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바이오 연료 관련 정부 추진정책

Dalam dokumen PDF 특허기술 가치평가서 (Halaman 55-58)

IV. 시장성 분석

3.1. 바이오 연료 관련 정부 추진정책

현재는 설비투자비가 높고, 대량재배, 수거, 건조, 지방성분 추출의 공정 효율이 낮아 석유계 대비 경제성이 떨어진다.

조류 바이오 연료가 다른 연료 대비 경쟁력을 지니기 위해서는 석유가 배럴당 80달러일 때, 생산비용이 리터당 0.55달러를 넘으면 안된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현재 미세조류는 리터당 1.48 ~ 5.38 달러로 추정된다(그림 4-5 참조).

따라서 조류 바이오 연료가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첫째, 생산능력이 높은 조류를 확보하거나,

둘째, 생산성이 높은 조류 재배 방식을 개발하거나,

셋째, 직접적으로 생산비용을 낮추어 경쟁력을 확보하여야 한다.

IV. 시장성 분석

769만 TOE로 전년대비 27.2% 정도 증가했고, 유럽연합 전체 수송연료의 2.6%에 해당하는 양임. 유럽연합은 2010년가지 수송연료의 5.8%, 2020년 까지 10%를 바이오연료로 공급할 계획임.

○ 미국은 바이오디젤 생산량은 2006년에 83만㎘, 바이오에탄올은 2008년 35 백만㎘로 미국 전체 수송연료 소비량의 4~5%를 차지함. 오는 2017년까지 전체 석유소비의 15%, 2030년까지 30%를 바이오연료로 대체할 방침임.

미국은 바이로연료 보급을 위해서 재생가능한연료혼합의무화제도 (Renewable Fuel Standards)를 2005년부터 시행하고 있음. 이 제도를 담 당하는 환경청은 2017년까지 350억갤론(1억3천㎘)의 생산목표를 설정하였 음.

○ 브라질은 자동차 연료의 25% 이상을 의무적으로 바이오에탄올을 사용해 야 하며, 현재 바이오에탄올 의무 혼합비율은 4%이고 2013년까지 5%로 확대할 계획임.

○ 중국은 전체 에너지 소비에서 재생가능에너지 비중을 현재 10%에서 2020 년까지 16%로 확대하는 방침을 가지고 있음. 현재는 바이오에탄올 위주 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바이오디젤 연구개발 투자도 확대하여 2020 년까지 200만톤으로 높일 계획임.

○ 일본은 2006년에 바이오디젤 1,500㎘를 생산하여 청소차량이나 관공서용 으로 사용했고, 2008년에 일반차량을 대상으로 E3를 시험보급하고 있으 며, 2012년에 E10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음.

나. 국내 바이오연료 정책 현황

국내에서도 고유가 시대를 해결하기 위한 석유의존도 완화, 에너지원 다 양화, 온실가스 감축, 대기환경 개선 및 환경 규제 대응 등을 위해 서울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BD20(바이오디젤 20% 혼합 경유)형태로 2002년 6월 시범 보급 사업을 시작하였다. 바이오디젤 상용화는 2006년 7월 이후 정유사를 통 해 BD5(바이오디젤 5% 혼합경유) 중심으로 보급이 이루어져 0.5%를 경유에 혼합하기 시작하였으며, 정부 정책에 따라 매년 0.5%씩 바이오디젤 혼합율이 증가하여 2008년 약 20만 kl에서 2010년 약 39만kl로 증가하였고 현재까지 2010년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BD20 보급 사업은 정부의 BD5 중심 정책으로 인해 보급이 정체되어 이 에 대한 활성화를 위한 제도 보완 중에 있으며, 자가 주유 및 정비 시설을 갖춘 사업장의 버스나 트럭, 건설기계에만 제한적으로 공급을 허용하여 2006 년 BD20 생산량은 20㎘에 불과하였으나 2007년 187㎘, 2008년 304㎘, 2009년 311㎘, 2010년 345㎘, 2011년 326㎘가 보급되었고, 2012년에는 약158㎘의 BD20이 보급되었다.

BD20은 차량 단위당 대기오염저감이나 온실가스 저감능력이 높다는 점 에서 확대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2009년 4월부터 차량고장이나 불법유통 가 능성이 낮은 곳을 중심으로 보급 확대가 추진되었다. (① 지자체의 시설을 공동 활용하는 행정업무 수탁 버스, 트럭, 건설기계 ② 사업장 구내 운송용 철도차량) 군부대는 기후변화대응 및 에너지자립 전략에 따라 2009년부터 경 유를 사용하는 버스, 군용트럭, 건설장비 등에 친환경 바이오연료인 BD20이 보급되고 있다.

<그림 4-4> 국내 바이오연료 관련 정책 배경(RFS)

2012년부터는 산업통상자원부 [석유제품의 품질기준과 검사방법 및 검 사수수료에 관한 고시]에 의해 2.0% 의무혼합이 시행되고 있다. 또한 정부 및 업계는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제도(RPS, Renewable Portfolio

IV. 시장성 분석

Standard)처럼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중장기적인 신재생연료 정책 수립을 위해 신재생연료의무혼합제도(RFS: Renewable Fuel Standard) 도입을 추진하 여 2014년에 시행된다. 이로 인해 국내 바이오연료 시장은 크게 성장할 것으 로 전망된다. 신재생연료 혼합의무제도는 수송용 연료의 공급대상자로 하여 금 자신이 공급하는 수송용 연료의 일정량을 바이오연료로 혼합하도록 의무 화하는 제도이다.

경유에 혼합하는 바이오디젤은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고시에 따라 2012년부터 혼합의무화를 시작하였다. 휘발유에 혼합하는 바이오에탄올 은 실증평가를 완료했으며 2세대 바이오알콜(바이오부탄올, 셀룰로스계 바이 오에탄올 등)이 연구개발 중이다. 천연가스에 혼합하는 바이오가스는 기술개 발과 더불어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따라서 2014년부터 바이오디젤은 2.5~3%수준으로 우선 의무혼합하며, 바 이오에탄올은 시법보급사업과 차량영향성 평가를 반영해 제도 시행 4년 후 인 2017년에 3%혼합 도입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3.2. 바이오연료 시장 전망

Dalam dokumen PDF 특허기술 가치평가서 (Halaman 5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