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변인 세부 설명

- 연령 계층 : 각 개체는 청소년, 준성체 혹은 성체로 각각 분류되었음. 청소년 은 2살 미만, 준성체는 2-4살 미만, 성체는 4살 이상의 개체들로 구분함 (Yamanaka et al. 2011). 이에 따라 연도별 분석을 하였으며, 따라서 2004-2015년의 데이터 수집 기간 동안 한 개체가 여러 연령 계층에 속할 수 있음.

- 행동권 : 앞서 분석하였던 반달가슴곰의 연령 계층과 성별에 따른 행동권 크 기와 행동권 중첩 비율을 사용함

- 자원 목표 (필요량) : RSF 모델을 기반으로 한 곰이 필요로 하는 자원을 대표 하며, 고도는 행동권, 녹색지수는 먹이와 관련된 자원이라고 볼 수 있음. 수 컷과 암컷, 청소년과 준성체, 성체 개체의 필요 자원 목표를 측정하기 위하 여 각자의 행동권을 분류된 육각형 지도 위에 불러옴. 핵심지역 내부의 육각 형의 개수의 합이 연간 자원 목표(먹이 및 행동권)로 계산됨. 각 성별 나이별 그룹 별로 연간 자원 목표를 평균을 냄. 자원 목표가 개체군 사이즈를 좌우 하는 주된 요소이기 때문에, 평균값에서 표준편차 1단위를 ±처리 하여 적정 수용력의 범위를 대표하도록 함

장벽 사망률 방향을 바꿀 확률 무사히 장벽을 넘을 확률

고속도로 0.1500 0.6000 0.2500

주임도 0.0200 0.2000 0.7800

부임도 0.0100 0.1000 0.8900

3급 임도 0.0010 0.0500 0.9490

강 0.1000 0.7500 0.1500

표 7. 개체군 관련 데이터 (연령 계층, 행동권, 자원 목표) 최초

개체군 47 (현재 국립공원 내에 있는 개체수)

행동권

최대 행동권 30000

헥타르 연간 최대 행동권1)

최대 범위 폭 40000

미터 최대 횡방향 거리2)

최대 그룹 멤버 300

헥사곤 최대 공유된 헥사곤

> 이상일 때 가능한

헥사곤 범위 1 행동권에 따른 최소 자원분류

최소 자원량 80 한 개체에게 필요한 최소 자원량

자원 목표 (필요량)

수컷 청소년 530±91 (n=18)

연간 핵심 범위내의 분류된 헥사 곤 값의 합을 사용하여 계산함

이 핵심 범위들은 각 개체의 연 간 행동권의 80-90%를 차지하 며, 따라서 유의하게 사용되지 않는 행동권 지역을 제외하며 목 표한 자원 필요량을 잘 나타내는 지표라고 볼 수 있음

평균 자원 필요량에서 한 단위의 표준오차를 더하고 뺀 수준에서 시뮬레이션을 돌림

암컷 청소년 707±182 (n=14) 수컷 준성체 881±150

(n=20) 암컷 준성체 813±103

(n=25)

수컷 성체 1224±146 (n=23)

암컷 성체 494±66 (n=31)

1) 2004-2015년 동안 지리산국립공원에서 곰 한 개체가 가졌던 것 중 가장 큰 행동권

표 8. 개체군 관련 데이터 (출산, 분산, 생존, 성별)

종류 이름 설명

축척 나이 개체 나이

출산 출산

최대 출산수 3

출산율 0 1 2 3 기대값

청소년, 저자원 1 0 0 0 0

청소년, 고자원 1 0 0 0 0

준성체, 저자원 1 0 0 0 0

준성체, 고자원 1 0 0 0 0

성체, 저자원 0.67 0.22 0.11 0 0.44 성체, 고자원 0.62 0.24 0.12 0.02 0.54 떠돌이 개체

생성(Floater Creation)

떠돌이 개체 (Floater)

다른 개체들과 자원을 나누지 않는 개체들. 성체가 가장 떠돌이 개체가 될 확률이 높으며, 준성체가 중간, 청소년이 낮은 확률을 나타낸다.

이동 분산 최소 분산: 1 키로미터, 최대 분산: 80 키로미터

집단 친화 (group affinity)

의 생성

분류

(grouping) 최소 분산: 0 키로미터, 최대 분산 80 키로미터

축척 자원 평가 개체별로 축척한 자원들 (영역)

생존 생존

분류 생존율

수컷 청소년, 저자원 0.7

암컷 청소년, 저자원 0.6

수컷 청소년, 고자원 0.8

암컷 청소년, 고자원 0.7

수컷 준성체, 저자원 0.8

암컷 준성체, 저자원 0.8

수컷 준성체, 고자원 0.942

암컷 준성체, 고자원 0.907

수컷 성체, 저자원 0.88

암컷 성체, 저자원 0.88

수컷 성체, 고자원 0.98

암컷 성체, 고자원 0.938

확률 성별

성별 최초 (%) 출산 (%)

수컷 56 60

암컷 44 40

- 출산 : 지리산국립공원의 성체들은 한 시간 단위 (청소년-준성체-성체 분류가 각 2년 차이임으로 한 시간 단위를 2년으로 설정) 마다 수컷 및 암 컷 모두 각 0.54 의 출산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계산됨. 이것은 지리산국립공원에서 받은 출생 개체 현황을 통하여 계산한 것이며, 자원이 부족할 시 0.44 까지 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분산 : 분산은 KM-53의 실제 분산 사례 (직선거리 약 80km이동)를 바탕으로 결정됨

- 생존 : 지리산국립공원의 곰 개체들의 실제 알려진 사망률을 토대로 계산됨.

지리산국립공원에 있는 모든 개체들이 고자원에 대한 접근성을 가지고 있다 고 가정했으며, 이 생존율은 저자원 시 0.1 정도 떨어질 수 있음.

- 성별 : 최초 성비는 현재 지리산국립공원의 성비를 사용하였으며 (2015), 출산 율 또한 지리산국립공원에서 알려진 출산(2004-2015)을 토대로 함.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