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미래 국가전략광물 개발을 위한 국제기구 대응 및 기반구축

Dalam dokumen 제 출 문 (Halaman 82-85)

(목표) 대한민국 심해 독점광구 효율적 유지/관리 및 상업개발 진입을 위한 국내외 기반확보

심해 광물자원 독점광구 유지/관리

- 국제해저기구 총회, 이사회 등 현안 분석 및 대응

- 공해상 탐사광구 계약 의무사항 이행(연차보고서 제출, 교육훈련 등) - 피지/통가 현지법인의 효율적 관리, 법률, 정책 등 정보 확보

심해 광물자원 상업적 개발을 위한 전략수립

- 심해 광물자원 3개 광종에 대한 기술평가 및 경제성 분석 - 상업 개발을 위한 민간주도형 비즈니스 모델 개발

- 심해 광물자원 개발 시장진출 지원역량 강화 - 심해저 광업 국내법 정비 및 추가 개정요소 지원

- 심해 광물자원 개발동향 파악 및 개발권 신청여건 분석

국내외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역량강화

- 국제해저기구 이사회 이사국/LTC 유지 및 광종별 계약자 간 협력관계 유지(환경문제 및 법제도 공동대응)

- 통가/피지 광구개발을 위한 이해당사자 협력

- 심해저광물자원개발협회 및 범부처 협의회 운영을 통한 심해 광물자원 개발을 위한 국내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수렴 및 정책방향 설명

- 심해광물자원 전문인력 양성

제 4 절 추진체계

광종별 수행단계 특성에 따라 심해광물자원 개발 사업을 국가연구개발사 업과 기관고유 출연금 사업으로 분리 수행 (그림 18)

신규로 확보한 공해상 해양경제영토(인도양 해저열수광상, 서태평양 망간 각)에 대한 개발유망지역 선별 및 광량확보를 위한 정밀탐사는 신규 국가 연구개발사업으로 추진

독점 탐사광구 유지/관리는 기관고유 출연금사업으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이 주관연구기관으로 수행

국가연구개발사업은 탐사기술의 성숙도와 개발유망광구 선정 시기를 고 려하여 1)인도양 해저열수광상 정밀탐사 및 환경연구(1단계)와 2)서태평양 망간각 정밀탐사 및 환경연구(2단계)로 구분하여 수행

해저열수광상 탐사를 위한‘전자기탐사기술’개발은 해당 분야 전문성을 갖춘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공동으로 수행

망간각 탐사를 위한 ‘고주파음향탐사기술’은 관련기술 선도국인 일본

과의 국제협력을 통해 기술 도입 및 활용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생태계 변동 평가 및 복원기술 수립을 위한‘환경영향평가’는 분야별 관련 전문연구기관(대학 및 출연연구소) 과 협력연구 체제(위탁연구)로 수행

관련법제도, 국제동향 파악 및 국제협력이 요구되는 해양경제영토 광구유 지 및 관리는 해양기술정책연구소, 해양대학교, KISTEP/KIMST 등 관련 전 문기관의 정책자문 및 국제해저기구와 체약국 전문기관과의 대외협력을 통해 수행

국가연구개발사업 및 출연금사업은 심해저개발지원법에 근거하여 설립되 는‘심해저 사업단’출범 시 사업단에 이관하여 광구관리 및 상업개발 준비 체제로 전환

그림 18. 사업 추진체계 모식도

제 5 절 기술로드맵

Dalam dokumen 제 출 문 (Halaman 8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