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맺음말

Dalam dokumen 1. 당과 신라의 교류 (Halaman 31-34)

지금까지 교학대강 단계(1951∼2000)와 현용되는 과정표준 단계 (2000∼현재)로 크게 나눌 수 있는 중국 역사 교과서의 한국 관련 우 호적인 서술 사례와 한국의 중고등학교 국사와 세계사의 중국 관련 긍 정적인 서술 사례를 분석해 보았다.

중국 역사 교과서는 ‘당과 신라의 교류’, ‘명의 조선 원조 출병’, ‘기 타 한국 관련 서술’로 주제를 구분하여 출판사별로 한국에 대한 우호 적인 서술 내용과 특징을 소개하였고, 한국 역사 교과서의 경우 ‘통일 신라 사회와 당과의 교류’, ‘고려와 원의 관계’, ‘동아시아 문화 교류’로 주제를 구분하여 한국에 대한 중국의 영향에 대해 긍정적으로 밝힌 내 용을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또한 양국 역사교과서의 ‘상호이해와 역사화해’의 역할을 위한 과제 로서 양국 교과서상 확인되는 간단한 오류와 문제점을 지적한 후 개선 방안과 시정한 사례를 살펴보았다.

비록 한국 역사교과서가 중국 역사교과서에 비해 분량면에서 볼 때 상대적으로 적고, 한중 근현대사 및 사회 교과서 등은 분석 대상에서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파악하기엔 한계가 있지만 양국 역사교과서 모두 자국사 중심 서술에서 벗어나 상대국과의 관계를 고 려한 서술 사례를 적지 않게 확인할 수 있기에 역사교과서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58) 임상선, 위의 책, pp.188-189.

최근 국내외 학계에서 역사화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 데, 중국에서는 지난 2006년 난징의 사범대 부속 고등학교에서 난징학 살에 관한 역사 교과서를 자체적으로 출판했다. 교과서에는 1937년 12 월 30만 명의 중국인이 일본에 의해 죽음을 당한 난징학살에 대한 설 명뿐만 아니라 이 사건에 대한 학생들의 감상이 함께 담겨져 있는데, 성급한 보복이나 지속적인 적대감 대신 평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내용이 눈길을 끈다. 책의 서문에서도 역사교육의 최종 목적은 평화이 며, 평화야 말로 우리에게 필요한 과학이라고 밝히고 있다.59)

그동안의 역사교육이 자국사를 중심에 놓고 대상국과의 관계를 이 해하는 대외관계사적 측면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져 왔다면 이제는 자국 과 교류가 이루어지는 지역 간에 쌍방적인 관점에서 교류사 학습이 제 기되고 있는 시점에서60) 미래 지향적인 새로운 역사 교재 편찬은 매 우 시사적이다.

만약 현 단계에서 양국 역사교과서에 우호적이며 긍정적인 서술의 편폭을 확대하기 어렵다면 양국 역사교과서상 우호적이고 긍정적인 서 술 사례만을 편집하여 양국 역사 공동 참고 교재로 활용하는 것도 바 람직 할 것이다.

주지하는 것처럼 『손자병법』에 “지피지기 백전불태(知彼知己, 百 戰不殆)”라는 고사성어가 있다. 교과서야말로 국가간 상호이해를 위한

‘지피지기(知彼知己)’의 공구서로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본다. 양국학계가 이러한 노력가운데 공동의 학술교류와 연구를 지속한다면 교과서는 이 제 더 이상 역사 갈등의 이미지가 아닌 상대국의 역사문화를 존중하고 이해하는 도구로서의 새로운 이미지로 변할 수 있을 것이다.

59) 우 비캉, 역사화해와 중국의 역할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역사화해, 서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동북아역사재단, 2010), pp.164-175.

60) 구난희, 국제이해교육의 매개체로서 지리교과서의 서술구조 및 내용에 관한 비판적 분석 (2010 한국․중국 교과서 세미나 자료집, 한국학중앙연구원 한 국문화교류센터, 2010), pp.75-88.

(中文摘要)

韓 中之間为了“相互理解与歷史和解”

的提高認識的歷史敎科書的課題

- 韓 中中高校歷史敎科書的敍述事例为中心-

禹 成 旼

近年以来为了推动东亚共同体设想进行了很多研究和分析而提出了不少 实践方案,但是在此作为妨碍的因素历史摸查的问题还存在。其中历史教 科书给了我们一种历史纷争的一个代名词的印象。例如,在韩日关系上日 本的历史教科书的歪曲问题显明之后,教科书给了我们好象攻击对方的一 种武器的印象。

在韩中关系上历史教科书的问题没有象韩日之间历史教科书那样变成为 外交摸查的社会问题。而现在国内学界分析中国历史教科书之后不断的提 出了有关韩国的歪曲和失误。因此,在韩中之间历史教科书也有可能会变 成为历史纠正的代名词。但是历史教科书上并不只有歪曲和失误而也可以 找到友好的叙述。

在此,本稿要探讨从历史教科书在两国关系上能做肯定的角色的意义。 首先,在两国教科书上要分析对于对方国家所叙述的友好的例子,从此 会提高互相的理解。进而此后韩中历史学界的学术交流越来越加强,要减 少历史认识上的差异,在互相的理解的基础上要努力多叙述有关对方国家 的肯定的内容。

在中国历史教科书上大致可分为"唐与新罗的交流","明朝的援朝出兵

","其他有关韩国的叙述"。而按照出版社介绍了对于韩国的友好的叙述内 容和特征。

在韩国历史教科书上大致可分为"统一新罗和唐的交流","高丽与元朝的

Dalam dokumen 1. 당과 신라의 교류 (Halaman 31-34)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