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지금까지 杜恕가 남긴 體論을 통하여 두예 左傳學에 미친 家學의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론의 내용을 정리하여 맺음말을 대신하겠 다.

첫째, 두예에게 가장 깊은 영향을 미친 사람으로 부친 杜恕를 꼽았 다. 통상 두예에게 학문적 영향을 미친 사람으로 杜寬과 樂詳을 꼽는 다. 이들은 모두 左傳에 대한 연구서를 펴냈기 때문에 직접적인 영 84) 졸고, 杜預의 春秋左氏傳序와 史의 분리 (中國學報54, 2006).

85) “備成一家之學” (晉書권34, 杜預傳 , p.1031).

향을 미쳤을 것으로 간주되었다. 반면 杜預는 부친 杜恕를 배반한 불 효자처럼 인식되어 왔기에 둘 사이를 연결 지워 생각하는 일은 드물었 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두예의 기질과 삶의 태도가 杜恕와 흡사하다 는 점에 주목하였다. 杜寬과 樂詳은 현실 정치나 관료 생활과 무관한 사람들이었으나 杜恕는 그렇지 않았으며, 특히 원칙을 고수하면서도 정치적 파벌에 연루되지 않으려 했던 모습이 杜預의 관직 생활과 매우 흡사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점에서 杜預는 杜恕의 가치관과 인생관 을 계승하지 않았을까 추정해 보았다.

둘째, 杜恕의 영향력은 비단 인생관의 문제만이 아니라 학문의 영역 에서도 이야기될 수 있음을 體論을 통해 입증하고자 하였다. 그를 위해 우선 體論의 구성과 내용을 살펴보았다. 구성을 보면 이 책은

‘人倫’· ‘立身’· ‘理民’· ‘勝殘’ 등 네 개의 주제와 君 · 臣 · 言 · 行

· 政 · 法 · 聽察 · 用兵 등 8개의 세부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었 다. 그리고 이들 8개 항목 각각의 ‘體’가 제시되어 있었다. ‘體’는 萬物 에 내재된 本體의 의미와 유사한 개념이었다. 다만 그것은 사물 안의 내재된 속성이라기보다는 사물 사이의 관계와 관련된 규범이었다. 그 래서 體는 곧 禮라고 하였다. 다시 말해, 杜恕는 만물의 질서를 지탱하 는 핵심이 體이고 그것은 곧 禮라는 주장을 편 것이다. 君主와 臣下가 지켜야할 도덕적 규범, 혹은 言· 行· 政治· 法· 用兵 등의 판단과 행위 가 따라야할 禮的 규범을 萬物의 體로 소개하고 있다.

셋째, 體論이 단순한 학술 저서가 아니라 曹魏 明帝 시대의 정치 상황을 반영하는 것임을 지적했다. 이 시기의 간쟁의 내용을 보면 災 異를 통한 天의 권위 대신 개개 사안의 내적 본질과 합당성, 즉 體가 정치 비판의 이유로서 강조되고 있음을 지적했다. 가령 君主와 臣下는 본질적으로 하나의 몸을 이루는 유기적 존재라는 점을 강조하고, 그러 한 이유에서 소수 측근과 法術에 의지하여 정치를 獨斷했던 明帝를 비 판하는 것이었다. ‘政’에서는 德과 禮에 기초한 정치, ‘法’에서는 다수의 人情과 공정한 평가가 體로서 강조되었다. 이 또한 明帝 시기의 法術 的 통치를 비판한 것이라 할 수 있다. ‘勝殘’ 즉 ‘用兵’의 體로는 仁義

에 기초한 전쟁만을 정당한 것이라 했는데, 이는 당시 전쟁을 반대했 던 사람들의 논리를 대변하는 것이었다. 특히 ‘立身’에서는 ‘誠으로 萬 物을 대하는 자세’를 ‘行의 體’로서 강조하였는데, 이는 당시 浮華한 관 료 지식인이 횡행했던 세태를 비판하려는 것이었다.

넷째, 體論이 左傳의 방대한 이야기를 體用의 관점에서 압축한 작은 에세이라고 보았다. 杜恕는 體를 禮와 등치시켜, 萬物의 본체를 禮로 파악하고자 하였는데, 그러한 논리는 左傳이 제공한 것으로 보 았다. 左傳에는 禮를 국가와 개인, 우주의 근간으로 파악하는 경우 가 여럿 보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體論에서 제기된, 左傳 텍스트 내부에서 本體를 구하는 방식은 두예의 左傳學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 다고 보았다. 그것은 杜預가 春秋 大義를 左傳 내부에서 확인하는 傳文主義的 경향과 매우 흡사한 것이기 때문이다. 두예가 추구했던  左傳 중심주의와 실증적인 治學의 방식은 杜恕가 體論에서 보여준 논법을 발전시킨 것이라 생각한다.

이 시기 本體에 대한 사유는 老莊의 ‘無’와 같은 외부 논리를 끌어와 경전을 재해석했던 玄學의 노선이 있고, 杜恕 - 杜預와 같이 史書의 내면에서 본체를 추구하는 두 노선이 있었다고 정리할 수 있겠다. 그 리고 후자의 治學 태도는 당시 사람들에게 史學이라는 독립된 학술 분 야를 설정하는데 기여했을 것으로 본다. 정리하자면 杜預 학문의 고도 의 사실주의, 객관주의는 魏晉시기 本體論的 사유의 역사적 산물이라 고 말할 수 있으며, 그 기원은 杜恕 즉 부친의 家學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中文提要)

青年期杜预与家学 : 以杜恕  体论  为中心

金 锡 佑

本论文以杜预父亲杜恕的体论为中心, 对青年期杜预家学的影响进行 了探讨. 其内容概要如下.

第一, 对青年期杜预, 影响最深刻的人是杜恕. 杜预的叔父杜寬寫了春 秋左氏傳解, 樂祥寫了左氏樂氏問七十二事, 所以一般说, 这两个人影 响比较大. 可是杜预和两个人的人生观不一样. 但是杜恕和杜预, 他们俩生 平和价值观相似. 都積極參與現實政治, 堅持儒家的政治理想. 所以对青年 期杜预影响最大的人是杜恕.

第二, 考察了体论的组成和内容. 有四个主題‘人倫’·‘立身’·‘理民’·‘勝 殘’. 其下八个章 君 · 臣 · 言 · 行 · 政 · 法 · 聽察 · 用兵 . 個個一共 有自己的‘体’. ‘体’是万物內在的‘本体’, 而且是‘禮’. 禮的规范是‘体’.

第三, 魏明帝時期的政治狀況直接的反映了體論的內容. 明帝時諫爭 頻發, 當時政治批判的論理, 基礎了不是漢代的災異思想, 而是事案的本質 和本體. 所以體論的‘體’中心的思惟, 促進或影向了當時政治評論. 比如 杜恕特別强調的是‘行之體’, 这指出了‘誠’. ‘誠’是批判了曹魏時期許多‘浮華 之士’.

第四, 體論可能是壓縮左傳核心內容的小论说文. 體論的中心思 想是從左傳來的. 左傳几个文章說, 禮是國家和個人·萬物的根幹. 體 論開始從左傳本文探討了萬物本體的思惟方式, 杜預的左傳學完成了这 样的方法. 在这一点上, 對杜預學問杜恕的體論影向了非常重要. 这可以 說杜預學問的家學背景.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