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무역과 경기

Dalam dokumen 1918-1927 湖南의 物價변동* (Halaman 43-50)

산물의 경우 수출이 잘 되면 해외 수요가 많을 것이고 이것은 가격 상 승으로 연결되지만 반대로 수출이 격감하면 가격도 하락할 수밖에 없 다.

무역과 물가는 수입 상품의 경우 수입량이 증가할수록 물가는 하락 하고 수출 상품의 경우 수출량이 증가할수록 물가가 상승하는 궤적을 보인다. 이러한 물가 변동은 제국주의 열강의 가격 조작 보다는 국제 시장의 수요 변동에 의한 측면이 강하다.

<표15>에서 수입액의 증가를 보면 1912년 약 38만에서 1913년 149만으로 급증했다. 1914년에는 236만으로 증가했다가 1915년 86 만으로 격감했다. 1916년 다시 116만으로 회복되고 1917년에는 136 만으로 상승했다. 1918년에는 203만으로 급증했다. 1차 대전의 종전 은 1918년 11月 11日이므로 이 해 수입액 증가가 종전 효과는 아니 라 생각된다. 1919년에는 256만으로 증가하여 종전 효과와 관련 있는 것 같지만 1920년에는 189만으로 다시 감소한다. 1921년에 136만, 1922년에 118만, 1923년 115만으로 계속 감소한다. 1920년에서 1923년까지 연속 감소를 보인다. 1924년에는 147만으로 상승했으나 1925년에는 115만으로 하락했고 1926년에는 249만으로 상승하고 1927년 13만으로 격감했다. 1928년에는 166만으로 상승하고 있다. 1 차 대전 기간인 1914년부터 1918년까지 5년간 수입액은 대략 777만 海関兩이었고 1919년부터 1923년까지 戰後 5년간은 814만 海関兩으 로 兩者의 차이는 4.8% 증가 수준에 그친다.

<표15>의 수입액은 外洋에서 湖南에 직수입 되는 것으로 전체 무역 수입액은 아니다. 그러나 변동 추세의 자료는 될 수 있다. 이것에 의 하면 1차 대전 기간 제국주의의 일시적 후퇴와 戰後의 제국주의 침략 강화, 그 결과 무역의 신속한 발전이라는 전통적인 해석과는 부합되지 않는다. 전후 몇 년간 수입액의 증감이 있는 것을 보면 제국주의 열강 의 재침이라는 획일적 해석은 곤란하다. 각국의 수입 무역액 중 비교 를 보면 1909-11년 기간부터 영국의 비중이 감소하고 일본과 미국이 부상하고 있다.97) 일본과 미국은 1차 대전 상당 기간 주요 전쟁 당사

97) 嚴中平, 앞의 책, p.65.

1923 1,131,124 22,367 1,153,491 19,743 - 19,743 1,173,234 1924 1,448,402 21,750 1,470,152 23,581 - 23,581 1,493,733 1925 1,143,323 7,530 1,150,853 44,777 - 44,777 1,195,630 1926 1,370,410 1,128,986 2,499,396 20,674 - 20,674 2,520,070 1927 139,084 583 139,667 2,025 - 2,025 141,692 1928 349,023 1.309,455 1,668,478 15,142 - 15,142 1,683,620

국이 아니어서 전쟁 기간이나 戰後나 지속적인 교역국으로 있었던 것 을 생각하면 호남의 1차 대전 전후 무역액에 큰 변동이 없는 것과 상 관성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표16>은 湖南實業志에 게재된 長沙關의 수출입 내용이다.98)

<표15>에 실린 것은 外洋 직수입액만 제시된 것으로 이것은 通商 口 岸을 통해 수입되는 것의 10-20%밖에 안 된다. <표16>에 실린 내용 이 호남의 실제 수출입 액수에 가까운 것이지만 여기에는 1925년부터 1934년까지 내용만 있다.湖南實業志의 연결되는 자료에는 岳州關의 10년간 수출입 무역도 제시되어 있다. 이 두 가지 자료를 종합하여 만 든 것이 <표17>이다.

98) 湖南實業志, p.191.

進口由 出口往 復進口

外洋 通商口岸 합계 外洋 通商口岸 합계

1925 1,143,323 15,806,498 16,949,821 44,777 16,019,630 16,064,407 212,966 1926* 1,370,410 3,480,992 22,851,402 20,674 15,376,428 15,397,102 246,887 1927 139,084 9,004,965 9,144,049 2,025 13,977,944 13,979,969 663,126 1928 359,023 21,915,249 22,274,272 15,142 16,475.636 16,490,778 69,240 1929 651,473 23,647,936 24,299,409 12,117 13,764,315 13,776,432 198,501 1930 1,120,620 22,727,472 23,848,092 16,192 13,082,265 13,098,457 1,049,679 1931 1,934,421 23,893,564 25,827,985 13,822 10,598,981 10,612,803 128,342 1932 3,143,140 7,239,894 10,383,034 1,106,629 6,856,063 7,962,692 16,290 1933 2,824,790 4,718,891 7,543,681 7,780 6,981,827 6,989,607 14,848 1934 2,659,437 7,341,759 10,002,196 340 9,753,991 9,754,331 25,239

*1926년 進口합계는 4,851,402로 위 표의 수치가 오류 1934년 進口합계 10,001,196으로 약간 오차 있음

<표16> 十年來長沙關進出口貿易表(단위:海関兩)

수입 수출

長沙 岳州 長沙 岳州

1925 1,6949,821 7,156,589 24,106,410 16,064,407 15,501,753 31,566,160

<표17> 10年來 湖南의 수출입 무역 (단위: 海関兩)

이것을 보면 수입액은 1925년 2400만 수준에서 1926년 3000만 수준으로 급상승한 뒤에 1927년의 1300만 수준으로 급감하였다.

1927년의 수입 감소는 北伐 전쟁과 같은 중국의 내전이 영향을 미쳤 는지도 모른다. 1928년에는 3300만 수준으로 최고에 도달한다. 1931 년 까지는 거의 3000만 關兩 수준에서 평형을 유지하다가 1932년에 1400만 수준으로 급감하여 1933년, 1934년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수출입의 균형을 보면 1925년 出超(7,459,750), 1926년 入超 (2,557,117), 1927년 出超(10,591,739), 1928년 入超(3,040,750), 1929년 入超(1,649,334), 1930년 入超(1,985,414), 1931년 入超 (13,504,080), 1932년 出超(684,906), 1933년 入超(72,962), 1934년 出超(1,482,571)의 현상을 보이고 있다. 1927년은 전년 대비 수입이 대폭 감소하였는데 수출도 크게 감소하였다. 1928년 수입액이 1926 년도 이상 회복되었는데 수출도 역시 비슷하게 증가하였다. 1930년은 전년대비 수입도 감소하고 수출도 감소하였다. 1932년과 1934년은 出超 현상을 보이고 있고 1933년의 入超는 겨우 72,962關兩으로 극 히 미미하다. 그런데 1930년대 세계 경제 위기와 호남지역의 농촌 생 산의 감소를 고려하면 불황형 흑자라고 할 수 있다.

교역 총액을 고려하면 1925년 55,672,570關兩에서 1926년은 58,384,365關兩으로 증가하였고, 1927년은 37,124,841로 격감하였다 가 1928년에는 63,596,712로 급증하였다. 1929년은 59,365,834로

1926 22,851,402 7,619,339 30,470,741 15,397,102 12,516,522 27,913,624 1927 9,144,049 4,122,502 13,266,551 13,979,969 9,878,321 23,858,290 1928 22,274,272 11,044,459 33,318,731 16,490,778 13,787,203 30,277,981 1929 24,299,409 6,208,175 30,507,584 13,776,432 15,081,818 28,858,250 1930 23,848,092 5,513,400 29,361,492 13,098,457 14,227,621 27,376,078 1931 25,827,985 6,085,203 31,913,188 10,612,803 7,796,305 18,409,108 1932 10,383,034 4,403,681 14,786,715 7,962,692 7,508,929 15,471,621 1933 7,543,681 5,810,444 13,354,125 6,989,607 6,291,556 13,281,163 1934 10,002,196 2,518,219 12,520,415 9,754,331 4,248,655 14,002,986

감소하고 1930년 56,737,570으로 약간 감소, 1931년은 50,322,296 으로 대폭 감소, 1932년은 30,258,336으로 격감하였다. 1933년은 26,635,288로 급감, 1934년은 26,523,401로 감소하고 있다. 1925년 에서 1928년은 1927년의 비정상적 급감을 제외하고 계속 상승 추세 이다. 1931년 이후의 불황을 고려하면 적자 여부가 중요한 것이 아니 라 전체 교역량의 감소가 더 중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즉 무역량이 증 가하고 활발할수록 호황이라는 것이다.

당시인의 인식을 통해 호황불황 상황을 검토해보겠다.99)

민국 7년(1918)에서 민국 12년(1923)까지 商場은 오히려 안정이라 칭 한다. 민국 13년(1924) 후 민국 16년(1927)사이에 匪患이 안정되지 않 았는데 그때 田賦, 鹽稅, 厘金이 해마다 증가하였다. 후에 武漢정부가 현 금을 끌어 모으고 지폐를 남발하여 물가가 급등하였다 … 農産品을 수출 할 수 없으니 外貨의 수입도 또한 감소하였다. 이에 경제가 쇠락하고 商 場이 凋敝되었다. 민국 19년(1930) 長沙가 함락되자 상업이 유린을 당하 여 다시 진흥하지 못하였다.

이것은 長沙市에 대한 서술이다. 1918년에서 1923년까지 1차 대전 종전 후에 오히려 호황이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불황의 원인은 내부적 문제로 匪患의 연속, 세금의 가중, 武漢정부의 통화 팽창 등이 원인임 을 밝히고 있다. 농산품의 수출이 감소하니 外貨 수입도 감소한다는 대응 관계가 나오고 있다. 또 무역량 감소가 경제 불황이라는 인식도 제시되어 있다.

장사의 장거리 수송 사업을 담당하는 長途轉運公司는 민국 9년 (1920)에 시작되어 처음에는 불과 2-3家였는데 민국 11년(1922), 민 국 12년(1923)에는 증가하여 11-12家가 되었다. 그 영업은 민국 15 년(1926) 이전에 가장 발달하였다.100) 1920년에서 1926년 사이에는 물동량이 많고 호황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 있는 예릉현 의 編爆사업도 1921년부터 1926년 까지가 번성시기였는데 1930년대

99) 위의 책, p.254.

100) 위의 책, pp.268-269.

국내외 판로 부진으로 불경기가 되고 있다. 같은 자료를 보면 예릉에 는 株萍철로 개통 이후 城市 무역이 번영을 구가했는데 近年(1934년 이전) 농촌 파산으로 경기 불황이 되었다고 한다.101)

호남의 면화 수출 상황을 보면 민국 13년(1924)부터 1929년까지 수출량이 대개 3-4만 担 전후이고 가격도 30元 전후를 유지한다.

1929년 이후 급격히 수출량이 감소하고 가격도 하락하고 있다.102) 邵 陽縣 상업에 대한 설명 가운데도 海禁이 개방되어 사치품 수입이 급증 하고 민간 풍속이 사치해졌지만 금융 상태가 비상하게 활발하고 市面 이 이 때문에 번영하였다는 것, 민국 16년 17년까지 각 業이 이익이 많았고 연간 면화 소비량이 3만包에 달했으며 洋紗는 만여 箱에 달했 다. 그런데 ‘近年來’(1934년 이전) 면화 소비량이 감소하여 1/3에 이 르렀다. 농촌 경제가 파산에 가까워 인민의 구매력이 격감하였다는 내 용이 나오고 있다.103) 여기에도 무역량 증가는 경제 번영이고 구매력 감소와 무역 축소는 불황이라는 인식이 대두된다. 호남 桐油 공업의 설명 가운데 桐油가 호남 굴지의 수출 상품으로 민국 초년에 해외 수 출로 번성했으나 지금은 불경기 관계로 영업이 쇠퇴했다고 하고 있 다.104) 桐油의 수출 부진은 불경기와 관련 있는 것이다. 長沙 染坊도 민국 7년(1918)부터 민국 13년(1924)까지가 가장 전성기였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105) 蛋行의 영업 상황은 민국 10년(1921)-14년(1925) 에 영업이 가장 번성하였다. 이때 洋莊이 운송판매에 가담하였다.106)

衡陽의 사정에 대한 기록을 검토해 보겠다.107)

형양의 錢業은 민국 원년(1912) 전에 단지 10家였고 민국 원년 후에

101) 위의 책, p.465.

102) 위의 책, pp.554-555.

103) 위의 책, p.389.

104) 湖南實業志, p.801.

105) 위의 책, p.279.

106) 위의 책, p.306.

107) 위의 책, p.463.

비로소 발달하였다. 민국 16년(1927)시에 증가하여 20여 家가 되었다.

형양 錢業의 최성시대였다. 민국 19년(1930) 농촌이 파산으로 인해 금융 조절이 곤란해지고 錢業의 영업이 축소되어 민국 20년(1931) 겨울에 錢 業이 거의 전부 폐업이나 停業하였다.

이것을 보면 형양의 금융은 1927년경이 가장 번성한 시기였다. 민 국19년(1930) 농촌 파산으로 금융 곤란과 불경기가 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藍山縣에서도 中外 무역의 증가로 洋油와 洋沙의 수입이 증 대되고 생활 수준 향상으로 사치 풍조가 만연하였다고 한다.108)

長沙大公報에 게재된 이자율 拆息(半月이자)을 보면 1921년 0.38, 1922년 0.44, 1923년 0.463, 1924년 0.685, 1925년 0.6, 1926년 0.4, 1927년 1.6%로 1926년 1月의 다소 하락을 제외하면 대 체로 상승 추세이다. 桐油가격은 1921년에서 1924년까지 지속적 상 승추세이다. 여타 물가의 경우도 분석 대상 시기에 상승이 주류를 이 루고 있다. 이자율의 상승과 물가의 상승은 반대의 경우보다 경제적 호경기인 경우가 많다는 사실과 부합된다고 생각된다.

湖南實業志나 민국 시기 地方志 등을 참고하면 호남에서는 1921 년에서 1927년 사이에는 대부분 무역 증대로 好況이었다는 인식이 주 를 이루고 있다. 이 시기는 제1차 세계대전 후 제국주의 열강 세력의 再渡來와 침략 가속화라는 때이다. 거의 대부분의 史料에서 민국 19년 (1930)에 농촌 구매력 감소로 경기 불황이었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무역 관계를 보면 수출 증가와 수입 증가가 대응되는 반면 수출 감소 와 수입 감소가 대응 관계를 이루고 있다.

<표17>을 토대로 보면 1932년-1934년 사이는 出超가 주조인 흑자 이지만 교역량의 축소로 불황형 흑자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을 보면 1 차 대전 후 제국주의 침략 강화와 신속한 무역 발전이 물가 급등과 인 민 부담 가중을 초래했다는 주장은 재고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108) 민국21年 刊, 藍山縣圖志 권21, 「食貨」, p.311.

Dalam dokumen 1918-1927 湖南의 物價변동* (Halaman 43-50)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