에 있어 物料를 안배하는데 대략 50~60만 냥이 들었다. 선례에 따르면 이 항목은 공부에서 차입하여 採辦에 응해야 했다. 南京吏科給 事中 姜習孔은 요향에 조달하기 위해 세량을 모두 거두어들여 더 이상 가파할 수 없다는 사실을 들어 공부는 급하지 않은 지출을 중지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93) 호부도 陵工이 곧 완료되고 募兵도 이미 정지되었 89) 계부주소 卷5, 新餉司 軍需設措無計疏 , 천계 6년 3월 5일 具題, 3월 8일奉聖旨, pp.969-973.
90) 明 熹宗實錄 卷9, 천계 원년 4월 계사조.
91) 만력 23년 공부는 陝西에서 羊羢 織造에 工料銀의 부족을 도와줄 곳은 호부 뿐이라며 비용의 3분을 협조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호부는 戶 3, 工 7의 사례 를 제시하여 황제로부터 허락을 받아냈다. 명 신종실록 卷282, 만력 23년 2 월 을묘조.
92) 明 熹宗實錄 卷15, 천계 원년 10월 임신조. 事例銀兩은 戶 7, 工 3으로 分 用하도록 정해졌다. 明 熹宗實錄 卷36, 천계 3년 7월 병오조.
93) 明 熹宗實錄 卷20, 천계 2년 3월 갑자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