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고대 서체의 발전을 정초하여서 체계화한 서론서임과 동시에 역대 서예가들의 작품 설명, 그리고 심미관을 시대 순으로 일목요연하게 분 류하여 기술한 북송 말 徽宗 시기에 저술된 宣和書譜에 관하여 탐구 해 보았다.

宣和書譜는 御府所藏 서적으로, 총 20권에 역대 서예가 197인, 법 첩 목록 총 1,240여건을 권수와 서체의 배열 순서, 시대 순에 따라 서 예 작품평과 그들의 전기를 기록하고 있다. 예컨대 東漢시대 張芝에서 부터 북송시대 王安石ㆍ蔡京ㆍ蔡卞ㆍ米芾 등에 이르기까지 역대 서예 가들의 서첩 목록과 전기가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제 1권에서만은 역대제왕의 서예심미관을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황권의 서예예술에 대한 애호를 표명하고 공고히 하려는 움직임 이었으며, 서예의 효용성을 제고시키기 위함이었다. 여기에서는 역대제 왕 12인, 법첩 목록 64첩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 제 2권에서는 篆書와 隷書에 능한 상징적인 서예가 8인, 법첩 목록 22첩에 대해 기록하고 있지만, 다른 서체의 대표적인 서예가들과 목록 수에 비해 기재된 인 원수와 목록이 적다. 특히 隷書의 대표적인 서예가는 당대의 韓擇木만 44) 水采田 譯注, 宋代書論 (長沙: 湖南美術出版社, 1999; 2006, 5次印刷),

pp.260-261.

이 기재되어 있을 뿐이다. 제 3권에서 제 6권까지는 正書의 상징적인 인물 46인과 법첩 목록 134첩을 기록하고 있으며, 시대 순으로 正書一, 正書二, 正書三, 正書四로 구성되어 있다. 제 7권에서 제 12권까지는 行書의 대표적인 서예가 58인, 법첩 목록 291첩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

이 서체도 시대 순으로 行書一, 行書二, 行書三, 行書四, 行書五, 行書 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3권에서 제 19권까지는 草書의 대표적인 서예가 70인, 법첩 목록 637첩에 대해 기록하고 있는데, 宣和書譜에 서 가장 많은 서예가가 편중되어 있다. 그리고 시대 순으로 草書一, 草 書二, 草書三, 草書四, 草書五, 草書六, 草書七의 구조로 배열되어 있다.

제 20권에서는 八分書의 대표적인 인물 4인과 법첩 목록 15첩, 그리고 制ㆍ詔ㆍ告ㆍ命ㆍ牒의 서론과 법첩 목록 51첩이 기재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宣和書譜의 체재 구조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 라, 篆書․隸書․正書(楷書)․行書․草書․八分書가 담고 있는 특성과 변천사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함께 거론하였다. 이를 통해 알 수 있었던 점은 宣和書譜의 6書에 담긴 서체의 변화와 흐름은 서 예사에서 볼 때 문헌학적 가치 기준에 대한 새로운 근거를 담고 있음 을 살필 수 있었다.

그리고 宣和書譜는 당대의 孫過庭의 書譜ㆍ張懷瓘의 書論, 동 시기로는 蘇軾의 東坡論書ㆍ黃庭堅의 山谷論書ㆍ米芾의 海岳名 言ㆍ陳思의 書小史 등의 서론서에서 찾아볼 수 없는 분류학적 체계 구조를 담고 있어서, 동아시아 역사에서 書藝分類에 따른 御府所藏 법 첩 기록 중 가장 이른 저작이라는 특징과 함께 대량의 서예 관련한 사 료가 보존되어 후대의 서화론사와 법첩 고증에 문헌학적 근거를 제시 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크다.

(Abstract)

The Chirographic Significance of Six Volumes in Xuanhe Shupu

Lee, Jung Mi

In the history of East Asian chirography, the changes of letterforms richly infused creative semanticity into transformative diversity and enhanced artistic values by means of letter symbolism and natural phenomena. It is well known that the changes of letterforms, shell-and-bone characters to grass characters, continued till Sui Dynasty (581-618) and Tang Dynasty (618-907). Subsequent letterforms have continuously been developed and tempered with the stream of times and literature and thus have systematized calligraphic artistry and its distinguishing significance. Hereat, a study was made of a collection ‘Xuanhe Shupu.’ It was complied during the reign of Huizong (1100-1125) of Song Dynasty, which describes renowned calligraphers’ handwritings and explicates aesthetic views in chronological order. It is recognized that the collection contributed to the standardization of ancient letterforms.

The collection ‘Xuanhe Shupu’ is in 20 volumes. Currently, it is being managed with other royal keepsakes. As aforesaid, it describe the works of 197 calligraphers of many generations, explicates chirographies in 1,240 copybooks in the order, and deals with their biographies, e.g., Zhang Zhi of Dong Han Dynasty (Eastern Han

Dalam dokumen 宣和書譜의 書藝分類史觀 (Halaman 30-33)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