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변수선정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40-44)

3. 연구모형

3.5 변수선정

3.5.1 DEA 모형의 변수

DEA를 통해 각 기업의 효율성을 도출하기 위해 먼저 투입요소와 산출요소

를 선정해야 한다. 일반적인 생산함수에서는 대표적인 투입요소로 자본 (capital: K), 노동(labor: L), 원자재(material: M)가 사용된다. DEA를 활용 한 이전 연구들에서는 위와 같은 투입요소를 반영하기 위한 대리변수로 자산, 자본금, 종업원 수, 급여, 인건비, 투입비용, 운영비, 광고선전비, 판매관리비, 매출원가, 재고비용 등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산출변수로는 경상이익, 주당순 이익, 매출, 순이익, 순 방문자 수, 매출 총 이익 등이 사용되고 있다.

[표 5] 이전 연구에서 사용된 투입변수와 산출변수

연구 투입변수 산출변수

김우식·이광조(2003) 자산, 종업원수, 투입비용 경상이익, 주당순이익

이청호 외(2005) 자산, 종업원수, 운영비 매출, 순이익

이경재 외(2007) 자본금, 유형자산, 급여,

광고선전비 순방문자 수, 매출

한동여·김성아(2008) 자산, 인건비, 판관비, 매출원가 매출

Serrano-Cinca et

al.(2005) 종업원수, 총운영비용, 총자산 매출, 순방문자수

Barua et al.(2004) IT자본, NIT자본, 종업원수,

사업년수 매출, 매출총이익

Chen et al.(2004) 종업원수, 재고비용, 총자산,

매출원가 매출, 매출총이익

본 연구에서는 자본(K)의 대리 변수로 자본금, 노동(L)의 대리 변수로 종 업원 수, 원자재(M)의 대리 변수로 판매관리비를 투입 변수로 사용한다. 또한 산출변수로는 매출과 순이익이 주로 사용되는데 Donthu and Yoo(1998)에 따르면 순이익은 수익과 비용의 개념을 동시에 내포하므로 다른 변수와의 중 복문제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매출만을 산출 변수로 사용한다. 이상 3가지 투입 변수와 1가지 산출 변수를 산출기준 BCC 모형에 적용하여 각 의사결정 단위의 효율성(해당 연도, 해당 기업의 효율성)을 도출하게 된다.

3.5.2 패널분석의 변수

다음으로 효율성과 각 표준화 과정의 상관관계 도출을 위한 패널분석의 변 수를 선정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04년까지를 표준화 이전 시기, 2005년부터 2009년까지를 WIPI의 법적 표준시기, 2010년부터 2011 년까지를 iOS와 Android의 사실상의 표준시기로 나눈다. 따라서 설명변수인 표준화 더미변수를 [표 6]과 같이 정의한다. 또한 종속변수인 효율성(te:

technical efficiency)은 다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를 통 제하기 위해 통제변수로 기업연령(age), 기업규모(size), 총매출(sales)을 사 용한다.

[표 6] 변수 내용

효율성 (te) DEA 통해 도출한 효율성 지표

법적 표준화 더미변수 (D) D=  1, 2005 ≤ T ≤ 2009 0, otherwise

사실상의 표준화 더미변수 (D) D=  1, 2010 ≤ T ≤ 2011 0, otherwise

기업연령 (age) 각 년도와 기업 설립연도의 차

기업규모 (ln_size) 종업원수의 자연로그

총매출 (ln_sales) 매출액의 자연로그

위 변수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패널분석 모형은 다음과 같다.

te = β

+ β

∙ D+ β

∙ D+ β

∙ age + β

∙ ln_size + β

∙ ln_sales + e

……… 식 (4)

위 모형을 바탕으로 법적 표준과 사실상의 표준이 기업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것이다.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40-44)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