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변인 간 인과관계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40-45)

수련 기간에 따른 차이는 <표 12>와 같이 수련 몰입의 인지몰입과 지속의 도 요인에서 유의하지 않았고(p>.05), 지도행동의 긍정지도와 부정지도, 수 련 몰입의 행위 몰입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긍정지도의 F 값은 5.154(p<.01)로 유의하고, 3개월 이상-1년 미만의 집단(M=4.13)보 다 2년 이상의 집단(M=4.41)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 부정지도에 대한 F값 은 4.450(p<.01)으로 유의하고, 1년 이상-2년 미만의 집단(M=1.73)보다 3개월 이상-1년 미만 집단(M=1.99)이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행위몰입의 F값은 6.643(p<.001)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3개월 이상-1년 미만의 집단(M=3.93)보다 1년 이상-2년 미만의 집단(M=4.15)과 3개월 미만의 집단(M=4.25)에서 높은 평균 점수를 보였다.

으로 확인하였다. 아울러, 모든 변수들 간 상관계수가 .8이하의 낮은 상관을 보임으로 다중공선성 문제는 해소되었으며, 측정변인들 간 상호 독립적인 개 념으로 인과관계 분석을 실시함에 있어 적합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표 13. 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

긍정지도 부정지도 인지몰입 행위몰입 지속의도

긍정지도 1 -.181** .291*** .293*** .302***

부정지도 1 -.289*** -.220*** -.237***

인지몰입 1 .466*** .471***

행위몰입 1 .327***

지속의도 1

M 4.25 1.83 4.20 4.13 4.30

SD .48 .50 .60 .54 .51

**p<.01, ***p<.001

1) 지도행동이 인지몰입에 미치는 영향

태권도 수련생들이 지각한 지도자의 지도행동이 인지몰입에 대한 영향관 계를 분석함에 앞서, 독립변수들이 기본가정에 충족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 였다. 그 결과, 공선성 통계량의 공차 값은 .967로 1미만으로 확인되었고, 분산팽창지수 값 또한 1.034의 10이하의 수치로 확인하였다. 아울러 독립 변인 간의 자기상관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Durbin-Watson 값 도 2.098로서 2에 근접하여 자기상관이 없는 독립적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입력방법을 선택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표 14>와 같이

나타났다. 먼저,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설명하는 전체 모형의 설명력은 14.2%(R2: .136)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며, F값은 24.616(p<.001)로 통계 적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구체적으로 종속변수인 인지몰입에 대해 긍정지도 의 베타 값은 .247로 정(+)의 영향력을 보였고, 부정지도에 대한 베타 값 은 -.244로 부(-)의 영향력을 예측하였다.

표 14. 지도행동이 인지몰입에 미치는 영향

종속

변수 독립변수 Β SE β t p

인지 몰입

상수 3.434 .332   10.355 .001

긍정지도 .305 .068 .247 4.512 .001

부정지도 -.289 .065 -.244 -4.471 .001

R2(adj. R2)=.142(.136), F=24.616*** Durbin-Watson=2.098

***p<.001

2) 지도행동이 행위몰입에 미치는 영향

태권도 수련생들이 지각한 지도자의 지도행동이 행위몰입에 미치는 영향 력을 분석한 결과, <표 15>와 같이 독립변수는 종속변수를 11.5%(R2: .109)를 설명하고 전체 모형의 F값은 19.251(p<.001)로 유의한 인과관계 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긍정지도에 대한 베타 값은 .262의 정(+)의 영 향력을 예측하고, 부정지도에 대한 베타 값은 -.173의 부(-)의 영향력을 예측하였다.

표 15. 지도행동이 행위몰입에 미치는 영향

종속

변수 독립변수 Β SE β t p

행위 몰입

상수 3.229 .303   10.671 .001

긍정지도 .291 .062 .262 4.717 .001

부정지도 -.184 .059 -.173 -3.113 .002

R2(adj. R2)=.115(.109), F=19.251*** Durbin-Watson=2.105

***p<.001

2. 지도행동이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태권도 수련생들이 지각한 지도행동이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는 <표 16>과 같다. 독립변수는 종속변수를 12.5%(R2: .109)를 설명하 고 F값 21.290(p<.001)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긍정지도 행동의 베타 값은 .268(p<.001)로 정(+)의 영향력을 보였고, 부정지도 행 동은 -.188(p<.001)로 부(-)의 영향력을 예측하였다.

표 16. 지도행동이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종속

변수 독립변수 Β SE β t p

지속 의도

상수 3.445 .284   12.132 .001

긍정지도 .281 .058 .268 4.855 .001

부정지도 -.189 .055 -.188 -3.411 .001

R2(adj. R2)=.125(.119), F=21.290*** Durbin-Watson=2.087

***p<.001

3. 수련몰입이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먼저, 독립변수 수련몰입에 대하 공선성 통계량 공차 값은 .783, 분산팽창 지수 값 1.277로 만족하고, Durbin-Watson 값도 2.148로 자기상관이 없는 독립적인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표 17>고 같이 독립변수 수련몰입은 지속의도를 23.6%(R2: .231)를 설명하고 F값 45.969(p<.001)로 유의한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지몰입의 베타 값 .406(p<.001), 행 위몰입의 베타 값 .138(p<.05)의 순으로 정(+)의 영향력을 예측하였다.

표 17. 수련몰입이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종속

변수 독립변수 Β SE β t p

지속 의도

상수 2.309 .223   10.347 .001

인지몰입 .344 .049 .406 7.091 .001 행위몰입 .130 .054 .138 2.410 .017

R2(adj. R2)=.236(.231), F=45.969*** Durbin-Watson=2.148

Ⅴ. 논 의

태권도는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인격수행 방법의 하나로써, 다양한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것은 국내는 물론 전 세계 다양한 나라에서 태권도를 수련하고 있다는 것에서 그 가치를 인정할 수 있다. 또한 태권도가 종래에 행해오던 기술의 전수뿐만 아니라 태권도 수련을 통하여 수련생들이 바람직 한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대를 안고 대다수의 부모들이 교육을 시키고 있는 것이 교육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은 것이라 할 수 있다(이훈희, 200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권도 수련생이 가장 많은 초등학생들이 인 식하는 지도행동이 수련몰입과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태권도 장 활성화와 지도개선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논의는 다음과 같다.

A. 배경변인에 따른 태권도 지도자의 지도행동, 수련 몰입 및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40-45)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