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4. 중국의 인터넷 지식재산권 보호제도와 발전 전망

4.3 인터넷 지식재산권 보호제도의 발전전망

4.3.1 보호기술의 지속적인 개발

을 포함한 사이트와 콘텐츠 권한 부여 및 보호 협의를 달성하였다. 동시에

《1998년 디지털 저작권법(Digital Copyright Law in 1998)》에서는 허락 없이 인터넷에서 음악, 영화, 게임, 프로그램 등을 다운로드하는 것을 불법에 속하고, 보호를 받는 자료를 복사 혹은 다운로드할 때는 모두 비용을 지불하여야 한다 고 규정하였다. 당시의 미국의 컴퓨터 네트워크의 발전 수준은 현재와 비교하 면 아주 큰 차이가 있고, 인터넷 지식재산권 침해 현상도 상대적으로 적었기 때문에 법률은 주로 인터넷 저작권에 대해 규정하였다. 그러나 인터넷이 급속 하게 발전하면서 P2P기술, 검색 엔진 등 신형 인터넷 서비스가 나타나자 미국 정부는 인터넷 지식재산권 관련 법률에 대한 수정작업을 신속히 진행하였다.

새로운 기술이 나타난 지 얼마 안 되어 새로운 네트워크 기술의 특징에 근거하 여 대응하는 법률을 보완하여, 인터넷 지식재산권을 아주 잘 보호하고 있다.79)

한국은 저작권정보센터를 전문적으로 설립하여 복잡한 인터넷 환경에서 디 지털 기술의 발전과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저작권에 대해 규범화하였다. 인터넷 에 존재하는 대량의 지식재산권 침해 행위에 대해 저작권정보센터는 여러 온라 인 모니터링 팀을 설립하여 각각 서적, 애니메이션, 온라인 게임 등 작품을 모 니터링, 보호하고 있다.80) 동시에 저작권 교육을 대대적으로 전개하여 국민의 저작권 의식을 높이고 권리자가 정확한 권리를 행사하게끔 지도하고 있다. 이 런 여러 가지 조치를 취하여 한국 국내에서 지식재산권 침해 행위를 줄이도록 노력하고 있다. 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한국의 산업은 많은 부분 인터넷에 의 존하고 있기에, 인터넷 지식재산권 침해가 단순한 자료에 대한 침해로부터 동 영상, 음성, 게임 등 영역의 지식재산권 침해로 확장되었다. 이에 한국은 정부 의 주무기관(主務機關) 아래에 전문적으로 각 영역을 대상으로 한 전문 인터넷 지식재산권 침해 행위 모니터링 및 처리 부서를 설립하였다.

일본은 1997년 6월 10일과 1999년 6월 15일, 두 차례에 걸쳐 《저작권법(著作

權法)》을 수정하였다. 이는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의 새로운 조약에 가입

79) 周植明,『论我国知识产权的现状和保护』, 湖南大学硕士学位论文, 2012年5月, p.2.

80) http://www.sipo.gov.cn/dtxx/gw/2010/200912/t20091228_486400.html.

하면서 수정한 것이다. 일본은 애니메이션, 영화와 드라마 관련 산업이 매우 발 달한 국가이기 때문에 외국의 많은 매스미디어 혹은 동영상 웹사이트가 일본의 작품을 불법 유포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에 일본의 방송국 등 관련 산업은 규정을 제정하여 외국 동영상 사이트가 그들의 드라마, 애니메이 션 등을 불법 유포를 저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일본 사회는 인터넷 지식재산권 보호와 관련된 민간 기구를 설립하여 인터넷 저작권 침해를 방지하는 활동에 참여하게 하였다. 민간 기구는 법률 집행 기구와 협력하여 전 문적으로 인터넷 지식재산권 침해 행위를 모니터링하고, 발견한 불법 행위를 즉시로 관련 부문에 보고하여 처리하게 한다. 이런 방법은 정부 기구의 인력 부족을 보완하고, 인터넷 지식재산권의 발전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4.3.2 《인터넷 지식재산권법》의 제정

중국의 여러 가지 법률 법규를 보면, 인터넷 지식재산권을 규범화하는 내용 이 있기는 하지만, 이런 유형의 법률 법규는 모두 행정 법규 혹은 사법 해석의 형태로 나타난다. 각 부서는 제각기 일하고 법률 법규는 체계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제정한 법률의 형식이 아니기 때문에 인터 넷 지식재산권 관련 법률의 지위가 높지 않고 하위법률로 분류된다. 그러므로 속히 전문 《인터넷 지식재산권법(計算機網絡知識產權法)》을 제정하여, 전통 지식재산권법을 적용하거나 연관된 법률을 억지로 끼어 맞추는 행위를 없애야 한다. 인터넷 지재권법은 총칙(總則), 세부 규칙(分則), 부칙(附則) 등으로 구성 되고, 총론 부분에서는 거시적으로 이 제도의 방향을 제시하고 일부 기본 내용 을 확정하며, 세부 규칙 부분에서 인터넷 지식재산권의 주체, 객체, 권리 내용, 지식재산권 침해 책임 등을 구체적으로 규정해야 할 것이다. 또한 컴퓨터 네트 워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터넷 프로그램도 수시로 업그레이드되기 때문에 법률 법규도 이를 반영할 수 있도록 융통성을 보장해야 할 것이다.

이외에 법률 제정에 있어 다음과 같은 문제를 잘 해결하여야 한다.81)

첫째, 사건의 지역 관할 문제를 심층적으로 연구하여야 한다. 그 이유는 인터 넷은 세계 범위의 네트워크로 지식재산권 침해 행위는 세계의 모든 곳에서 발 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어떻게 추적하고 책임을 물게 할 것인가가 중요 한 문제이다.

둘째, 어떻게 1차 증거를 얻고 잘 보관할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인터넷 지식 재산권 침해 증거는 흔히 디지털화한 작품, 데이터베이스 등이기에, 어떻게 합 법적인 다운로드와 불법 다운로드를 구분할 것인가, 지식재산권 침해자가 디지 털화한 작품 혹은 데이터베이스 등의 워터마크를 삭제한 후에도 관련 부문의 전문적인 검사기계로 검사해 낼 수 있을까 하는 문제들이 있다.

셋째, 인터넷 정보의 진위를 구별하여야 한다. 인터넷은 전 세계 모든 나라와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 마약 중국 인구의 10분의 1이 자기의 인터넷 지식 재산권이 침해를 당했다고 주장한다면 1억이 넘는 정보량이 된다. 이 어마어마 한 정보를 조사하여 진위를 구분하는 것은 결코 간단한 일이 아니다. 따라서 업무 처리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전문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넷째, 지식재산권 침해 행위의 인정 및 손실의 확정 문제, 그리고 확정한 후 의 배상 금액 기준을 잘 규정하여야 한다.

다섯째, 인터넷 지식재산권법과 현행의 《저작권법》, 《상표법》, 《특허법

(專利法)》 등의 법률 법규와의 연결 및 조절 문제를 잘 처리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