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종 천보 14년(755) 11년 안록산이 반란을 일으키자 다음 해 4월 요서 평로군이 안록산을 이반하여 당조에 귀순하였는데, 이때 이충신 도 거사에 참여하였다. 다음 해(757) 정월 왕현지의 명으로 병사 3천을
147) 구당서 권145, 이충신전, p.3942; 신당서 권224하, 이충신전, p.6389.
148) 자치통감 권228, 건중 4년 10월 조, “檢校司空․同平章事李忠臣久失兵柄, 太僕張光晟自負其才, 皆鬱鬱不得志, [朱]泚悉起而用之. ···”(pp.7355-7362); 구당서 권145, 이충신전, pp.3942-3943.
149) 자치통감 권231, 흥원 원년 6월 조, pp.7437-7439; 구당서 권145, 이충신 전, p.3943.
150) 하북삼진과 이정기 일가의 경우는 덕종과 존망을 건 전쟁을 벌일 때에도 王 을 칭하는 데 머물렀지만, 이희열은 황제를 칭하다가 결국 패망하였다.
151) 이는 무엇보다도 회서절도사 이희열이 德宗 시기에 일어난 이른바 ‘4왕의 난’ 때 稱帝하여 마지막까지 저항하며 당을 큰 혼란에 빠뜨렸던 데 따른 것이 다.
거느리고 남하하여 河北의 德州․棣州 등을 점령하였다. 이 작전은 하 북에서 반란군에 저항하던 안진경의 요청에 따른 것이었다. 이충신과 함께 남하한 부하로는 전신공․양혜원․이희열․이혜등 등이 있었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이충신 등은 사사명의 공격으로 황하 남쪽으 로 다시 남하하였다.
건원 원년(758) 9월 숙종이 반란군 황제인 安慶緖 토벌을 명하는 조 서를 내렸는데, 이충신의 이름이 9절도사와 함께 나란히 언급되어 있 다. 이충신이 아직 절도사에 오르지 못했지만, 당조가 그의 군사력을 높이 평가하였던 것이다. 곧이어 사사명이 다시 반란을 일으켜 759년 3월 절도사 연합군을 대파하였다. 이어 사사명은 汴州를 함락시켰는데, 이때 동진이 부하들과 함께 포로가 되었다. 같은 달 사사명은 이충신 과 그 부하들을 분리시켜 전신공 등에게 江淮 지역을 공략하게 하였 다. 하지만 전신공은 宋州에 이르러 다시 당조로 투항하였다. 이후 전 신공은 동진과 분리되어 활동하였다.
뒤이어 759년 10월 이충신도 자신의 군사 500인과 이끌고 탈출하였 고 대종 보응 원년(762) 7월 회서절도사에 올라 11주를 관할하였다. 곧 이어 그는 반란군에 대한 마지막 토벌전에 참가하였다. 또 반란이 종 결된 뒤에는 吐蕃의 침공을 막는 防秋 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였다.
당시 방추는 절도사들이 조정에 대한 충절을 보여주는 중요한 행위였 다.
한편으로 이충신은 약탈적인 행동을 이따금 보였고 그의 군대는 이 르는 곳마다 난폭한 행동을 하였다. 이러한 것은 유목민족 등 여러 민 족이 혼재되어 있던 요서 평로군에서 익힌 습속에 의한 것으로 보인 다.
대력 9년(754) 10월 위박절도사 전승사의 반란이 일어났을 때 强藩 들이 다른 지역을 점령하면 그대로 자신의 영토로 삼았다. 이어 대력 11년(776) 8월 河南(汴宋) 번진의 이영요가 반란을 일으키자 이충신은 汴州를 점령하였고, 같은 해 12월 변주자사를 겸하며 치소를 이곳으로 옮겼다.
대종 말기인 대력 14년(779) 3월 이충신은 부하 이희열 등에게 쫓겨 나 장안으로 달아났다. 이희열은 요서 평로군에서부터 줄곧 함께 행동 해 온 자였다. 이는 500인의 평로군이 회서 번진의 중추 세력을 형성 하였다가 결국 이충신을 축출한 것을 나타낸다. 하극상을 거치면서 이 희열은 본격적으로 반역의 길로 나아갔다. 결국 이충신은 회서 번진이 할거 세력으로 나아가는 연결점의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
<參考文獻>
지배선, 고구려 유민의 나라 제와 당, 그리고 신라․발해․일본 교류사 (혜안, 2012)
牛致功, 安祿山史思明評傳 (三秦出版社, 2000) 陳寅恪, 唐代政治史述論稿 (上海古籍出版社, 1982) 정병준, 安史의 亂과 李正己 (동국사학 37, 2002)
정병준, 平盧節度使 李正己에 대해 -代宗時期를 중심으로- (진단학보 94, 2002)
정병준, 李正己 一家의 交易活動과 張保皐 (동국사학 40, 2004)
정병준, 平盧節度使 侯希逸 -安東都護府의 軍將에서 平盧淄靑節度使로 (중국 사연구 39, 2005)
정병준, 李師道 藩鎭의 滅亡과 郭昈 (중국학보 52, 2005) 정병준, 李正己 一家의 藩鎭과 渤海國 (중국사연구 50, 2007)
정병준, 8세기 동북아 정세의 변화와 당조의 대응체제 (이기동․연민수 편, 8 세기 동아시아의 역사상, 동북아역사재단, 2011)
정병준, 舊唐書․新唐書 李忠臣․李希烈 열전 譯註 (동국사학 54, 2013) 정병준, 顔眞卿, 〈有唐宋州官吏八關齋會報德記〉 譯註 (신라사학보 27, 2013) 武强, 唐淮西节度使相关问题考论 (史学月刊 2010-4)
樊文禮, 唐淮西节度使略论 (烟臺師範学院学报 1994-2)
成雪艳, 唐代淮南镇研究 -肃宗-宪宗时期 (中央民族大学硕士学位论文, 2009) 杨文春, 唐代淮西割據势力的演变及其影响 (天中学刊 2012-3).
楊曉燕, 唐代平盧軍與環渤海地域 (王小甫 主編, 盛唐時代與東北亞政局, 上海 辭書出版社, 2003)
李軍, 唐代河陇陷蕃失地范围考 (雲南師範大学学报 2010-7) 张春海, 唐代平卢军南下後的種族與文化问题 (史学月刊 2006-10) 張春海, 試論唐代營州的高句麗武人集團 (江蘇社會科學 2007-2)
曾现江, 唐後期․五代之淮蔡军人集团研究 (四川大学历史文化学院硕士学位论文, 2002)
胡浩, 唐淮西藩鎭硏究 (福建師範大學碩士學位論文, 2011)
鄭炳俊, 唐後半期の地方行政體系について -特に州の直達․直下を中心として ( 東洋史硏究 1-3, 1992)
鄭炳俊, 唐代の觀察處置使について -藩鎭體制の一考察 (史林 77-5, 1994)
(中文提要)
安史之乱與辽西平卢军的南下
-以李忠臣的活动为中心-
郑 炳 俊
玄宗天寶14年(755)11月, 安禄山发动反乱. 第二年, 辽西平卢军叛离安禄 山, 归顺了唐朝, 李忠臣参與了这一起义. 757年正月, 颜真卿于河北與反军 交战. 应颜真卿之请, 李忠臣率步兵3千, 南下河北, 占领了德州․棣州.
759年3月, 李忠臣與9位节度使组成联军, 于相州大败于史思明. 9月, 汴 州被史思明攻陷, 李忠臣被俘. 随後, 史思明分化了李忠臣与部下田神功, 命田神功进攻江淮地区. 然而, 田神功于途中再次投唐. 10月, 李忠臣也率 部下500人出逃. 此后, 二人分开, 各自活动.
代宗宝应元年(762)7月, 李忠臣任淮西节度使, 管辖11州, 随即参與了对 叛反军的最後讨伐. 此後, 李忠臣一直防范吐蕃入侵, 忠于朝廷. 另一方面, 李忠臣时有掠夺性行为, 其军队所到之处行径粗暴. 这源于辽西平卢军多民 族(游牧民族等)共存的习性.
大历14年(779)3月, 李忠臣被部下李希烈等驱逐, 奔赴长安. 李希烈自辽 西起一直追随李忠臣. 这意味着, 平卢军出身的军人们構成了淮西藩镇的中 心势力, 最终驱逐了李忠臣. 李希烈以下克上, 真正走上了反叛之路. 结果, 李忠臣促进了淮西藩镇割据势力的形成.
주제어 : 안사의 난, 평로군, 이충신, 회서절도사, 이희열 關鍵詞 : 安史之亂, 平盧軍, 李忠臣, 淮西節度使, 李希烈
Keywords : An Lushan Rebellion, Pinglu Army, Li Zhongchen, Milit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