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학계의 기본적인 시각은 청말 민국기가 제국주의 경제침략으로 물가 폭등과 민중 생활의 부담 가중을 초래했다는 것이다. 또 제국주 의 경제침략의 결과가 대외무역의 신속한 발전임을 지적하고 있다.79) 그렇다면 대외 무역의 발전이 물가 급등을 초래했다는 논리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무역과 물가에 관한 史料 하나를 검토해 보겠다.80)
輪船이 이미 통행하고 철로가 이미 조성된 뒤 제조업이 날로 번성하고 商約이 시행될 수 있고 시장이 번화하고 商賈가 줄을 잇고 백가지 상품 이 유통되어 쉴 틈이 없게 된다면 日用 각 물건은 그 가격이 반드시 저 렴해질 것이고 신기한 제품도 날을 헤아려 얻을 수 있을 것이니 민생의 78) 譚文熙, 앞의 책, pp.303-305.
79) 嚴中平, 앞의 책, pp.63-64.
80) 湘報 제49호, 1898年5月2日, 「中國自救莫如大開通商口岸説」.
편리함은 이보다 더할 수 없다.
湘報에 게재된 南州 熊崇煦의 주장이다. 이미 1898년 시기에도 무역이 진행되면 일용품 가격이 저렴해질 것이라는 예상을 하고 있다.
무역을 행하면 수입품 가격과 수출품 가격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수입 품 가운데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洋油이다.
洋油 수입 전에는 菜油나 棉油 등으로 燈을 켜다가 민국시기 집집 마다 洋油를 사용한다는 長沙府 醴陵의 기록을 비롯하여 각 지방지에 서도 비슷한 기사를 발견할 수 있다.81) 湖南實業志를 보면 長沙는 면제품 다음으로 洋油를 많이 수입하고 있는데 최다시에 년 200-300 만 関兩을 수입하고 있고 岳州 역시 棉布 다음으로 洋油를 많이 수입 하고 있다.82)
통계자료를 보면 洋油의 수입은 1901-1903년 기간에 비해 1909-1911년은 거의 배 가까이 증가했다. 1919-1921년과 1929 -1931년 기간은 지속적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83) 1920년 5月 洋油 브랜드가 다섯 개에서 갑자기 열 개로 증가한 것은 공급자의 경쟁 심 화와 공급 증가를 보여 준다고 생각된다. 거기에 맞추어 1918년 대비 1920년 5月에는 洋油 가격이 하락한 바가 있다. 湖南實業志 자료를 보면 長沙縣의 수입품 1위가 洋油인데 來源은 영국과 미국으로 되어 있다. 제국주의는 단일한 결사체가 아니라 영국과 미국 등 상호 치열 한 경쟁 관계에 있는 세력들이다. 동일 국가라 하더라도 개별 상인이 나 회사는 각자의 이윤 추구를 위해 경쟁할 수밖에 없다. 이것이 洋油 가격의 하락이나 안정에 영향을 준다고 여겨진다. 다른 물가와 달리 洋油 가격도 <圖4>에서 보는 대로 1921년부터 1927년까지 거의 안 정 또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수입상품의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 상 식적으로도 수입 상품은 수입이 증가할수록 공급이 증가하는 것이므로
81) 전형권, 「淸末民國期 湖南 長沙의 米価와 物価動向」 (中國史硏究 79, 2012).
82) 湖南實業志, pp.192-194.
83) 嚴中平, 앞의 책, p.75.
가격의 안정이나 하락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된다.
다음으로 洋鹽의 수입이 1920년대 소금 가격의 상대적 안정에 기여 한 것도 수입무역의 가격에 대한 영향으로 생각된다. 日本鹽, 朝鮮鹽, 러시아鹽, 프랑스鹽 등의 수입이 시장에 대한 소금의 공급량을 증가시 킨 것은 틀림없다.84) 이러한 洋鹽에 대항한다는 명목으로 久大精塩公 司가 성립하고 그 결과 호남 시장에 精鹽이 판매되자 기존 淮商들이 반발했던 것도 공급자간의 경쟁 심화이다.85)
米穀에 대해서도 洋米의 수입은 湖南米의 가격에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 湖南實業志 조사에 의하면 조사 당시 洋米가 가득차서 가 격이 하락했다는 것과 평상시 長沙의 囤積 米穀이 최다 불과 백여만 石이었는데 1933년에는 200만 石을 초과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86) 비슷한 시기의 조사를 토대로 하고 있는 湖南の穀米에도 洋米가 가 격이 저렴하고 품질이 양호하여 대도시 시장을 획득한 반면 國內米는 생산비 높고 품질조차 양호하지 않아 시장이 더욱 좁아졌다는 것과 歷 年의 호남 잉여米는 上海, 漢口를 최대의 시장으로 했지만 최근 몇 년 간 外米의 배척으로 판매가 심히 곤란해졌다고 하고 있다.87)
결국 수입의 증대는 시장의 상품 공급 증가이다. 공급 증가는 가격 하락을 가져 오거나 안정에 기여하는 측면이 많다. 제국주의 각국의 상품시장화와 무역 증대가 적어도 가격의 급등을 야기한다는 것은 신 뢰하기 어렵다.
수출 상품의 경우는 수출량이 증가할수록 해외시장 수요가 확대되 는 것이고 국내 시장의 공급량은 감소한다. 그러므로 가격이 상승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호남의 주요 수출품인 桐油에 대해서도 보면 岳州에서 최성시에는 년 1000만 關兩 이상을 수출하였고 1930년대 전반에 감소하여 400
84) 譚文熙, 앞의 책, pp.265-266.
85) 長沙大公報 1922年 2月12日, 「淮商公所條陳整頓塩稅辨法」.
86) 湖南實業志, p.302.
87) 張人价, 앞의 책, pp.123-124.
-500만 關兩을 수출하였다.88) 常德 桐油行도 민국 元年(1912) 이래 영업이 극히 발달하였고 1933년 外洋 수출량은 17만 擔으로 나오고 있다.89) <표7>과 <圖3>을 보면 1921년부터 桐油 가격은 가파른 상 승세를 보이고 있다. 1925년과 1926년 조금 하락하였지만 1927년 다 시 상승하고 있다. 桐油의 수출과 물가 상승에 관한 지방지의 기록을 검토해 보겠다.90)
父老에게 들으니 咸豊․同治 시기에는 桐油의 市價가 100斤에 緡錢 3000 혹은 4000에 그쳤다. 해외 수출이 시작된 뒤부터 가격이 해마다 상승하니 縣人들이 草鬆을 제거하고 桐을 심는다.……매 100斤에 錢 60 緡 혹 80緡을 받으니 이는 20배가 오른 것이다.
이것을 보면 淸末에는 桐油 가격이 낮았는데 민국시기 해외수출로 재배가 확대되고 가격은 20배 올랐다는 것이다. 수출 증대가 가격 상 승을 초래하고 그것이 농가의 재배 확대로 이어진 것을 볼 수 있다.
민국시기 永順縣志의 기록을 하나 검토해 보겠다.91)
桐油 … 桐樹 열매의 기름을 짠 것이다. 霜降節(10/23) 후에 열매에서 기름을 짠다. 예전에는 茶油보다 가격이 낮았는데 近日에는 茶油보다 비 싸다. 수출 상품의 大宗이다.
여기서도 桐油의 해외 수출이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밝히 고 있다.
다음으로 醴陵縣의 編爆 사료를 보겠다.92)
編爆의 생산은 민국 10년(1921)부터 15년(1926)사이가 최성시기였다.
매년 생산은 모두 100여만元에서 200만원 정도였다. 그 당시 인민 생활 은 자못 여유가 있었다. 최근 몇 년이래 국내외 판로가 정체되었고 가격
88) 湖南實業志, p.194.
89) 위의 책, pp.330-331.
90) 民國12年 刊, 慈利縣志, p.196.
91) 民國19年 刊, 永順縣志 권11, 食貨, p.276.
92) 湖南實業志, pp.475-476.
이 이에 따라 하락했고 생산량도 따라서 감소하였다.
예릉 編爆의 판로는 광동, 복건, 홍콩 등지 뿐 아니라 南洋, 싱가포 르, 베트남, 러시아 등 각국에 수출되었다. 그런데 수출 감소가 가격 하락을 초래했다는 것이다.
면화의 경우 민국 원년 이후에 수출이 본격화 되었다. 민국 원년 (1912)부터 민국 14년(1925) 사이에 민국 9년(1920)이 수출 조금 낮 은 것을 제외하고는 무역액은 지속적 상승 추세였다. 통계에 의하면 민국 13년(1924)에서 1925년은 1担 가격이 30.66元에서 31.35元으 로 상승하였는데 1925년은 전년 대비 수출량이 증가하였다. 1926년 은 1925년보다 수출량이 감소하였는데 1担 가격도 29.50元으로 하락 하였다. 1927년은 수출량이 증가했는데 전년 대비 1担 가격은 29.19 元으로 비슷한 수준을 보인다.93) 1928년은 전년 대비 수출량 감소와 가격 하락의 대응 관계를 보여 준다. 수출량과 가격의 대응 관계는 1924년부터 1928년 사이에는 대체로 수출 증가와 가격 상승이 주류 를 이루고 있다.
광산물 가격 변화를 보면 호남성 광물의 수출 가치는 1912년 2.89 만 關平兩에서 1916년 1054.34万 關平兩으로 363배 증가하였다. 전 쟁 종료 후에 호남 광업이 쇠퇴하고 銻價가 급락하여 銻價는 1918년 上半年에 매 톤 900元에서 1919년 봄에는 매 톤 90元으로 다시 1920년에 매 톤 50元으로 하락하였다. 1919년 호남성의 銻생산은 1 차 대전 前 1912년에 비해 44.4%가 감소하였다. 1919년-1923년 5 년간 全省 輸出 純銻는 가치 459.4万 關平兩으로 戰時 평균 輸出 가 치의 1/4 수준이었다.94) 銻業이 다시 회복되자 1926년 長沙 純銻의 매 톤 가격은 90元에서 450元으로 다시 상승하였다. 鎢業도 1920년 부터 다시 소생을 시작하여 1926년은 수출이 급증하였다. 1929년 여 름 이후에는 세계 경제 위기 영향으로 鎢産이 줄곧 하강하였다.95) 광
93) 위의 책, pp.554-555.
94) 宋斐夫, 湖南通史(現代卷 (湖南出版社, 1994), p.12.
산물의 경우 수출이 잘 되면 해외 수요가 많을 것이고 이것은 가격 상 승으로 연결되지만 반대로 수출이 격감하면 가격도 하락할 수밖에 없 다.
무역과 물가는 수입 상품의 경우 수입량이 증가할수록 물가는 하락 하고 수출 상품의 경우 수출량이 증가할수록 물가가 상승하는 궤적을 보인다. 이러한 물가 변동은 제국주의 열강의 가격 조작 보다는 국제 시장의 수요 변동에 의한 측면이 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