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례) 지방의회에서 조례안이 일반원칙에 따라 의결되면 의장은 의결된 날부터 5일 이내에 그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이를 이송하여야 함.
}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제1항의 조례안을 이송받으면 20일 이내에 공포하여야 하며, 만약 이송받은 조례안에 대하여 이의가 있으면 20일 이내의 기간에 이유를 붙여 지방의회 로 환부하고, 재의를 요구할 수 있음.
x 이 경우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조례안의 일부에 대하여 또는 조례안을 수정하여 재의를 요구할 수 없음.
46· 인천광역시 지방자치 및 자치경찰정책 실무 설명집
x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의결된 조례를 20일 이내에 공포하지 않거나 재의요구를 하지 않아도 그 조례안은 조례로서 확정되며, 재의된 조례가 의결된 경우 지체없이 공포하 여야 하며, 만약 지방자치단체장이 공포하지 않으면 지방의회의장이 공포함.
} (규칙)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법령이나 조례가 위임한 범위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사무에 관하여 규칙을 제정할 수 있음.
x 지방자치단체장은 법령이나 조례에서 위임한 사항이나 법령이나 조례를 집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한 규칙·훈령·예규·고시 등이 제정·개정 또는 폐지된 때에는 10일 이내에 이를 지방의회 소관 상임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함.
} 조례와 규칙을 입법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장이 입법예고를 해야 하며, 입법예고의 방식은 관보 및 인터넷에 게재함.
x 입법예고는 자치법규명, 입법취지, 주요내용, 의견접수기간, 의견제출 방법 및 기간 등이 포함되어야 하며 입법예고 기간은 통상 20일 이상임. 다만,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예고를 하지 아니할 수 있음.
- 신속한 국민의 권리 보호 또는 예측 곤란한 특별한 사정의 발생 등으로 입법이 긴급을 요하는 경우
- 상위 법령 등의 단순한 집행을 위한 경우
- 입법내용이 국민의 권리·의무 또는 일상생활과 관련이 없는 경우
- 단순한 표현·자구를 변경하는 경우 등 입법내용의 성질상 예고의 필요가 없거나 곤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 예고함이 공공의 안전 또는 복리를 현저히 해칠 우려가 있는 경우
x 입법예고를 생략하려고 하거나 특별한 사정이 있어 입법예고기간을 법령의 정한 입법 예고기간(20일이상) 미만으로 줄이려는 경우에는 지방자치단체 법제업무담당 부서의 장과 협의하여야 함.
x 제·개정된 조례와 규칙은 특별한 규정이 없으면 공포한 날부터 20일이 지나면 효력을 발생함.
인천광역시 자치경찰위원회 · 47 [ 자치법규의 입법 절차 ]
주관부서 내용 검토
입법안 작 성
도의회 심의·의결
조례·규칙 심의회 의결 (공포 또는 재의요구 결정)
공 포 (도보 게재)
입법계획 기본 방침
법제심사 (2차)
도의회 제 출
재의요구 (이송 후 20일 이내)
법제심사 (1차)
규제개혁위원회 심의·의결
조례안 결 재
행정안전부 사전 보고 (이송 후 5일 이내)
입법예고 (20일 이상)
조례·규칙심의회 상정 의뢰
조례·규칙 심의회 심의·의결
규칙안 결 재
행정안전부 사전보고 (공포 15일 전)
공 포 (도보 게재)
< 주관과 >
< 주관과 >
< 집행부이송 >
< 법제담당부서 >
< 주관과 >
< 법제담당부서 >
< 법제담당부서 >
< 주관과 >
< 법제담당부서 >
< 법제담당부서 >
< 주관과 >
< 법제담당부서 >
< 주관과 >
< 주관과 >
< 법제담당부서 >
< 주관과 >
< 법제담당부서 >
< 법제담당부서 >
관련부서 협의
조례안
규칙안
48· 인천광역시 지방자치 및 자치경찰정책 실무 설명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