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 본고는 중국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에 나타나는 고대 농업의 서 술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에 필자는 첫째, 중국 전통 농업에 대한 강조, 둘째, 세계 농업사상 중국 고대 농업의 주도 지위 확보, 셋째, 고 대 농업구의 통합과 통일적다민족국가의 확립이라는 세 가지 측면을 서술의 특징으로 지적하였다.
각국의 역사교과서는 한편으로는 자국민에게 민족의식의 고취와 국 가에 대한 자부심을 높이고, 애국심을 심어주는 기능을 담당하는 면이 당연히 존재한다. 중국 고대 농업의 서술도 이런 측면이 강하게 나타 나고 있다. 즉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문화와 전통을 갖춘 민족 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서구 중심적 시각에서의 탈피와 중 국의 우수한 전통 농업문화에 대한 인식이라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
가할 만하다. 또 이러한 서술은 “중화민족의 우수한 전통을 계승하고 민족정신을 발양하여 민족의 진흥과 사회진보를 지향하는” 중국 고등 학교 교육의 이념에 정확하게 부합된다.
다만 그것을 지나치게 강조할 경우 자국중심주의적 역사관, 패권주 의적 역사관으로 흘러 역사를 왜곡시키는 면이 나오기도 한다. 제전이 나 도작 관련 서술의 문제점은 중국의 현 정치적 지향 중 하나인 통일 적다민족국가론이 내적 논리로 관철되는 경우이며 바로 이와 같은 면 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중국적 전통과 역사를 부각시키려는 노력은 다음과 같은 문제 를 야기하기도 한다. 즉 정전제와 관련된 지적은 전설상의 농업신인 신농의 존재를 그대로 인정하는 태도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이처럼 역사적 실재에 근거하지 않고 고증과 비판 없이 그대로 신뢰하는 서술 태도는 신화와 실존의 경계선이 무너져 있음을 보여준다.
또 한 가지 지적할 점은 최근의 고고학적 연구 성과나 고기후학과 같은 연구 성과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한 점이다. 농업과 기후는 무관 하지 않다. 황토 농경지를 기반으로 성립한 고대 중국의 세계에서 기 후는 중요 조건이 된다. 고대 중국은 현재와는 다른 기후조건을 갖추 고 있었고 여러 차례 기후 변화가 있었다.103) 이는 중국 고대 농업의 전개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성과는 반영되어야 할 것 이다. 오히려 한국 금성출판사의
고등학교 세계사
에 “기원전 3〜2천 년 경에는 지금보다 강우량도 더 많았다”104)라고 서술하여 고대 중국 103) 기후변화에 대해서는 다음의 연구 성과 참조. 李恩軍, 中國歷史地理學 (北 京: 人民交通出版社, 1995); 築可楨, 中國近五千年來氣候變遷的初步硏究 (《人民日報》1973年6月19일); 曹兵武, 從仰韶到龍山; 史前中國文化演變的社會 生態學考察 (環境考古硏究 2輯, 北京: 科學出版社, 2000); 王暉 黃春長, 商 末黃河中流氣候環境的變化與社會變遷 (史學月刊 2002-1); 張文華, 氣候變 遷與中國古代史中的幾個問題 (丹東師專學報 2002-3); 王星光, 中國全新世 大暖期與黃河中下流地區的農業文明 (史學月刊 2005-1); 龐小霞 高江濤, 中 原地區文明化過程中農業經濟考察 (農業考古 2006-4); 魏繼印, 殷商時期中 原地區氣候變遷探索 (考古與文物 2007-6) 등.104) 고등학교 세계사(서울: 금성출판사, 2004), p.34.
의 황토지대 농경에서 기후가 차지하는 비중을 제시하고 있는 것은 시 사하는 바가 있다고 생각한다.
(Abstra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criptions on Ancient Agriculture in the Chinese High School
History Text Books
- In Pre-Chin and Chin Han Periods -
Bae, Jin young
This paper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criptions on ancient agriculture in the Chinese high school history text books.
The characteristics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hree perspectives: in substitution to the decline of historical materialism, firstly, emphasis on Chinese traditional agriculture, secondly, acquisition of a leading ancient agriculture position for China in world history, and, thirdly, both unification of ancient agricultural areas and establishment of multiracial states.
Through the descriptions, China emphasizes that Chinese is the people with the most excellent culture and transitions in the world.
It can be positively evaluated at the point of both breaking from the traditional Western-oriented view and recognizing the excellent transitional agricultural culture.
In addition, such descriptions are suitable to the educational ideology of Chinese middle and high schools, that succeeds the excellent tradition of the Chinese people, makes the spirit of the people well-known, pursues both the development of the people and the progress of Chinese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