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집단 간 차이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36-40)

1. 성별에 따른 차이

성별에 따른 태권도 지도자의 지도행동, 수련 몰입 및 지속의도의 차이는

<표 9>와 같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지도행동과 수련에 대한 지속의도의 차 이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 수는 수련 몰입의 인지몰입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3.587, p<.001), 여자 수련생(M=4.31)이 남자 수련생(M=4.07)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표 9. 성별에 따른 차이 결과

변인

남여 차이

남(n=138) 여(n=162) df t p

지도 행동

긍정 지도 4.24±.52 4.26±.44 298 -.350 .727

부정 지도 1.88±.54 1.77±.46 298 1.911 .057

수련 몰입

인지몰입 4.07±.64 4.31±.52 263.925 -3.587 .001

행위몰입 4.09±.56 4.16±.51 298 -1.063 .289

지속의도 4.33±.38 4.25±.58 279.787 1.383 .168

2. 지도자 성별에 따른 차이

지도자 성별에 따른 차이는 <표 10>에 제시된 바와 같이 태권도 수련 지 속의도를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먼저, 지도행동의 긍 정지도에 대한 t값은 -3.347(p<.001), 부정 지도의 t값 2.213(p<.05)으로 유의하였고, 긍정지도에서 여자지도자(M=4.34)가 남자지도자(M=4.16)보 다 높은 점수를 보인 반면, 부정지도는 남자지도자(M=1.88)가 여자지도자 (M=1.75)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리고 수련 몰입의 인지몰입과 행위몰 입에 대한 t값은 각각 -5.012(p<.001), -3.149(p<.01)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두 요인 모두 남자지도자(M=4.04)보다 여자지도자(M=4.37, 4.23)의 점수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표 10. 지도자 성별에 따른 차이 결과

변인

지도자 성별에 따른 차이

남(n=157) 여(n=143) df t p

지도 행동

긍정 지도 4.16±.54 4.34±.37 278.504 -3.347 .001

부정 지도 1.88±.51 1.75±.48 298 2.213 .028

수련 몰입

인지몰입 4.04±.71 4.37±.37 239.627 -5.012 .001 행위몰입 4.04±.61 4.23±.42 277.951 -3.149 .002

지속의도 4.27±.55 4.31±.44 298 -.677 .499

3. 학년에 따른 차이

학년에 따른 차이는 <표 11>에 제시된 바와 같이 태권도 수련생들이 지각 한 지도자의 지도행동의 수련생들의 수련 몰입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p>.05).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지속의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 였는데 구체적으로, 지속의도의 F값은 7.581 유의확률 .001에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 사후검증을 보면, 5학년(M=4.16) 보다 6학년(M=4.43)의 평 균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11. 학년에 따른 차이 결과

변인 소속 n M±SD df F p post-hoc

(Scheffe)

지도 행동

긍정 지도

4학년(A) 86 4.20±.59

2 1.423 .243 5학년(B) 113 4.23±.46

6학년(C) 101 4.32±.39 부정

지도

4학년(A) 86 1.84±.52

2 .820 .441

5학년(B) 113 1.86±.58 6학년(C) 101 1.77±.39

수련 몰입

인지 몰입

4학년(A) 86 4.15±.59

2 1.116 .329 5학년(B) 113 4.19±.64

6학년(C) 101 4.27±.54 행위

몰입

4학년(A) 86 4.07±.55

2 1.868 .156 5학년(B) 113 4.11±.54

6학년(C) 101 4.21±.52

지속의도

4학년(A) 86 4.31±.43

2 7.581 .001 B < C 5학년(B) 113 4.16±.63

6학년(C) 101 4.43 ±.35

4. 수련기간에 따른 차이

표 12. 수련기간에 따른 차이 결과

변인 소속 n M±SD df F p post-hoc

(Scheffe)

지도 행동

긍정 지도

3개월 미만(A) 71 4.29±.43

32 5.154 .002 B < D 3개월 이상-

1년 미만(B) 84 4.13±.54 1년 이상-

2년 미만(C) 73 4.21±.49 2년 이상(D) 72 4.41±.40

부정 지도

3개월 미만(A) 71 1.81±.38

3 4.450 .004 C < B 3개월 이상-

1년 미만(B) 84 1.99±.69 1년 이상-

2년 미만(C) 73 1.73±.38 2년 이상(D) 72 1.75±.43

수련 몰입

인지몰 입

3개월 미만(A) 71 4.32±.48

3 1.759 .155 3개월 이상-

1년 미만(B) 84 4.11±.74 1년 이상-

2년 미만(C) 73 4.24±.63 2년 이상(D) 72 4.17±.47

행위몰 입

3개월 미만(A) 71 4.25±.40

3 6.643 .001 B < C, A 3개월 이상-

1년 미만(B) 84 3.93±.67 1년 이상-

2년 미만(C) 73 4.24±.49 72 4.15±.46 2년 이상(D)

지속의도

3개월 미만(A) 71 4.37±.38

3 2.157 .093 3개월 이상-

1년 미만(B) 84 4.23±.60 1년 이상-

2년 미만(C) 73 4.37±.38 2년 이상(D) 72 4.22±.58

수련 기간에 따른 차이는 <표 12>와 같이 수련 몰입의 인지몰입과 지속의 도 요인에서 유의하지 않았고(p>.05), 지도행동의 긍정지도와 부정지도, 수 련 몰입의 행위 몰입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긍정지도의 F 값은 5.154(p<.01)로 유의하고, 3개월 이상-1년 미만의 집단(M=4.13)보 다 2년 이상의 집단(M=4.41)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 부정지도에 대한 F값 은 4.450(p<.01)으로 유의하고, 1년 이상-2년 미만의 집단(M=1.73)보다 3개월 이상-1년 미만 집단(M=1.99)이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행위몰입의 F값은 6.643(p<.001)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3개월 이상-1년 미만의 집단(M=3.93)보다 1년 이상-2년 미만의 집단(M=4.15)과 3개월 미만의 집단(M=4.25)에서 높은 평균 점수를 보였다.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36-40)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