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4. 중국의 인터넷 지식재산권 보호제도와 발전 전망

4.2 인터넷 지식재산권의 보호현황

4.2.2 보호방안

지식재산권 보호를 중요한 업무로 간주하고 추진하여야만 중국의 국가공약을 더 잘 이행하고, 전 세계에서 중국정부가 신용을 지치고 책임을 지는 정부라는 양호한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으며, 중국의 발전에 양호한 국제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 동시에 법에 따라 인터넷 시장을 한층 더 규범화하고 공평 경쟁하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은 중국 저작권 산업의 건강한 발전을 추진하고 두뇌 노동 자의 합법적인 이익을 보호하는 데 유리하다.73)

며 동일한 기준으로 한 지적 성과를 평가하여야 한다. 지식재산권의 보호는 선 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차이를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즉, 경제 발전의 차이, 국민 문화적 소양의 차이 및 국 수입의 차이 등 요소를 충분히 고려하여야 인 터넷 지식재산권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이룰 수 있다.74)

셋째, 권리자와 지식재산권 침해자의 이익 균형을 조절하여야 한다. 권리자 는 지적 성과를 인터넷의 광범위한 전파 효과를 통하여 상당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지식재산권 침해자가 그 지적 성과를 다운로드한 후 불법으 로 유포하여 이익을 얻는다면 권리자의 수익은 많이 줄어들 것이고, 지식재산 권 침해자는 권리자가 마땅히 얻어야 하는 부분의 이익을 얻게 된다. 여기서 지식재산권 침해자는 이익을 얻을 자격이 없다. 그러므로 여기서 말하는 균형 의 본질은 권리자의 지적 성과가 지식재산권 침해를 당하지 않게 보호하는 데 필요한 대가와 지식재산권 침해자를 징벌하는 데 필요한 대가 간의 균형을 말 한다. 다시 말하면, 지식재산권 침해자를 추적하는 작업의 난도(難度)를 낮추어 지식재산권 침해자가 인터넷 환경에서 모습을 감추지 못하게 한다. 간단하게 말하면 인터넷 실명제를 실행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국가는 장기적인 안목으로 인터넷 실명제 실행을 하나의 장기적인 업무로 전개하여야 한다. 그때가 되면, 권리자의 권익은 최대한 보장되고, 일단 누군가가 지식재산권 침해를 한다면, 바로 자기의 불법 행위에 대가를 치르게 된다.

넷째, 권리자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업체의 이익 균형을 조절하여야 한다.

권리자는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업체를 통하여 자기의 지적 성과를 인터넷에 업 로드한다. 이때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업체는 해당 지적 성과를 심사할 가능성 이 있는데, 이것이 독창적인 것인지, 결함이 있는지를 심사한다. 만약 심사에서 문제가 없다면 웹사이트에 내용을 올린다. 그러나 정보량이 거대하기에 네트워 크 서비스 제공업체는 업로드한 모든 내용을 전부 심사할 수 없다. 따라서 서 비스 제공업체는 운영에서 일정한 리스크를 감수해야 한다. 권리자가 자기의 지적 성과가 타인에게 불법 다운로드 또는 링크된 것을 발견하면, 일정한 시간

74) 徐明华․包海波,『知识产权强国之路—国际知识产权战略研究』, 北京知识产权出版社, 2003, pp.65-66.

내에 관련 내용을 불법 게재한 웹사이트에 연락, 신고한다. 웹사이트 운영자는 조사한 후 지식재산권 침해 내용을 삭제하여야 한다. 손해가 이미 발생하였다 면 일반 상황에서 권리자는 민사 배상을 주장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에서 아 직 인터넷 실명제를 실행하지 않았기에 웹사이트 운영자는 지식재산권 침해자 를 찾아내지 못하고, 결국 사이트 운영자가 희생양이 되고 만다. 웹사이트는 비 록 전반 과정에서 간접적인 침해를 하였으나 때로는 직접 지식재산권 침해의 기준으로 권리자에게 배상하여야 한다. 따라서 권리기관이 이 문제를 충분히 고려하여 입법 과정에서 권리자의 권리가 침해되지 않게 보호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업체의 권익도 보호하여야 한다.

다섯째, 외국의 모델을 적절하게 참고하여야 한다. 미국의 지식재산권 조직 은 공중에게 디지털 작품을 배포하는 것은 발행 행위에 속한다고 주장한다. 다 시 말하면, 미국은 인터넷을 통하여 공중에게 작품을 발행하는 것과 기타 전통 방식으로 공중에게 작품을 발행하는 것을 동일시한다. 따라서 인터넷 전송 중 의 저작권자의 권익도 다 포함된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더 광범한 각도에서 네 트워크 정보 전송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TV, 라디오 등 모든 접수 장치를 통하여 시청 혹은 사용하게 하는 방식으로 공중에게 자료를 배포 하는 권리를 포함하고, 정보의 라디오 방송권 및 케이블 방송권도 포함한다.

EU가 주장하는 이런 권리는 주로 인터넷에서 필요에 따라 배포하는 것으로, 라 디오 방송과 개인 간의 통신을 포함하지 않는다. 각 나라의 네트워크 정보 전 송권에 관한 입법 방식은 주로 세 가지가 있다. 즉, ‘포함’식, ‘재편성’식 과 ‘신규’식이다. ‘포함’식, 즉 기존의 관련 법률에서 규정한 발행권, 공개 공연권과 공개 전시권에 이미 작품의 네트워크 전송권을 포함하고, 단독으로 네트워크 전송권에 대해 특별 규정하지 않는 방식이다. 이런 방식은 미국을 대 표로 꼽을 수 있다. ‘재편성’식이란 관련 법률 중의 네트워크 전송과 관련된 조항을 한 곳으로 종합하여 네트워크 전송권에 대해 규정하는 것이다. 오스트 레일리아가 이런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신규’식이란 EU에서 각 회원국이 저작권자에게 공개 전파의 독점권을 제공하여 저작권자가 타인에게 케이블 혹

은 무선의 방식으로 작품을 공개 전파하는 권한을 부여하거나 금지할 수 있게 할 것을 요구한 방식을 말한다.75) 이에 따라 EU 회원국들은 자국의 구체적인 상황에 근거하여 관련 법률 법규를 수정하는 등 방식을 취하여, 저작권법에 네 트워크 정보 전송 방식의 독점권을 반영함으로써 네트워크 기술이 저작권법에 주는 충격을 해결하고 있다.76)

이익의 균형을 찾는 동시에 한 가지 목표도 명확하게 하여야 한다. 그것은 바로 국가가 최대한 권리자의 권리와 그 지적 성과가 침해를 당하지 않도록 보 호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양호한 인터넷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학술 교류, 성과 전시 등에 양호한 기회를 창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터넷도 진정으로 국가의 경제 건설의 발전을 추진하는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